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회불안의 주요 특성인 타인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관계적 공격성으로 발현되는 과정에 기여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불안과 관계적 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71908
2025
-
사회불안 ; 사회불안자 ; 관계적 공격성 ; 의도적 통제 ; 분노반추 ; Social anxiety ; Anger rumination ; Effortful control ; Relational aggression
310
KCI등재
학술저널
671-685(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불안의 주요 특성인 타인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관계적 공격성으로 발현되는 과정에 기여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불안과 관계적 공...
본 연구는 사회불안의 주요 특성인 타인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관계적 공격성으로 발현되는 과정에 기여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불안과 관계적 공격성 간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기제인 의도적 통제에 의해 조절된 분노반추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41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단축형, 성인용 기질 척도, 자기보고식 공격성 및 사회행동 척도, 분노반추 척도, 우울척도 점수를 기준으로 사회불안, 의도적 통제, 관계적 공격성, 분노반추, 우울을 측정하였다. SPSS 22.0과 Process Macro 3.3.5를 사용해 분석한 결과 사회불안과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의도적 통제에 조절된 분노반추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는 사회불안이 높을수록 분노반추를 통해 관계적 공격성으로 발현할 위험이 높고, 의도적 통제의 수준이 높은 경우 분노반추의 수준이 낮아 사회불안이 관계적 공격성으로 발현되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불안자가 보이는 관계적 공격성으로의 발현 과정에 기여하는 요인을 확인하였고 나아가 이 과정을 조절하는 기제를 파악함으로써 사회불안자의 정서조절 능력을 고려한 치료적 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rocess in which negative evaluation of others, a major characteristic of social anxiety, showed as relational aggression, and confirme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To this end, the effect o...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rocess in which negative evaluation of others, a major characteristic of social anxiety, showed as relational aggression, and confirme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To this end, the effect of anger rumination regulated by intentional control, a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mechanism, was verifi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relational aggression. It was measured through an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410 people.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3.3.5, social anxiety predicted relational aggression staticall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 rumination conditioned on intentional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relational aggression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igher social anxiety is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manifesting relational aggression through anger rumination, and show that the higher level of intentional control, the lower the level of anger rumination.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rocess of expression of relational aggression by researching people with social anxiety and further suggest the necessity for a therapeutic intervention that can sublimate the negative emotions of people with social anxiety and can relieve anger by identifying the mechanisms regulating this process.
직장환경에서 소외 두려움(FoMO)의 양면성이 스트레스 평가에 미치는 영향: 일 관련 반추의 매개효과와 직무자율성의 조절 역할
과수 생장정보와 기상정보를 이용한 ‘신고’ 배나무의 수액 흐름 예측 모형 개발
Identifying Faking Profiles of Job Applicants Using Overclaiming and Social Desirability Sca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