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50세 이상 성인여성의 골관절염 유병률 관련 요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719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50세 이상 성인여성의 골관절염 유병률 관련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골관절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자는 2016~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응답한 39,738명 중 50세 이상 성인여성은 9,867명이었고 이 중 골관절염 유병여부에 응답한 총 9,5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실수와 백분율, 집단(골관절염 유병 유무)간 비교는 교차분석을 이용한 Rao-Scott 카이제곱 검정을 하였다. 한편, 골관절염 유병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한국 50세 이상 여성의 골관절염 유병률은 23.8%이다. 골관절염 유병률에 통계적 차이를 보이고 있는 요인으로는 연령, 교육수준, 배우자유무, 거주지역, 유산소 신체활동, 걷기, 비만여부, 우울여부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골관절염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 교육수준, 비만, 우울로 나타났다. 연령은 50대를 기준으로 했을 때 60대는 골관절염 유병 위험률이 2.3배, 70대는 3.3배, 80대는 3.5배로 높아지고, 교육수준에서는 대졸에 비해 중졸은 골관절염 유병 위험이 1.8배, 초졸이하는 2.3배로 높아짐을 알 수 있다. 한편 비만인 경우, BMI지수가 24 이하인 경우를 기준으로 했을 때 BMI 25 이상은 골관절염 유병 위험이 1.05배 높아지고, 우울에서는 우울이 없는 경우 골관절염 유병 위험이 0.70배 낮아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각적이고 개별적인 간호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50세 이상 성인여성의 골관절염 유병률 관련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골관절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자는 2016~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

      본 연구는 50세 이상 성인여성의 골관절염 유병률 관련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골관절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자는 2016~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응답한 39,738명 중 50세 이상 성인여성은 9,867명이었고 이 중 골관절염 유병여부에 응답한 총 9,5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실수와 백분율, 집단(골관절염 유병 유무)간 비교는 교차분석을 이용한 Rao-Scott 카이제곱 검정을 하였다. 한편, 골관절염 유병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한국 50세 이상 여성의 골관절염 유병률은 23.8%이다. 골관절염 유병률에 통계적 차이를 보이고 있는 요인으로는 연령, 교육수준, 배우자유무, 거주지역, 유산소 신체활동, 걷기, 비만여부, 우울여부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골관절염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 교육수준, 비만, 우울로 나타났다. 연령은 50대를 기준으로 했을 때 60대는 골관절염 유병 위험률이 2.3배, 70대는 3.3배, 80대는 3.5배로 높아지고, 교육수준에서는 대졸에 비해 중졸은 골관절염 유병 위험이 1.8배, 초졸이하는 2.3배로 높아짐을 알 수 있다. 한편 비만인 경우, BMI지수가 24 이하인 경우를 기준으로 했을 때 BMI 25 이상은 골관절염 유병 위험이 1.05배 높아지고, 우울에서는 우울이 없는 경우 골관절염 유병 위험이 0.70배 낮아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각적이고 개별적인 간호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OA) among women aged 50 and older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OA management. The study analyzed data from 9,590 women aged 50 and above who responded to the OA prevalence question in the 2016-202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out of 39,738 respondents.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used, and Rao-Scott chi-square tests were performed to compare groups based on OA prevalenc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OA prevalence.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OA prevalence rate among Korean women aged 50 and older is 23.8%.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OA prevalence include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residential area, alcohol consumption, aerobic physical activity, walking, obesity, and depression. Specifically, compared to women in their 50s, those in their 60s had a 2.3 times higher risk, 70s had a 3.3 times higher risk, and 80s had a 3.5 times higher risk of OA. Regarding education level, women with less than middle school education had a 1.8 times higher risk, and those with less tha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had a 2.3 times higher risk of OA compared to college graduates. Obesity, defined as a BMI of 25 or higher, was associated with a 1.05 times higher risk of OA compared to a BMI under 24. Additionally, depression was linked to a 0.93 times lower risk of OA.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is a need to develop multifaceted and individualize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manage and prevent OA among older women in Korea.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OA) among women aged 50 and older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OA management. The study analyzed data from 9,590 wome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OA) among women aged 50 and older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OA management. The study analyzed data from 9,590 women aged 50 and above who responded to the OA prevalence question in the 2016-202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out of 39,738 respondents.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used, and Rao-Scott chi-square tests were performed to compare groups based on OA prevalenc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OA prevalence.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OA prevalence rate among Korean women aged 50 and older is 23.8%.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OA prevalence include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residential area, alcohol consumption, aerobic physical activity, walking, obesity, and depression. Specifically, compared to women in their 50s, those in their 60s had a 2.3 times higher risk, 70s had a 3.3 times higher risk, and 80s had a 3.5 times higher risk of OA. Regarding education level, women with less than middle school education had a 1.8 times higher risk, and those with less tha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had a 2.3 times higher risk of OA compared to college graduates. Obesity, defined as a BMI of 25 or higher, was associated with a 1.05 times higher risk of OA compared to a BMI under 24. Additionally, depression was linked to a 0.93 times lower risk of OA.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is a need to develop multifaceted and individualize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manage and prevent OA among older women in Kore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