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콘텐츠의 탄생과 확산이 융성되는 현시점에서 본고는 K-dance의 주제적 개념 정립을 토대로 ‘Feel the rhythm of Korea1’ 춤의 성공 원인을 도출하여, K-dance의 미래 방향성을 도모하고자 했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한류 콘텐츠의 탄생과 확산이 융성되는 현시점에서 본고는 K-dance의 주제적 개념 정립을 토대로 ‘Feel the rhythm of Korea1’ 춤의 성공 원인을 도출하여, K-dance의 미래 방향성을 도모하고자 했다....
한류 콘텐츠의 탄생과 확산이 융성되는 현시점에서 본고는 K-dance의 주제적 개념 정립을 토대로 ‘Feel the rhythm of Korea1’ 춤의 성공 원인을 도출하여, K-dance의 미래 방향성을 도모하고자 했다. 그 결과, 첫째 K-dance의 주제적 개념은 전형典型적으로 내려온 한국춤에서부터 한국 문화 창달의 힘으로 한국인에 의해 창착된 춤까지를 아울러 가리키며, 한국 문화의 정체성 및 세계적인 비전을 통해 인류의 공감을 형성할 수 있는 콘텐츠라고 할 수 있다. 둘째, ‘Feel the rhythm of Korea1’의 춤은 이날치 수궁가에 맞춰서 춤의 원리·표현 양식·구성·의도 요소들을 기발, 코믹, 자유롭게 교차시켜서 보여준다. 한국과 세계 사이, 일상과 예술 사이, 전통과 현대 사이의 경계선 위에서 고도의 음악적 분석과 그에 따른 동작의 수행으로 탄생한 이 춤은 한국을 제대로 알렸다. 인간의 보편적인 리듬과 움직임을 토대로 세계적인 감각, 니즈, 코드 요소들을 가미하여 한국적인 완성체로 끌어냈다. 이는 이 춤을 K-dance의 성공적인 사례로 꼽는 이유이기도 하다. 셋째, 안무자의 철학, 자유자재한 표현, 음악에 대한 이해, 숙련된 동작 기술의 채용, 보편적 기호의 포착, 현대적 니즈의 반영을 토대로 그것을 조화롭게 춤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창작력이 K-dance 성공의 핵심 열쇠이다. 더불어 K-dance의 자유로운 도전을 장려해 주고, 창작자 육성과 지원에 주력하고, 해외 시장 진출의 전략적인 지휘가 가능한 기획 시스템이 구축된다면, K-dance 미래는 더욱 기대해도 좋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rives the reason for success of ‘Feel the Rhythm of Korea1’ by identifying the thematic concept of K-dance and seeks to gauge the future development of K-d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dance’s thematic concept is a genr...
This Study derives the reason for success of ‘Feel the Rhythm of Korea1’ by identifying the thematic concept of K-dance and seeks to gauge the future development of K-d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dance’s thematic concept is a genre that is created as a Hallyu content which includes not only Korean dances, but also new dances created by Koreans. It is a daring movement that aims to challenge the global vision by displaying the creative prowess of Korean culture with the creation of new dances, rather than showing off what already exists. Second, ‘Feel the Rhythm of Korea1’ is a dance to Inalchi <Sugungga> music that freely intersects dance principles, expressions, compositions, and purposes in a creative and humorous way. It played a vital role in publicizing Korea by creating movements based on musical interpretation that lingers on the boundaries between Korea and the world, daily life and art, and the traditional and the contemporary. Third, the major reasons for the success of K-dance are the choreographer’s philosophies, freedom of expression, understanding of music, mastery in movements, identification of general signals, and the application of contemporary demand to create a harmonious dance. Moreover, we can anticipate a brighter future for K-dance if we continue to encourage creative innovations of K-dance, rear and support choreographers, and construct a planning system that could strategically lead the expansion of K-dance to global marke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윤지, "한국춤의 정체성으로 본 BTS 성공의 재조명 : 2018 멜론 뮤직어워드 무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사회연구소 5 (5): 103-129, 2021
2 황경숙 ; 윤미정, "한국무용에 내재된 색채의 의미" 한국체육철학회 19 (19): 255-269, 2011
3 임수정, "한국 전통춤 장단 고찰" 우리춤연구소 10 (10): 81-123, 2014
4 김윤지, "코로나 시대와 한국춤의 미래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사회연구소 4 (4): 5-34, 2020
5 김윤지, "창작성의 경계로 본 무용 저작물의 재조명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4 (44): 489-508, 2022
6 김용복, "韓國舞踊 構造의 易學的 해석" 한국유교학회 (31) : 415-444, 2008
7 "https://www.youtube.com/watch?v=24iEAmpWn-0&list=PL4Lb93R1nd7ctttoHCmCXxEZcGy_KUYpY"
8 "https://namu.wiki/w/%EC%9D%B4%EB%82%A0%EC%B9%98"
9 "https://namu.wiki/w/%EC%95%B0%EB%B9%84%EA%B7%9C%EC%96%B4%EC%8A %A4%EB%8C%84%EC%8A%A4%EC%BB%B4%ED%8D%BC%EB%8B%88"
10 Hegstrom, Timothy G, "Message Impact: What Percentage is Nonverbal?" 43 : 1979
1 김윤지, "한국춤의 정체성으로 본 BTS 성공의 재조명 : 2018 멜론 뮤직어워드 무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사회연구소 5 (5): 103-129, 2021
2 황경숙 ; 윤미정, "한국무용에 내재된 색채의 의미" 한국체육철학회 19 (19): 255-269, 2011
3 임수정, "한국 전통춤 장단 고찰" 우리춤연구소 10 (10): 81-123, 2014
4 김윤지, "코로나 시대와 한국춤의 미래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사회연구소 4 (4): 5-34, 2020
5 김윤지, "창작성의 경계로 본 무용 저작물의 재조명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4 (44): 489-508, 2022
6 김용복, "韓國舞踊 構造의 易學的 해석" 한국유교학회 (31) : 415-444, 2008
7 "https://www.youtube.com/watch?v=24iEAmpWn-0&list=PL4Lb93R1nd7ctttoHCmCXxEZcGy_KUYpY"
8 "https://namu.wiki/w/%EC%9D%B4%EB%82%A0%EC%B9%98"
9 "https://namu.wiki/w/%EC%95%B0%EB%B9%84%EA%B7%9C%EC%96%B4%EC%8A %A4%EB%8C%84%EC%8A%A4%EC%BB%B4%ED%8D%BC%EB%8B%88"
10 Hegstrom, Timothy G, "Message Impact: What Percentage is Nonverbal?" 43 : 1979
K-culture의 감성코드에 대한 탐색 : 벤담의 쾌락, 고통, 감성을 중심으로
시청각 서비스 부문 K-콘텐츠 확산을 위한 FTA 문화협력 현황 및 대응 방안 분석 : 한·미 FTA와 한-EU FTA를 중심으로
K-pop의 미국 진출 전략과 빌보드 점령과정 : BTS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