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朝鮮과 明의 鄕賢 추숭과 鄕賢祠 건립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Construction of Shrine(鄕賢祠) and Worship(追崇) for Local Worthies(鄕賢) of Chosun(朝鮮) and Ming(明)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458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studied ritual comparing worship culture for local worthies that was implemented in local society during Chosun and Ming dynasty. The worship culture of the two countries showed a certain difference in the form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gion and the period. In Korea way of worship for dead local worthies was that confucians made Sôwons(書院) and schrines(祠宇) and carried out ceremony of confucianism with a mortuary tablet(位牌), but was not that they built confucian shrine(大成殿) with east corridor(東廡) and west corridor(西廡). In china of Ming dynasty, culture of worship of local worthies was that bureaucrat at the local shrine of worthies built in school(學宮) of local government became center and made a worship for local worthies. The ruling class in both countries made a worship for local worthies with building a lot of shrines and the number local worthies who wanted to be in the shrines had increased in spite of regulation from government. Korean and Chinese worship culture weren't different originally because implementation of worship for dead local worthies who had moral influence and high academic achievement was able to educate people at local society.
      번역하기

      This thesis studied ritual comparing worship culture for local worthies that was implemented in local society during Chosun and Ming dynasty. The worship culture of the two countries showed a certain difference in the form developed according to the r...

      This thesis studied ritual comparing worship culture for local worthies that was implemented in local society during Chosun and Ming dynasty. The worship culture of the two countries showed a certain difference in the form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gion and the period. In Korea way of worship for dead local worthies was that confucians made Sôwons(書院) and schrines(祠宇) and carried out ceremony of confucianism with a mortuary tablet(位牌), but was not that they built confucian shrine(大成殿) with east corridor(東廡) and west corridor(西廡). In china of Ming dynasty, culture of worship of local worthies was that bureaucrat at the local shrine of worthies built in school(學宮) of local government became center and made a worship for local worthies. The ruling class in both countries made a worship for local worthies with building a lot of shrines and the number local worthies who wanted to be in the shrines had increased in spite of regulation from government. Korean and Chinese worship culture weren't different originally because implementation of worship for dead local worthies who had moral influence and high academic achievement was able to educate people at local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중기 이래 향촌사회에서 전개된 鄕賢 追崇 문화와 명대 지방사회에서 전개된 향현 崇祀 문화에 대한 고찰을 통해 양국의 향촌사회사의 특성을 비교해 보고자 한 것이다. 양국의 추숭 문화는 지역과 시기에 따라 전개되는 형태에서 일정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조선의 향현 추숭은 향교의 大成殿과 그 앞의 좌우에 위치한 東廡나 西廡에서가 아니라, 재지사족이 주도적으로 관아 바깥에 서원이나 사우를 지어 위패를 봉안하고 향사하는 방식이었다. 명대 지방사회의 추숭 문화는 관아의 學宮 안에 설치된 향현사에서 官이 중심이 되어 여러 향현들을 제사 지내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양국의 지배층은 활발하게 향현사를 지어 향현들을 추숭하였으며, 향현사에 入祀하려는 향현의 수는 당국의 제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시기가 내려갈수록 증가하였다. 조선과 명의 추숭문화는 덕망과 학문이 높은 지역의 향현을 받들어 제향 하였다는 것과 이로써 지방사회의 백성들을 다스린다는 교화 체계의 하나가 되었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조선중기 이래 향촌사회에서 전개된 鄕賢 追崇 문화와 명대 지방사회에서 전개된 향현 崇祀 문화에 대한 고찰을 통해 양국의 향촌사회사의 특성을 비교해 보고자 한 것이다. 양국...

      본 연구는 조선중기 이래 향촌사회에서 전개된 鄕賢 追崇 문화와 명대 지방사회에서 전개된 향현 崇祀 문화에 대한 고찰을 통해 양국의 향촌사회사의 특성을 비교해 보고자 한 것이다. 양국의 추숭 문화는 지역과 시기에 따라 전개되는 형태에서 일정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조선의 향현 추숭은 향교의 大成殿과 그 앞의 좌우에 위치한 東廡나 西廡에서가 아니라, 재지사족이 주도적으로 관아 바깥에 서원이나 사우를 지어 위패를 봉안하고 향사하는 방식이었다. 명대 지방사회의 추숭 문화는 관아의 學宮 안에 설치된 향현사에서 官이 중심이 되어 여러 향현들을 제사 지내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양국의 지배층은 활발하게 향현사를 지어 향현들을 추숭하였으며, 향현사에 入祀하려는 향현의 수는 당국의 제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시기가 내려갈수록 증가하였다. 조선과 명의 추숭문화는 덕망과 학문이 높은 지역의 향현을 받들어 제향 하였다는 것과 이로써 지방사회의 백성들을 다스린다는 교화 체계의 하나가 되었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동표, "조선후기 창녕지역의 향안 중수와 재지사족"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0) : 201-232, 2011

      2 장동표, "조선후기 밀양 表忠祠의 연혁과 祠宇 이건 분쟁" 한국역사연구회 35 : 2000

      3 이해준,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경인문화사 2008

      4 장동표, "조선시대 영남 재지사족 연구" 태학사 2015

      5 장동표, "조선시기와 명청대의 鄕約 시행과 그 성격 비교 연구" 한국민족문화연구소 (58) : 237-263, 2016

      6 장동표, "조선시기 在地士族과 명청대 紳士에 대한 비교 고찰" 효원사학회 44 : 307-332, 2013

      7 김훈식, "조선 후기의 吉再 追崇과 백성 교화 - 烈女 藥哥 이야기를 중심으로" 부산경남사학회 (92) : 73-104, 2014

      8 임용한, "조선 후기 수령 선정비의 분석 ―안성 · 죽산 · 과천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26) : 163-195, 2007

      9 한기범, "우암 송시열에 대한 후대인의 추숭과 평가" 한국사상문화학회 (42) : 121-171, 2008

      10 송기호, "수령과 선정비" 대한토목학회 59 (59): 2011

      1 장동표, "조선후기 창녕지역의 향안 중수와 재지사족"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0) : 201-232, 2011

      2 장동표, "조선후기 밀양 表忠祠의 연혁과 祠宇 이건 분쟁" 한국역사연구회 35 : 2000

      3 이해준,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경인문화사 2008

      4 장동표, "조선시대 영남 재지사족 연구" 태학사 2015

      5 장동표, "조선시기와 명청대의 鄕約 시행과 그 성격 비교 연구" 한국민족문화연구소 (58) : 237-263, 2016

      6 장동표, "조선시기 在地士族과 명청대 紳士에 대한 비교 고찰" 효원사학회 44 : 307-332, 2013

      7 김훈식, "조선 후기의 吉再 追崇과 백성 교화 - 烈女 藥哥 이야기를 중심으로" 부산경남사학회 (92) : 73-104, 2014

      8 임용한, "조선 후기 수령 선정비의 분석 ―안성 · 죽산 · 과천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26) : 163-195, 2007

      9 한기범, "우암 송시열에 대한 후대인의 추숭과 평가" 한국사상문화학회 (42) : 121-171, 2008

      10 송기호, "수령과 선정비" 대한토목학회 59 (59): 2011

      11 정경주, "대소헌 조종도의 인물 형상에 대하여" 경남문화연구원 (38) : 165-202, 2013

      12 장동표, "鲜中期在地士族的先贤和乡贤追崇活动" 2016

      13 高明士, "韩国朝鲜王朝的庙学与书院」" 20 (20): 2006

      14 정만조, "韓國 書院의 歷史" 한국학연구소 29 : 1-26, 2007

      15 "迂拙齋先生實記 (朴漢柱)"

      16 "覽懷堂先生文集(李而杜)"

      17 "菊潭集 (朴壽春)"

      18 "肅宗實錄"

      19 "紫雲集(李宜翰)"

      20 余新忠, "清前期乡贤的社会构成初探--以浙西杭州和湖州府为中心" 20 (20): 2003

      21 陈冬冬, "清代湖北士绅李道平的地方事业与入祀乡贤祠" 17 (17): 2006

      22 于曉紅, "清代河南书院祭祀研究" 貴州大學 2016

      23 김지영, "正祖代 思悼世子 追崇 典禮 논쟁의 재검토" 한국사연구회 (163) : 337-377, 2013

      24 정만조, "朝鮮時代 書院硏究" 집문당 1997

      25 장동표, "朝鮮後期 密陽 在地士族의 鄕賢 追崇 活動 -孫起陽 追崇을 中心으로" 2017

      26 "星湖僿說 (李瀷)"

      27 张玉娟, "明清时期乡贤祠研究——以河南乡贤祠为中心" 河南大学 2009

      28 李允碩, "明淸시대 江南의 文廟와 城隍廟 -都市 祭祀·信仰 中心의 構造와 變遷" 명청사학회 17 : 2002

      29 한승현, "明淸時代의 名宦·鄕賢 入祠 樣相의 變化와 그 意味" 한국중국학회 (54) : 347-378, 2006

      30 刘华明, "明代苏州乡贤研究" 蘇州大学 2016

      31 赵克生, "明代地方庙学中的乡贤祠与名宦祠" 1 : 2005

      32 张会会, "明代乡贤祭祀中的“公论”—以陈亮的“罢而復祀”为中心" 2 : 2015

      33 张会会, "明代乡贤祭祀与儒学正统" 4 : 2015

      34 "文獻攷略"

      35 "密州鄕案"

      36 "密州誌抄"

      37 "密州誌"

      38 "密州徵信錄"

      39 远藤隆俊, "宋代苏州的范文正公祠" 2008

      40 牛建强, "地方先贤祭祀的展开与明清国家权力的基层渗透" 04 : 2013

      41 赵克生, "嘉靖时代的祭礼大变革" 2 : 2008

      42 "元史"

      43 "儒林外史"

      44 "備邊司謄錄"

      45 魏 峰, "从先贤祠到乡贤祠——从先贤祭祀看宋明地方认同" 9 : 2008

      46 邹小站, "乡贤文化应在当今有所作为" 中国社会科学院近代史研究所 6 : 2015

      47 邓洪波, "中國書院史" 武漢大學出版社 2011

      48 朱漢民, "中國 書院의 歷史" 한국학연구소 29 : 27-60, 2007

      49 장동표, "16,17세기 청도지역 재지사족의 향촌지배와 그 성격" 부산대학교사학회 22 : 1998

      50 김훈식, "15세기 朝家의 吉再 追崇과 인식" 민족문화연구소 (50) : 3-31,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4 1.2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