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담 채득기의 경천대 경영에 나타난 문화경관 요소의 해석 = Interpretation of Cultural Landscape Elements at the Management of Udam Chae Deug-gi`s Gyeongcheondae(擎天臺)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008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선비인 우담 채득기가 경영한 경천대 일원의 산수경영에 나타난 문화경관 요소의 해석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선시대 선비들의 산수경영과 자연경물에 대...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선비인 우담 채득기가 경영한 경천대 일원의 산수경영에 나타난 문화경관 요소의 해석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선시대 선비들의 산수경영과 자연경물에 대한 명칭부여는 동시대 지식인들의 자연관 형성에 투영되었을 뿐 아니라 정원문화의 유행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우담 채득기는 경북 상주의 낙동강변에서 은거하며 산수를 경영하고, 유유자적하는 삶을 살고자 하였는데, 그가 경영한 경천대 28경은 성리학적 절의와 충절의식에 입각하여 자연경물에 이름을 붙이고 자신의 미의식을 현실화하는 등 산수경영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세부적인 경관의 명칭으로는 크게 ``대명의리와 충절``, ``신선사상`` 그리고 풍유와 소요자적 삶에 따른 ``산수경영의지``, 마지막으로 ``학문탐구`` 등을 상징하였다. 또한, 경천대 일원의 28경처 중 특별히 10가지의 경관을 선택하여 자신이 실제 소요하거나 유희했던 장소를 중심으로 소상팔경의 경관어휘인 시간과 계절 그리고 기상의 변화를 서정적으로 노래하고 있는데, 이는 자연환경의 변화를 통한 소우주의 섭리를 이해하고자 한 당시의 산수경영의 유행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우담 채득기는 자신이 은거한 경천대 일원의 산수경영을 명·청 교체기라는 조선의 상황을 비유하여, 자연의 경물에 이름을 붙이고, 또 암울한 사회를 극복하고자 노력한 것은, 그가 평소 강조한 의리와 절개라는 조선선비들이 가져야 할 덕목을 가치 있게 내세운 성리학적 자연관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made on the interpretation of cultural landscape elements which is shown at nature management around Gyeongcheondae managed by Udam Chae Deug-gi, scholar in Joseon dynasty. Naming the nature management and natural features not only r...

      This research was made on the interpretation of cultural landscape elements which is shown at nature management around Gyeongcheondae managed by Udam Chae Deug-gi, scholar in Joseon dynasty. Naming the nature management and natural features not only reflected on the formation toward the view of nature by the contemporary intellectuals, but influenced on the fashion of garden culture. Udam Chae Deug-gi dwelt in the riverside of Sangju, Kyungbuk as the characteristics of hermitage and managed landscape and had a willing to live a life free from worldly cares. The Gyeongchundae 28 landscapes, which was managed by himself, represent that natural features are named on the basis of neo-confucian principle and loyalty and he imposed symbolic meaning on landscape management by practically translating his aesthetic consciousness to reality; the name of detailed landscape is largely ``loyalty to Ming dynasty and to king`s order and loyalty``, ``Taoism`` and ``Management will of landscape`` by the life of metaphor and enjoyment, and symbolizes ``Searching for learning``. In addition, by selecting 10 out of 28 landscapes around Gyeongcheondae, lyrically describing the landscape by representing the change of time, season and the climate which is the scenic term of Great 8 Sosang views in fashion at that time focusing on the place he strolled or enjoyed watching himself; it can be seen that such moves are related with the landscape management in fashion in order to understand microcosmic providence with the change of natural environment. Therefore, Udam Chaedeug-gi is regarded as the neo-confucian view of nature for which any value scholars in Joseon dynasty have to own - ``loyalty`` and ``integrity`` - he usually emphasized himself to name the natural features and overcome the darkness of society comparing the landscape management around Gyeongchundae he lived a life free from worldly cares to the situation of Joseon dynasty when a transition times between Ming and Chung comes from Chin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진, "李迨(1483~1536)의 月淵亭 別墅 經營과 理想鄕" 한국전통조경학회 26 (26): 18-30, 2008

      2 이행렬, "한산팔영에 나타난 문화경관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 24 (24): 23-38, 2006

      3 구미래, "한국인의 상징세계" 교보문고 2002

      4 임영주, "한국의 전통문양" 대원사 2004

      5 김성균, "하회마을의 문화 경관" 5 : 91-94, 1993

      6 이석해, "최치원 관련 유적의 문화경관 특성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4

      7 馬華, "중국은사문화" 동문선 1997

      8 김태수, "조선시대 선비의 은거문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9 이재근, "조선시대 별서정원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2

      10 정동오, "정약용의 원림생활연구: 정다산 전서를 중심으로" 1 (1): 123-136, 1982

      1 김수진, "李迨(1483~1536)의 月淵亭 別墅 經營과 理想鄕" 한국전통조경학회 26 (26): 18-30, 2008

      2 이행렬, "한산팔영에 나타난 문화경관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 24 (24): 23-38, 2006

      3 구미래, "한국인의 상징세계" 교보문고 2002

      4 임영주, "한국의 전통문양" 대원사 2004

      5 김성균, "하회마을의 문화 경관" 5 : 91-94, 1993

      6 이석해, "최치원 관련 유적의 문화경관 특성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4

      7 馬華, "중국은사문화" 동문선 1997

      8 김태수, "조선시대 선비의 은거문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9 이재근, "조선시대 별서정원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2

      10 정동오, "정약용의 원림생활연구: 정다산 전서를 중심으로" 1 (1): 123-136, 1982

      11 허균, "전통미술의 소재와 싱징" 교보문고 2001

      12 권태을, "자천동 산수록고" 18 : 207-238, 2008

      13 정동오, "윤선도의 부용동원림에 관한 연구" 1 : 269-294, 1987

      14 채득기, "우담선생문집" 우담선생유적보존회 1979

      15 김기탁, "우담 채득기의 누정시가 연구" 상주대학교 1 : 151-209, 1991

      16 권태을, "우담 채득기의 군신언지록고" 상주대학교 18 : 115-145, 2008

      17 홍재휴, "우담 채득기와 봉산곡 연구: 병자호란을 배경한 가사의 신자료" 5 : 7-43, 1959

      18 정동오, "양산보의 소쇄원에 대하여" 1 (1): 27-33, 1973

      19 심우경, "소쇄원에 내재된 상징성" 77-88, 2003

      20 임병학, "선진유학에 나타난 하도낙서" 한국국학진흥원 1 (1): 253-282, 2007

      21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2 손오규, "산수미학탐구" 제주대학교 출판부. 2006

      23 최은창, "보길도 부용동 세연정정원의 공간구성 원리에 관한 연구" 22 (22): 135-148, 1994

      24 이재근, "명승지정 평가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상주 경천대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16 : 1-10, 2004

      25 허균, "뜻으로 풀어본 우리의 옛 그림" 대한교과서 2003

      26 "네이버 항공지도"

      27 "네이버 백과사전"

      28 "네이버 국어사전"

      29 황위주, "낙동강 연안의 유람과 창작 공간" 우리한문학회 18 (18): 1281-1309, 2008

      30 이상희,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권" 넥서스 1999

      31 유주희, "그림으로 본 조선시대 바둑문화" 1 : 21-42, 2007

      32 "경천대 인터넷 홈페이지"

      33 황기원, "경관으로 보는 울산 반구대 암각화 유적" 한국미술사학회 (253) : 2006

      34 "강경모 인터뷰(2010. 10)"

      35 姜求律, "雩潭 蔡得沂의 生涯와 詩世界 硏究"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 : 57-75, 2004

      36 노재현, "通度八景의 景觀象徵性과 敍事構造" 한국전통조경학회 28 (28): 27-37, 2010

      37 김수진, "西溪 朴世堂의 石泉洞 經營과 理想鄕" 한국전통조경학회 25 (25): 1-12, 2007

      38 노재현, "杯山 聯珠亭 12景의 景觀相과 表現美學的 特質" 한국전통조경학회 26 (26): 9-19, 2008

      39 최기수, "曲과 景에 나타난 韓國傳統景觀 構造의 解釋에 관한 硏究" 한양대학교 대학원 1989

      40 김수진, "寒岡 鄭逑(1543~1620)의 武屹九曲 經營과 理想鄕" 한국전통조경학회 26 (26): 59-73, 2008

      41 심우경, "古墳壁畵에 表現된 理想鄕이 庭苑文化에 미친 影響" 한국전통조경학회 25 (25): 11-24, 2007

      42 노재현, "中國 武夷九曲의 場所 美學과 河川形態學的 特性 - 국내 구곡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전통조경학회 26 (26): 1-11, 2008

      43 김덕현, "‘삶의 질’을 위한 경관 독해 - “자연미”와 “장소성”에 대한 문화지리학적 시론" 35 (35): 23-37,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5 0.58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