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충남 공주 제민평야 충적층의 퇴적구조 = The Sedimentary Structure of the Jemin Plain in Gongju, Chungnam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662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dimentary structure of the Jemin Plain alluvial (17.2~31.5 m a.s.l.), developed in the whole area of the Jemin Stream banks in Gongju, Chungnam. The research was done by carrying out facies analysis, grain size analysi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dimentary structure of the Jemin Plain alluvial (17.2~31.5 m a.s.l.), developed in the whole area of the Jemin Stream banks in Gongju, Chungnam. The research was done by carrying out facies analysis, grain size analysis, radiocarbon dating and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of the Plain`s trench materials and exploratory holes drilled on the alluvial plain. Results showed that the thickness of the Plain alluvial was between 2.2 and 14 m. Furthermore, the altitude above sea level of the river bed (buried valley bottom) in the coldest period of the Last Glacial of the Jemin Stream (a tributary of the Geum River) was found to between 3.2 and 28 m. The alluvium of the Plain was largely classified into the Lower layer, the Middle layer and the Upper layer. The Lower layer was composed of gravel in the most part and of a thin layer of peat. This basal gravel layer was deposited in the coldest period of the Last Glacial. The Middle layer mostly consisted of silt and contained a sandy gravel layer, an organic layer and a cultural layer. The Middle layer was formed by flooding in the Post-Glacial age. The Upper layer was mostly composed of silty sand and also contained a sandy silt layer and a buried layer. These silty sand and sandy silt layers were formed by flood and mass movement after the longitudinal profile of the Jemin Stream reached an equilibrium state in the late Post-Glacial age. The buried layer was an artificially dumped layer made to reduce damages caused by river flooding in the modern ag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지훈, "충남 부여 궁남평야 충적층의 퇴적구조" 한국지형학회 21 (21): 81-93, 2014

      2 박지훈, "충남 공주지역의 제4기 후기 화분분석 - 약 14,000yrB.P.의 식생 및 기후환경에 주목하여 -" 한국지형학회 22 (22): 55-62, 2015

      3 박지훈, "천안 근교 구릉지 소유역의 만빙기 이후 사면물질이동" 한국지형학회 14 (14): 55-69, 2007

      4 박지훈, "지형분석과 GIS분석을 이용한 충남 ‘공주 송산리 고분군’ 입지 연구" 백제문화연구소 1 (1): 319-339, 2015

      5 박지훈, "지형분석 및 GIS분석을 이용한 백제시대 충남 공주지역의 촌락분포 연구" 백제문화연구소 1 (1): 325-347, 2014

      6 박지훈, "장재천 유역의 최종빙기 최성기 이후 사면물질 이동" 한국지형학회 13 (13): 31-43, 2006

      7 박지훈, "天安市 木川邑 周邊의 丘陵斜面 削剝過程" 한국지형학회 14 (14): 69-82, 2007

      8 Chough S. K, "sedimentology" wosungmunhwasa 1995

      9 "http://www.kigam.re.kr/"

      10 "http://www.grandculture.net/"

      1 박지훈, "충남 부여 궁남평야 충적층의 퇴적구조" 한국지형학회 21 (21): 81-93, 2014

      2 박지훈, "충남 공주지역의 제4기 후기 화분분석 - 약 14,000yrB.P.의 식생 및 기후환경에 주목하여 -" 한국지형학회 22 (22): 55-62, 2015

      3 박지훈, "천안 근교 구릉지 소유역의 만빙기 이후 사면물질이동" 한국지형학회 14 (14): 55-69, 2007

      4 박지훈, "지형분석과 GIS분석을 이용한 충남 ‘공주 송산리 고분군’ 입지 연구" 백제문화연구소 1 (1): 319-339, 2015

      5 박지훈, "지형분석 및 GIS분석을 이용한 백제시대 충남 공주지역의 촌락분포 연구" 백제문화연구소 1 (1): 325-347, 2014

      6 박지훈, "장재천 유역의 최종빙기 최성기 이후 사면물질 이동" 한국지형학회 13 (13): 31-43, 2006

      7 박지훈, "天安市 木川邑 周邊의 丘陵斜面 削剝過程" 한국지형학회 14 (14): 69-82, 2007

      8 Chough S. K, "sedimentology" wosungmunhwasa 1995

      9 "http://www.kigam.re.kr/"

      10 "http://www.grandculture.net/"

      11 Gongju city, "The ground investigation report on river basic plan (changes) and implementation design outsourcing of Jemin Stream" Gongju city 2011

      12 Hwang, S. I., "The Sedimentary Environmental Changes since the last glacial stage in Gimpo alluvial plain of the Downstream of the Han River" 23 : 446-461, 2003

      13 Yoon, S, O., "The Holocene Environmental Change and Reconstruction of the Palaeogeography at Ilsan Area with the Special Reference to Pollen Analysis" 32 (32): 15-30, 1997

      14 Hwang, S. I., "The Holocene Depositional Environment and Sea-Level Change at Ilsan Area" 33 (33): 143-163, 1998

      15 Choi J. M, "Fluvial process s in the middle of Miryang river and change of prehistoric man life" University of Kyunghee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71 0.769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