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요한복음의 ‘고 기독론’과 사마리아의 영지주의 상황 = The Johannine ‘High Christology’ and the Samaritan Gnostic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739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고 기독론’을 비롯한 요한복음만의 독특한 사상이 사마리아의 영지주의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을 모색한다. 불트만이 제일 먼저 그런 모색을 하며 요한복음을 만디아파 영지주의와 연결한 바 있다. 비록 만디아파와의 연결은 시대착오로 밝혀졌지만, 요한복음이 영지주의적이라는 불트만의 관점은 여전히 유효하다. 여기서 말하는 영지주의는 교부들이 말하는 ‘이단 종파’로서의 영지주의가 아니다.
      근래의 영지주의 연구 동향은 영지주의를 종교적 종파로 보기보다는 세계관 혹은 사상으로 보는데, 사마리아에 존재한 이런 의미의 영지주의가 요한복음에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살피는 것이다. 요한복음 연구자들이 대체로 요한복음과 사마리아가 연관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특히 ‘고 기독론’이 사마리아에 연원을 두고 있을 가능성을 인정한다. 사마리아의 사회, 정치, 종교의 역사는 영지주의와 같은 급진적으로 새로운 사상이 탄생할 가능성이 높은 토양을 제공하고, 그 결과 사마리아에는 헬레니즘 문화와 그 한 갈래로서의 영지주의가 번성하였다는 것을 쉽게 추정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한복음에 대한 사마리아의 영향을 인정하는 학자들조차도, 요한복음에 끼친 ‘사마리아 영향’의 실체가 영지주의였을 가능성에 대하여 탐구하지 않는다. 이 글은 사마리아 영지주의가 요한복음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탐색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고 기독론’을 비롯한 요한복음만의 독특한 사상이 사마리아의 영지주의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을 모색한다. 불트만이 제일 먼저 그런 모색을 하며 요한복음을 만디아파 영지주의...

      이 글은 ‘고 기독론’을 비롯한 요한복음만의 독특한 사상이 사마리아의 영지주의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을 모색한다. 불트만이 제일 먼저 그런 모색을 하며 요한복음을 만디아파 영지주의와 연결한 바 있다. 비록 만디아파와의 연결은 시대착오로 밝혀졌지만, 요한복음이 영지주의적이라는 불트만의 관점은 여전히 유효하다. 여기서 말하는 영지주의는 교부들이 말하는 ‘이단 종파’로서의 영지주의가 아니다.
      근래의 영지주의 연구 동향은 영지주의를 종교적 종파로 보기보다는 세계관 혹은 사상으로 보는데, 사마리아에 존재한 이런 의미의 영지주의가 요한복음에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살피는 것이다. 요한복음 연구자들이 대체로 요한복음과 사마리아가 연관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특히 ‘고 기독론’이 사마리아에 연원을 두고 있을 가능성을 인정한다. 사마리아의 사회, 정치, 종교의 역사는 영지주의와 같은 급진적으로 새로운 사상이 탄생할 가능성이 높은 토양을 제공하고, 그 결과 사마리아에는 헬레니즘 문화와 그 한 갈래로서의 영지주의가 번성하였다는 것을 쉽게 추정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한복음에 대한 사마리아의 영향을 인정하는 학자들조차도, 요한복음에 끼친 ‘사마리아 영향’의 실체가 영지주의였을 가능성에 대하여 탐구하지 않는다. 이 글은 사마리아 영지주의가 요한복음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탐색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potential influence of Samaritan Gnosticism on the Gospel of John, particularly regarding its distinctive theological concepts, for example its high-Christology. While acknowledging R. Bultmann’s initial hypothesis linking the Gospel to Mandaean Gnosticism, a connection subsequently deemed anachronistic, this article revisits Bultmann’s broader assertion of a Gnostic influence on the Gosple of John.
      This analysis adopts a contemporary understanding of Gnosticism as a comprehensive worldview or system of ideas, distinct from its categorization as a heretical sect by Church Fathers. Johannine scholars generally acknowledge the connection between the Gospel of John and Samaria, and in particular recognize the possibility that high-Christology may have had its origin in Samaria. Despite the fact that the social, political, and religious history of Samaria provides a fertile ground for the birth of new ideas such as Gnosticism, and that Samaria was home to a thriving Hellenistic culture and Gnosticism as a branch of that culture, even scholars who accept a Samaritan influence on the Gospel of John have not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that the “Samaritan influence” on the Gospel was Gnosticism. This article addresses the hitherto unexplored hypothesis that the acknowledged “Samaritan influence” on the Gospel of John may have been Gnostic in nature.
      번역하기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potential influence of Samaritan Gnosticism on the Gospel of John, particularly regarding its distinctive theological concepts, for example its high-Christology. While acknowledging R. Bultmann’s initial hypothesis link...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potential influence of Samaritan Gnosticism on the Gospel of John, particularly regarding its distinctive theological concepts, for example its high-Christology. While acknowledging R. Bultmann’s initial hypothesis linking the Gospel to Mandaean Gnosticism, a connection subsequently deemed anachronistic, this article revisits Bultmann’s broader assertion of a Gnostic influence on the Gosple of John.
      This analysis adopts a contemporary understanding of Gnosticism as a comprehensive worldview or system of ideas, distinct from its categorization as a heretical sect by Church Fathers. Johannine scholars generally acknowledge the connection between the Gospel of John and Samaria, and in particular recognize the possibility that high-Christology may have had its origin in Samaria. Despite the fact that the social, political, and religious history of Samaria provides a fertile ground for the birth of new ideas such as Gnosticism, and that Samaria was home to a thriving Hellenistic culture and Gnosticism as a branch of that culture, even scholars who accept a Samaritan influence on the Gospel of John have not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that the “Samaritan influence” on the Gospel was Gnosticism. This article addresses the hitherto unexplored hypothesis that the acknowledged “Samaritan influence” on the Gospel of John may have been Gnostic in natur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