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엄은 단순한 보존과 수집의 기능에서 사회적 서비스 및 교육의 장으로 서 많은 행사와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과거의 뮤지엄 역할에 기능적 인 확대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522857
서울 : 홍익대학원 대학원, 2020
2020
한국어
727.6729 판사항(22)
서울
A Study on children’s museum design based on John Dewey’s empirical theory
[vii], 50장 : 삽화 ; 26 cm
지도교수: 김주연
국·영문초록수록
참고문헌: 장 45-47
I804:11064-00000002425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뮤지엄은 단순한 보존과 수집의 기능에서 사회적 서비스 및 교육의 장으로 서 많은 행사와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과거의 뮤지엄 역할에 기능적 인 확대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현...
뮤지엄은 단순한 보존과 수집의 기능에서 사회적 서비스 및 교육의 장으로 서 많은 행사와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과거의 뮤지엄 역할에 기능적 인 확대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현재 어린이 뮤지엄은 어린이의 교육을 위 하여 여러 가지 교육 프로그램들이 모색되고 있다. 어린이 교육의 패러다임은 과거 전통적인 주입식 지식 학습에서 아동의 신체, 인지, 정서를 위하여 능동 적 체험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는 어린이 스스로 보고 만지고 느끼면서 경험 하며, 얻은 지식을 재구성하고 의문을 제기하며, 스스로 뇌의 자극을 통하여 답을 찾는 과정을 중요시하는 것이다. 어린이 뮤지엄 또한 이러한 능동적 자극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어린이의 인지발달과 진보주의적 경험을 강조한 존 듀이의 경험론을 근거로 어린이 뮤지엄 공간에 나타나는 경험론적 특성을 구 분하고, 실제로 구현된 어린이 뮤지엄 분석을 통해 그 특성들이 어린이 뮤지엄 공간디자인에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경험 이론을 중심으로 하여 문헌 고찰을 통해 어린이 인지 발달론과 듀이의 경험적 특성에 대한 관계를 알아본다. 또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어린 이 뮤지엄의경험론적 공간 특성에 대한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앞서 어린이 뮤지 엄의 경험론적 공간 특성을 토대로 사례 분석의 틀을 도출하여 어린이 뮤지엄 공간에 대해 분석하였다. 경험적 공간을 중심으로 2000년 이후 국 내·외에서 발 행된 서적, 잡지 및 기존 연구 논문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서울 상상나라와 국 립 중앙 어린이 박물관을 국내 사례로 선정하였다. 또한, 어린이뮤지엄학, 교육 학과 커뮤니케이션학에 있어서 최신 발전을 반영하고 있는 일본의 키즈 플라자 와 2015년 국제 어린이 뮤지엄 상을 수상한 ZOOM 어린이박물관과 보스턴 어 린이박물관을 국제 사례로 선정하였다. 어린이 뮤지엄 공간과 존 듀이의 경험론 에 대한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하여 어린이 뮤지엄 공간에서 나타나는 경험적 특 성을 감각 참여성, 매체 연상성, 자발적인 역동성, 과정 중심성, 총체적 연속성 의 다섯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도출된 특성을 바탕으로 사례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어린이 뮤지엄의 경험론적 공간 특성 중 총체적 연속성이 높게 나타 났으며 매체적 연상성 또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 는 뮤지엄일수록 감각적 참여성과 매체적 연상성에 대한 비중은 비교적 높은 수 준을 나타내는 반면 5세 이상의 어린이 뮤지엄은 감각과 매체적 연상성에 대한 비중은 비교적 낮은 지수를 나타내므로 대상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이론적 지 식을 주입식으로 습득하는 것보다 직접적인 신체 경험이 어린이들의 흥미를 자 극한다. 본 연구는 직접 ‘경험’ 한다는 것을 중점으로 두고, 어린이 뮤지엄 공간 과 존 듀이의 경험론에 대한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하여 어린이 뮤지엄 공간에서 나타나는 경험적 특성을 감각 참여성, 매체 연상성, 자발적 역동성, 과정 중심 성, 총체적 연속성의 다섯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다섯 가지의 공간 요소를 바탕으로 실제 어린이 뮤지엄 공간을 분석한 결과 세 가지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첫째, 경험론과 어린이 인지발달학 분석을 통해 듀이의 경험론의 과정은 어린이 인지 발달론의 발전 단계에 존재한다. 경험의 차원도 미성숙이 성숙으 로 가는 발전 단계 과정처럼 발전하면 발전할수록 경험의 결과가 더욱 넓어진 다. 어린이의 1단계 신체 발달에서 1차원적 경험은 2차원적 경험보다 더 많이 작용하고 4단계 사회성 발달에서 총체적 경험은 더 많은 질적 변화와 성장을 가져온다.
둘째, 듀이 교육 측면에서 어린이 뮤지엄은 놀이와 교육의 적절한 균형점 에 있지만, 자발적 역동성과 과정 중심성이 많이 나타나지 않아 더 강조되어 야 할 필요가 있다. 어린이들에게 지식 구조 시스템을 업데이트 하게 하고 공 간을 스스로 계획하는 능력을 양성하고 공감과 교감을 통해 확장성을 느껴질 수 있는 계획을 하여야 한다.
셋째, 어린이 뮤지엄 공간 디자인을 할 때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어린이 뮤지엄의 경험론적 공간 특성인 감각 참여성, 매체 연상성, 자발적 역동성, 과 정 중심성, 총체적 연속성 다섯 가지 특성을 활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공간의 경험적 특성은 어린이들에게 신체적 발달, 상상력 및 창의성을 유발하 는데 큰 도움이 된다.
어린이가 어려서 경험으로부터 받은 영향은 지속적이고 지구성이 있기 때 문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어린이 뮤지엄의 경험론적 공간의 특성은 보편적 기 준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