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선종화와 현대적 디자인의 조형적 상관성 - 현대 동아시아 3개국의 그래픽 디자인을 중심으로 = The Formative Correlation between Zen Painting and Modern Design - Focusing on Modern Graphic Design of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622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ormative correlation between Zen painting and modern design, focusing on graphic design in Korea, China, and Japan, which are three major countries in modern East Asia.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ormative correlation between Zen painting and modern design, focusing on graphic design in Korea, China, and Japan, which are three major countries in modern East Asia.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in the current times when East Asian design establish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West explored its identity in relation to ‘Zen style’ and focused on the philosophy and aesthetics of Zen Buddhism. In this background, Zen painting is worth analyzing compared to modern East Asian designs.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 I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modernism design on the Zen style and identifi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I broadened the scope of my research to East Asian design in order to expand the discussion on the Zen style of Japanese design. Three modern East Asian designers - Jeong Byeong-gyu, Hara Kenya, and Kan tai-keung -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research method is to investigate how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Zen painting appear in modern East Asian design, and to look into the designer’s design philosophy. As the content of the study,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Zen painting was investigated, and simplicity and unconventionality were presented as its formative features. And its validity was reviewed through the case of Zen painting. And based on this, I looked at the designs of three designers from Korea, China and Japan. Jeong Byeong-gyu values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including the art of Chusa Kim Jeong-hee, and his designs show simplicity and unconventionality. Hara Kenya tried to inherit the aesthetic of Zen Buddhism by suggesting ‘Emptiness’ as his design principles. Kan tai-keung has paid attention to the traditional ideas and cultural arts of China and East Asia. In his designs, the simplicity of Zen painting can be foun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Zen painting appear in modern East Asian design in different way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현대 동아시아의 주요 3개국인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의 그래픽 디자인을 중심으로, 선종화(禪宗畵)와 현대적 디자인의 조형적 상관성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 연구는 현대 동아시아의 주요 3개국인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의 그래픽 디자인을 중심으로, 선종화(禪宗畵)와 현대적 디자인의 조형적 상관성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배경은서양의 영향 아래 성립된 동아시아의 디자인이 ‘젠 스타일(Zen style)’을 중심으로 고유한 정체성을탐색하고 선종(禪宗)의 사상과 미의식에 주목하였던 흐름에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선종화는 선종을기반으로 한 회화 양식으로서 현대 동아시아의 디자인과 비교하여 분석해 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연구 문제를 검토하기 위하여, 젠 스타일에 대한 서양의 모더니즘 디자인과 미니멀리즘 디자인 등의 영향 및 차이점을 규명하였다. 연구 범위는 일본의 젠 스타일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키기 위하여 현대 동아시아 디자인으로 넓혀보았고, 연구 대상으로 한중일의 디자이너 3인 - 정병규, 하라켄야, 칸타이킁 – 을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선종화의 조형적 특징이 현대 동아시아 디자인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 디자이너의 디자인 철학과의 연관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으로는우선 선종화의 사상적 배경을 조사하고 조형적 특징으로서 단순성과 파격성을 제시하였고, 선종화의기법과 사례를 통해 그 타당성을 검토해보았다. 이렇게 제시한 선종화의 특징을 바탕으로 한중일의 디자이너 3인의 디자인을 살펴보았다. 정병규는 추사 김정희의 예술을 비롯한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중요시하며, 그의 디자인에는 단순성, 파격성 등이 나타났다. 하라 켄야는 자신의 디자인 원칙으로 ‘공백(空白)’과 ‘엠프티네스(Emptiness)’를 제시하며 선종의 미의식을 계승하려고 시도하였다. 칸타이킁은중국과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사상 및 문화 예술에 주목한 바 있는데, 그의 디자인에서 선종화의 단순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선종화의 특징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현대 동아시아 디자인에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휘준, "한국회화사" 일지사 1980

      2 김종균, "한국의 디자인" 안그라픽스 2013

      3 갈로, "중국회화이론사" 돌베개 2010

      4 임헌혁 ; 김한응, "젠 스타일(Zen Style) 디자인 표현방법에 관한연구 -젠 스타일의 형과 색의 상징적 요소 중심-"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8 (8): 219-251, 2007

      5 정지연, "정병규 북디자이너 : 새로운 디자인을 위하여 학교를 세우다" 스트리트H 2011

      6 김남희, "일본회화 특강"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6

      7 서희봉 ; 맹형재, "일본 현대디자인에 나타난 젠 스타일 미니멀리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297-309, 2015

      8 맹형재 ; 서희봉, "일본 젠 스타일(Zen Style) 디자인의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5 (25): 177-190, 2019

      9 신희경, "일본 그래픽디자인에서의 일본적 조형성과 그 유래인 일본적 미의식 분석" 한국디자인학회 21 (21): 203-214, 2008

      10 김뉘연, "오늘도 새로운디자인을 꿈꾼다-정병규" 지콜론

      1 안휘준, "한국회화사" 일지사 1980

      2 김종균, "한국의 디자인" 안그라픽스 2013

      3 갈로, "중국회화이론사" 돌베개 2010

      4 임헌혁 ; 김한응, "젠 스타일(Zen Style) 디자인 표현방법에 관한연구 -젠 스타일의 형과 색의 상징적 요소 중심-"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8 (8): 219-251, 2007

      5 정지연, "정병규 북디자이너 : 새로운 디자인을 위하여 학교를 세우다" 스트리트H 2011

      6 김남희, "일본회화 특강"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6

      7 서희봉 ; 맹형재, "일본 현대디자인에 나타난 젠 스타일 미니멀리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297-309, 2015

      8 맹형재 ; 서희봉, "일본 젠 스타일(Zen Style) 디자인의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5 (25): 177-190, 2019

      9 신희경, "일본 그래픽디자인에서의 일본적 조형성과 그 유래인 일본적 미의식 분석" 한국디자인학회 21 (21): 203-214, 2008

      10 김뉘연, "오늘도 새로운디자인을 꿈꾼다-정병규" 지콜론

      11 안상수, "어울림 보고서" 안그라픽스 2001

      12 길상희, "얀 치홀트와 하라 켄야의 기능적 디자인의 가치" 한국기초조형학회 19 (19): 1-10, 2018

      13 스즈키 다이세쓰, "아홉 마당으로 풀어 쓴 禪" 한국학술정보 2001

      14 스즈키 다이세쓰, "선이란 무엇인가" 이론과실천 2006

      15 이병종, "브라운 사와 디터 람스의 디자인 기원: 1920년대 신건축" 한국디자인학회 25 (25): 66-75, 2012

      16 양훼이난, "불교사상사" 정우서적 2008

      17 하라 켄야, "백" 안그라픽스 2009

      18 황윤정 ; 장동련 ; 김동빈, "미니멀리즘 조형의 동양 선(禪)사상적 해석" 한국기초조형학회 19 (19): 593-608, 2018

      19 김대열, "문인화와 선종화의 유사성관계 고찰" 한국동양예술학회 (21) : 375-402, 2013

      20 하라 켄야, "디자인의 디자인" 안그라픽스 2007

      21 최은영, "동아시아 선불교의 사상과 의의" 여래 2018

      22 이희재, "도교의 신비주의와 불교" 한국불교학회 (74) : 173-196, 2015

      23 한경애, "禪宗畵의 繪畵的 特徵과 藝術的 思惟 考察" 인문학연구소 34 (34): 149-174, 2015

      24 박소란, "[문화인물] 북 디자이너 정병규: 우리의 정신, 정체성 담아내는 것이 디자인의 본질" (71) : 136-141, 2007

      25 Barnhart, Richard M., "Three thousand years of Chinese painting" Yale University Press 1997

      26 Kim, I., "Kim Jeong-hee.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7 Kan, T., "Interview with Kan TAI-KEUNG" 6 : 94-101,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