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大倧敎의 神觀에 관한 철학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345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종교는 고대부터 내려온 우리 고유의 仙敎, 또는 神敎의 전통을 이어받은 종교로서 고유성을 갖고 있다. 그러면서 대종교의 교리에는 동시대의 다른 민족종교와는 달리 외래종교나 타 종교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부분이 보이지 않아 독창성도 갖고 있다.
      대종교의 초기 경전은 『三一神誥』와 『神事記』, 『神理大典』과 『會三經』등이라 할 수 있다. 『三一神誥』에 담겨 있는 一神은, 세 가지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면서 세 가지의 작용을 하시는 분이다. ?神事記?에 나타나 있는 三神은 조화주 한임과 교화주 한웅과 치화주 한검이다. 이에 대해 ?神理大典?에서는 “한얼님은 한임과 한웅과 한검이니라.”고 하면서 “나누면 셋이요, 합하면 하나니, 셋과 하나로써 한얼님 자리가 정해지느니라.”라고 하고, ?會三經?에서는 “하나이자 셋이니 주체로는 더없는 위에 사무치며, 쓰임으로는 더없는 끝에까지 다하시니라.”라고 하여 一神과 三神을 체용의 관계로 연결시켜 三神一體를 말하고 있다.
      대종교의 一神에 대한 관념 속에는 고대부터 내려온 우리 고유의 하느님 신관이 담겨 있고, 三神에 대한 관념 역시 환인[한임]ㆍ환웅[한웅]ㆍ단군[한검]을 중심으로 한 우리 고유의 삼신 관념이 담겨 있다. 그러므로 一神의 성격 속에는 기독교적 유일신과는 달리 초월성과 내재성이 융합되어 있고, 三神의 성격 속에는 환웅이 중심인 「단군신화」와 달리 한임과 한웅과 한검의 역할이 조화와 교화와 치화로서 조화를 이루고 있다. 그러면서도 一神卽三神ㆍ三神卽一神의 상호작용 관계로 연결시킨 대종교의 삼신일체적 신관은 기독교의 삼위일체설과는 달리 執一含三과 會三歸一을 중심으로 한體用論的 神觀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대종교의 신관은 우리 고유의 신관을 이어받아 고유성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초월성과 내재성이 융합된 일신론과 조화ㆍ교화ㆍ치화라는 역할 중심의 삼신론이 체와 용으로 연결된 삼신일체라는 관념을 이루어 나름대로의 독창성도 함께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대종교는 고대부터 내려온 우리 고유의 仙敎, 또는 神敎의 전통을 이어받은 종교로서 고유성을 갖고 있다. 그러면서 대종교의 교리에는 동시대의 다른 민족종교와는 달리 외래종교나 타 종...

      대종교는 고대부터 내려온 우리 고유의 仙敎, 또는 神敎의 전통을 이어받은 종교로서 고유성을 갖고 있다. 그러면서 대종교의 교리에는 동시대의 다른 민족종교와는 달리 외래종교나 타 종교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부분이 보이지 않아 독창성도 갖고 있다.
      대종교의 초기 경전은 『三一神誥』와 『神事記』, 『神理大典』과 『會三經』등이라 할 수 있다. 『三一神誥』에 담겨 있는 一神은, 세 가지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면서 세 가지의 작용을 하시는 분이다. ?神事記?에 나타나 있는 三神은 조화주 한임과 교화주 한웅과 치화주 한검이다. 이에 대해 ?神理大典?에서는 “한얼님은 한임과 한웅과 한검이니라.”고 하면서 “나누면 셋이요, 합하면 하나니, 셋과 하나로써 한얼님 자리가 정해지느니라.”라고 하고, ?會三經?에서는 “하나이자 셋이니 주체로는 더없는 위에 사무치며, 쓰임으로는 더없는 끝에까지 다하시니라.”라고 하여 一神과 三神을 체용의 관계로 연결시켜 三神一體를 말하고 있다.
      대종교의 一神에 대한 관념 속에는 고대부터 내려온 우리 고유의 하느님 신관이 담겨 있고, 三神에 대한 관념 역시 환인[한임]ㆍ환웅[한웅]ㆍ단군[한검]을 중심으로 한 우리 고유의 삼신 관념이 담겨 있다. 그러므로 一神의 성격 속에는 기독교적 유일신과는 달리 초월성과 내재성이 융합되어 있고, 三神의 성격 속에는 환웅이 중심인 「단군신화」와 달리 한임과 한웅과 한검의 역할이 조화와 교화와 치화로서 조화를 이루고 있다. 그러면서도 一神卽三神ㆍ三神卽一神의 상호작용 관계로 연결시킨 대종교의 삼신일체적 신관은 기독교의 삼위일체설과는 달리 執一含三과 會三歸一을 중심으로 한體用論的 神觀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대종교의 신관은 우리 고유의 신관을 이어받아 고유성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초월성과 내재성이 융합된 일신론과 조화ㆍ교화ㆍ치화라는 역할 중심의 삼신론이 체와 용으로 연결된 삼신일체라는 관념을 이루어 나름대로의 독창성도 함께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 religion inherited traditions of our own Seon-Gyo or Sin-Gyo, Daejong-Gyo[大倧敎] has its own uniqueness. Compared to other ethnic religions of the same age, Daejong-Gyo[大倧敎]’s religious dogma has its own originality because it was not influenced by foreign religion or other religion.
      The earliest scriptures of Daejong-Gyo[大倧敎] are “Sam Il Shin Go[三一神誥]”, “Shin Sa Gi[神事記]” and “Shin Lee Dae Jeon[神理大典]”, “Hwe Sam Kyeong[會三經]”, etc. “Sam Il Shin Go[三一神誥]” discusses single God, “Shin Sa Gi[神事記]” talks about trinity God, “Shin Lee Dae Jeon[神理大典]”considers trinity God as single God, single God as trinity God. “Hwe Sam Kyeong[會三經]” developed and extended this to a view of human, of asceticism and of ethnical belief.
      The monotheism of Daejong-Gyo[大倧敎] inherited its own religious concept of god from ancient Korea. Also tritheism embodies our own religious concept of god centered around “Hwan In [Han Im]”, “Hwan Wung [Han Wung]”, “Dan Gun [Han Geom]”. This is the reason why monotheism fused with transcendence and immanence is different from protestant monotheistic religion.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tritheism, the role of Han Im, Han Wung and Han Geom harmonize with each other as a creation, edification and the government.
      Religious concept of Trinitarian of DaeJong-Gyo[大倧敎] which connected interaction relationship between monotheism and tritheism, unlike trinitarianism [三位一體] of christianity, is the thing and its function’s theory[體用論] containing the principle as “include three in catching one and return to one in gathering three”.
      Therefore, the religious concept of DaeJong-Gyo[大倧敎]’s God, which was inherited our distinctive concept of religion has its own uniqueness, and monotheism that is fused into transcendence & immanence and tritheism plays a key role for creation, edification, the government makes concept named Trinitarian[三神一體] which is connects the thing and the function. It could have creativity in its own way.
      번역하기

      As a religion inherited traditions of our own Seon-Gyo or Sin-Gyo, Daejong-Gyo[大倧敎] has its own uniqueness. Compared to other ethnic religions of the same age, Daejong-Gyo[大倧敎]’s religious dogma has its own originality because it was not...

      As a religion inherited traditions of our own Seon-Gyo or Sin-Gyo, Daejong-Gyo[大倧敎] has its own uniqueness. Compared to other ethnic religions of the same age, Daejong-Gyo[大倧敎]’s religious dogma has its own originality because it was not influenced by foreign religion or other religion.
      The earliest scriptures of Daejong-Gyo[大倧敎] are “Sam Il Shin Go[三一神誥]”, “Shin Sa Gi[神事記]” and “Shin Lee Dae Jeon[神理大典]”, “Hwe Sam Kyeong[會三經]”, etc. “Sam Il Shin Go[三一神誥]” discusses single God, “Shin Sa Gi[神事記]” talks about trinity God, “Shin Lee Dae Jeon[神理大典]”considers trinity God as single God, single God as trinity God. “Hwe Sam Kyeong[會三經]” developed and extended this to a view of human, of asceticism and of ethnical belief.
      The monotheism of Daejong-Gyo[大倧敎] inherited its own religious concept of god from ancient Korea. Also tritheism embodies our own religious concept of god centered around “Hwan In [Han Im]”, “Hwan Wung [Han Wung]”, “Dan Gun [Han Geom]”. This is the reason why monotheism fused with transcendence and immanence is different from protestant monotheistic religion.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tritheism, the role of Han Im, Han Wung and Han Geom harmonize with each other as a creation, edification and the government.
      Religious concept of Trinitarian of DaeJong-Gyo[大倧敎] which connected interaction relationship between monotheism and tritheism, unlike trinitarianism [三位一體] of christianity, is the thing and its function’s theory[體用論] containing the principle as “include three in catching one and return to one in gathering three”.
      Therefore, the religious concept of DaeJong-Gyo[大倧敎]’s God, which was inherited our distinctive concept of religion has its own uniqueness, and monotheism that is fused into transcendence & immanence and tritheism plays a key role for creation, edification, the government makes concept named Trinitarian[三神一體] which is connects the thing and the function. It could have creativity in its own w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서론
      • 2. 一神
      • 3. 三神
      • 4. 三神一體
      • 【국문요약】
      • 1. 서론
      • 2. 一神
      • 3. 三神
      • 4. 三神一體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광수, "홍암(弘巖) 나철(羅喆)의 단군신앙운동 연구" 한국종교학회 (53) : 85-111, 2008

      2 이을호, "한사상과 민족종교" 일지사 1990

      3 강수원, "한사상과 대종교, In 한사상과 민족종교" 일지사 1990

      4 정규훈, "한국의 신종교" 서광사 2001

      5 한국민족종교협의회, "한국민족종교" 윤일문화사 2005

      6 유동식,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 연세대학교출판부 1997

      7 이근철, "천부경철학 연구" 모시는사람들 2011

      8 강진석, "중국 체용론의 유형 연구" 중국철학회 9 : 2002

      9 엘리아데, "종교형태론" 한길사 1996

      10 칼 융, "종교와 심리학" 경문사 1980

      1 박광수, "홍암(弘巖) 나철(羅喆)의 단군신앙운동 연구" 한국종교학회 (53) : 85-111, 2008

      2 이을호, "한사상과 민족종교" 일지사 1990

      3 강수원, "한사상과 대종교, In 한사상과 민족종교" 일지사 1990

      4 정규훈, "한국의 신종교" 서광사 2001

      5 한국민족종교협의회, "한국민족종교" 윤일문화사 2005

      6 유동식,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 연세대학교출판부 1997

      7 이근철, "천부경철학 연구" 모시는사람들 2011

      8 강진석, "중국 체용론의 유형 연구" 중국철학회 9 : 2002

      9 엘리아데, "종교형태론" 한길사 1996

      10 칼 융, "종교와 심리학" 경문사 1980

      11 신채호, "조선상고사" 비봉출판사 2006

      12 박용덕, "정산종사와 태을도" 1989

      13 김종서, "잃어버린 한국의 고유문화" 한국학연구원 2007

      14 최남선, "육당최남선전집3" 현암사 1973

      15 대종교총본사, "역해종경사부합편" 대종교출판사 1949

      16 윤승용, "신종교의 경전에 대한 개설" 한국신종교학회 16 : 2007

      17 이승호, "삼일신고의 신관에 관한 철학적 연구" 한국신종교학회 26 (26): 247-270, 2012

      18 이찬구, "삼일신고에서의 하늘과 하느님의 관계" 국학연구원 3 : 167-220, 2007

      19 김동환, "백포 서일의 삶과 사상" 1999

      20 김탁, "백봉교단(白峯敎團)의 실체와 종교사적 의의" 한국도교문화학회 33 (33): 33-63, 2010

      21 안호상, "배달겨레의 三神哲學과 삼신신앙" 한국철학회 16 : 1981

      22 최문형, "동양에도 신은 있는가" 백산서당 2002

      23 대종교 종경 편수위원회, "대종교경전" 대종교출판사 2002

      24 대종교총본사, "대종교 중광 60년사" 대종교총본사 1971

      25 안호상, "단군의 종교의 철학" 한국철학회 6 : 1972

      26 이은봉, "단군신화에 나타나는 삼신사상의 종교적 의미" 국학연구소 7 : 2002

      27 설중환, "다시 읽는 단군신화" 정신세계사 2009

      28 홍범초, "근대 한국 민족종교와 한국 고유사상-천도교 증산교 대종교의 하나님 사상을 중심으로-" 단군학회 (4) : 2001

      29 안호상, "국민윤리학" 배영출판사 1977

      30 이승호, "韓國仙道 本體論 硏究에 대한 試論 -『天符經』과 『三一誥』를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9 : 327-357, 2010

      31 조준희, "白峯神師의 道統傳授에 관한 연구" 국학연구원 1 : 267-311, 2006

      32 김용수, "王弼 體用論에 대한 몇 가지 論辯 ―王弼의 老子注 를 중심으로" 한국도교문화학회 17 : 197-234, 2002

      33 김정신, "檀君信仰에 관한 經典 硏究"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2 : 1987

      34 윤성범, "桓因 桓雄 桓儉은 곧 ‘하나님’이다, In 한국논쟁사" 청람문화사 1976

      35 안호상, "古代의 韓國思想에 關한 硏究"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5 : 1962

      36 이근철, "『三一神誥』의 ‘天’에 대한 철학적 고찰" 한국도교문화학회 36 : 298-322,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 1.665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