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 영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Problem Behaviors in Toddler(and Children) in the Post-COVID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695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and teachers’ perceptions of problem behaviors in toddlers and children during the post-COVID-19 period. For this study, CBCL1.5-5, C-TRF data from 415 toddler’s and’ parents and teachers at 25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6.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parents and teachers perceive external problem behaviors at a higher frequency than internal problem behaviors of toddlers and children. Second, teachers perceive the level of all toddler’s and problem areas except physical symptoms higher than parents. Third, the agreement of parents’ and teachers’ evaluation was very low in all problem areas for the same infant. In conclusion,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problem behaviors in toddlers and childre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parents and teachers need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integrate the understanding of infant development for the healthy growth of toddlers and childre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and teachers’ perceptions of problem behaviors in toddlers and children during the post-COVID-19 period. For this study, CBCL1.5-5, C-TRF data from 415 toddler’s and’ parents and teachers 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and teachers’ perceptions of problem behaviors in toddlers and children during the post-COVID-19 period. For this study, CBCL1.5-5, C-TRF data from 415 toddler’s and’ parents and teachers at 25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6.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parents and teachers perceive external problem behaviors at a higher frequency than internal problem behaviors of toddlers and children. Second, teachers perceive the level of all toddler’s and problem areas except physical symptoms higher than parents. Third, the agreement of parents’ and teachers’ evaluation was very low in all problem areas for the same infant. In conclusion,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problem behaviors in toddlers and childre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parents and teachers need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integrate the understanding of infant development for the healthy growth of toddlers and childre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소연, "코로나19가 유아의 발달에 미친 영향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 현상학적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2 최은희, "코로나19 전후 영유아 발달격차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3 조명희 ; 김효정, "취학전 아동의 언어발달과 의사소통장애에 대한 교사 및 부모의 인식과 요구도" 한국언어치료학회 30 (30): 149-162, 2021

      4 강현경 ; 조형숙,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교사 평가 간의 차이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171-193, 2008

      5 조희숙,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 지각과 어머니 지각간의 관계 연구" 8 (8): 165-181, 1998

      6 방명애, "유아기 정서 및 행동장애" 2007

      7 정이은, "유아 행동문제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평가 일치도 : 어머니의 우울과 불안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8 이지혜, "예비유아교사가 현장실습을 통해 지각한 코로나19 시대 교육현장의 문제"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11 (11): 43-70, 2021

      9 박나영, "영유아기 정서 및 행동 문제에 대한 부모와 일반 교사의 인식 및 지원욕구 조사" 6 (6): 57-83, 2013

      10 원지영, "영유아 행동문제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교사 협력에 대한 기대" 79-, 2022

      1 박소연, "코로나19가 유아의 발달에 미친 영향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 현상학적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2 최은희, "코로나19 전후 영유아 발달격차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3 조명희 ; 김효정, "취학전 아동의 언어발달과 의사소통장애에 대한 교사 및 부모의 인식과 요구도" 한국언어치료학회 30 (30): 149-162, 2021

      4 강현경 ; 조형숙,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교사 평가 간의 차이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171-193, 2008

      5 조희숙,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 지각과 어머니 지각간의 관계 연구" 8 (8): 165-181, 1998

      6 방명애, "유아기 정서 및 행동장애" 2007

      7 정이은, "유아 행동문제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평가 일치도 : 어머니의 우울과 불안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8 이지혜, "예비유아교사가 현장실습을 통해 지각한 코로나19 시대 교육현장의 문제"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11 (11): 43-70, 2021

      9 박나영, "영유아기 정서 및 행동 문제에 대한 부모와 일반 교사의 인식 및 지원욕구 조사" 6 (6): 57-83, 2013

      10 원지영, "영유아 행동문제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교사 협력에 대한 기대" 79-, 2022

      11 보건복지부, "영유아 지역정신건강증진사업 모델 개발" 동부 2013

      12 문영경,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주의조절과 억제통제의 병렬 매개효과 검증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31) : 113-134, 2021

      13 문송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14 김지혜, "어머니와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행복과 유치원 적응 및 문제행동과의 관계"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1

      15 유세영 ; 조윤경, "어린이집 재원 만 3, 4, 5세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비교"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3 (23): 275-304, 2019

      16 서정숙, "어린이집 교사와 부모가 지각하는 유아의 행동문제와 지도방안 연구" 동방문화대학교 대학원 2014

      17 이진경, "아동의 위축행동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지도실태조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2

      18 이경숙 ; 정석진, "보육교사가 보고하는 영유아의 정신건강 문제행동 및 지도방법"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9 (9): 1-32, 2016

      19 강명희,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 아동, 교사 평가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0 Shorer, M., "Young Children’s Emotional Stress Reactions during the COVID-19 Outbreak and their Associations with Parental Emotion Regulation and Parental Playfulness" 192 (192): 861-871, 2022

      21 Bartels, M., "Twins and the Study of Rater (dis) Agreement" 12 (12): 451-466, 2007

      22 Araújo, L. A., "The Potential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Child Growth and Development : a Systematic Review" 97 (97): 369-377, 2021

      23 Tremblay, R, E., "Physical Aggression during Early Childhood : Trajectories and Predictors" 114 (114): 43-50, 2004

      24 Egan, S. M., "Missing Early Education and Care During the Pandemic : The Socio‑Emotional Impact of the COVID‑19 Crisis on Young Children" 49 : 925-934, 2021

      25 Achenbach, T. M., "Manual for the ASEBA Preschool Forms & Profiles" University of Vermont 2000

      26 양영숙, "MBTI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아수용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7 Deoni, S.,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Early Child Cognitive Development: Initial Findings in a Longitudinal Observational Study of Child Health" preprint server for health sciences 2021

      28 Hester, P. P., "Early Intervention with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Behavioral Disorders: A Critical Examination of Research Methodology and Practices" 26 : 362-381, 2003

      29 Pierce, E. W., "Diagnostic Status and Symptomatic Behavior of Hard-to-manage Preschool Children in Middle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28 (28): 44-57, 1999

      30 오경자, "CBCL 1.5-5 매뉴얼" 휴노컨설팅 2009

      31 오경자, "C-TRF 한국판 유아행동평가척도 교사용" 휴노컨설팅 2009

      32 Kolb, B., "Brain and Behavioural Plasticity in the Developing Brain: Neuroscience and Public Policy" 14 (14): 651-652, 2009

      33 Gross, D., "Behavior Problems in Young Children : An Analysis of Cross informant Agreements and Disagreements" 27 (27): 413-425, 2004

      34 Campbell, S. B., "Behavior Problems in Preschool Children: Clinical and Developmental issues" Guilford Press 2006

      35 송수미 ; 김재환, "ADHD 및 우울/불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교사간 평정 일치도"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859-869, 2002

      36 보건복지부, "2021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육아정책연구소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