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 거버넌스로서의 전자정부의 성과와 정책과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638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뉴미디어의 정치적 효과는 대의민주주의의 생명력을 복원하는 데에 큰 의미를 가진다. 다시 말해, 대의민주주의 체제의 대표성과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은 뉴미디어 활용을 통해 가능하다. ...

      뉴미디어의 정치적 효과는 대의민주주의의 생명력을 복원하는 데에 큰 의미를 가진다. 다시 말해, 대의민주주의 체제의 대표성과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은 뉴미디어 활용을 통해 가능하다. 뉴미디어 활용의 대표적인 사례 중에 하나가 전자정부이다. 지난 10여 년 간 전자정부는 정부 현대화의 견인차로서 시민참여와 정책성과 제고에 많은 기여를 해 왔다. 그러나 기술 결정론적 시각에서 하드웨어 측면의 성과가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자정부가 실제도 대표성과 효율성을 신장시켰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는 전자정부의 실행이 대의민주주의 발전을 촉진해 왔는지, 보다 구체적으로 대표성과 효율성의 복원에 어떻게 기여해 왔는지에 대하여 심도 있게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 계속해서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 환경에서 전자정부가 좋은 정부로서의 지향성을 지속적으로 갖기 위해서는 향후 어떠한 정책과제들이 필요한지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litical effects of the new media can be discussed in the dimension of restoring the vitality of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use of the new media has a potential to improve representativeness and effectivenes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In th...

      The political effects of the new media can be discussed in the dimension of restoring the vitality of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use of the new media has a potential to improve representativeness and effectivenes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In this respect, e-government is the most realistic case. Over the past 10 years, e-government has promoted civil participation and policy outcomes. However, despite being emphasis on the performance in terms of the hardware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ological determinism, it is a doubt whether e-government actually enhanced representativeness and effectiveness or not. This research explores if the practice of the e-government promotes the development of representative democracy, especially contributes to restore representativeness and effectiveness. And additionally this research discusses the orientation that e-government can be developed as a good government in the environment of I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대의민주주의와 전자정부에 대한 이론적 논의
      • 1. 정치체계의 대표성과 효율성
      • 2. 온라인 거버넌스로서의 전자정부
      • 요약
      • Ⅰ. 서론
      • Ⅱ. 대의민주주의와 전자정부에 대한 이론적 논의
      • 1. 정치체계의 대표성과 효율성
      • 2. 온라인 거버넌스로서의 전자정부
      • Ⅲ. 전자정부의 촉진요인과 주요성과 분석
      • 1. 전자정부의 하부구조 정초
      • 2. 온라인 거버넌스와 대표성의 혁신: 정치체계의 투입 측면
      • 3. 온라인 거버넌스와 효율성의 혁신: 정치체계의 산출 측면
      • Ⅳ. 전자정부의 향후 정책과제: Smart정부를 지향하며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인터넷백서" 2007

      2 김혁, "한국에서의 시민중심적 e-거버넌스의 형성과 발전: 그 형성 과정에서의 정부 역할을 중심으로" 신아시아연구소 14 (14): 136-162, 2007

      3 한세억, "한국 정보화정책의 변천과 특징 - 행위자 연결망을 중심으로 -" 한국정보화진흥원 17 (17): 23-43, 2010

      4 정연정, "한국 네티즌의 주요 구성과 정치적 특성: 17대 총선을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0 (10): 117-146, 2004

      5 김석주, "참여정부의 전자정부 추진성과와 향후 과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0 (10): 111-134, 2007

      6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참여정부의 전자정부 비전과 추진원칙"

      7 강동석, "참여정부 전자정부 추진 현황과 향후 추진 전략" 2005

      8 윤성이, "지역정보화 연구의 정치학적 접근"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4 (14): 33-56, 2011

      9 서진완, "지방자치단체의 소셜미디어 활용 현황 분석과 의미" 한국행정학회 46 (46): 131-155, 2012

      10 정병걸, "지방분권과 전자정부" 7 (7): 27-45, 2007

      1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인터넷백서" 2007

      2 김혁, "한국에서의 시민중심적 e-거버넌스의 형성과 발전: 그 형성 과정에서의 정부 역할을 중심으로" 신아시아연구소 14 (14): 136-162, 2007

      3 한세억, "한국 정보화정책의 변천과 특징 - 행위자 연결망을 중심으로 -" 한국정보화진흥원 17 (17): 23-43, 2010

      4 정연정, "한국 네티즌의 주요 구성과 정치적 특성: 17대 총선을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0 (10): 117-146, 2004

      5 김석주, "참여정부의 전자정부 추진성과와 향후 과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0 (10): 111-134, 2007

      6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참여정부의 전자정부 비전과 추진원칙"

      7 강동석, "참여정부 전자정부 추진 현황과 향후 추진 전략" 2005

      8 윤성이, "지역정보화 연구의 정치학적 접근"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4 (14): 33-56, 2011

      9 서진완, "지방자치단체의 소셜미디어 활용 현황 분석과 의미" 한국행정학회 46 (46): 131-155, 2012

      10 정병걸, "지방분권과 전자정부" 7 (7): 27-45, 2007

      11 한세억, "좋은 정부와 지성적 기반" 3 (3): 127-152, 2010

      12 전석호, "정보사회론" 나남출판 2002

      13 장우영, "정보기술의 정치적 제도화: NEIS 도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8 (38): 163-189, 2004

      14 윤성이, "전자정부의 진화와 시민참여" 33 (33): 147-170, 2007

      15 윤영민, "전자정부의 구상과 실천에 관한 비판적 접근" 3 (3): 3-12, 1996

      16 신영진, "전자정부에서의 국민참여를 통한 전자민주주의 구현" 8 (8): 75-101, 2008

      17 민병익, "전자정부에서 시민참여의 특성: 기초자치단체 웹사이트 온라인 주민참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5 (25): 155-175, 2009

      18 이경전, "전자정부에 대한 사업 모형 접근 방법"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19 김석주, "전자정부 서비스품질 측정모델 개발을 위한 시론적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12 (12): 29-55, 2008

      20 강동석, "전자정부 발전모델 및 수준진단 방법론 개발" 한국전산원 2006

      21 조남재,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프레임워크" 3 (3): 1996

      22 김영삼, "전자정부 개념 논의의 비판과 연구방향" 20 : 273-311, 2004

      23 서이종, "인터넷 커뮤니티와 한국사회" 한울 아카데미 2002

      24 김석주, "우리나라 전자정부서비스 이용 활성화 전략과 과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2 (12): 31-57, 2009

      25 윤성이, "온라인 정치참여와 신뢰" 14 : 65-97, 2009

      26 고경민, "시민중심적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정책 방향: 서울시 전자정부 서비스에 대한 시민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9 (9): 119-147, 2005

      27 류석진, "스마트-소셜 시대의 민주주의와 거버넌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1

      28 명승환, "스마트 사회 전환에 따른 Gov 3.0 기반의 전자정부 개념과 패러다임 변화" 74 : 58-63, 2012

      29 오관석, "사이버 정치와 e-거버먼트(대한민국 학술원 2006년 우수학술도서 선정)" 인간사랑 2004

      30 명승환, "미래 전자정부의 방향에 관한 연구" 5 (5): 243-258, 2001

      31 장우영, "뉴미디어와 ICTs/Leadership 정당: 현대 정당의 변화와 지속" 21세기정치학회 20 (20): 1-30, 2010

      32 양순애, "국내 전자민주주의 사례분석을 통한 민주적 전자정부 추진방향"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1 (11): 31-54, 2008

      33 김혁, "거버넌스와 인터넷 시민참여의 제도화" 한국정당학회 9 (9): 121-147, 2010

      34 Peristeras, V., "Transforming E-government and E-participation through IT" IEEE Computer Society

      35 Vigoda, E, "The age of Direct Citizen Participation" ME. Sharpe 2008

      36 Barber, B, "Strong Democrac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37 장우영, "SNS의 확산과 선거․정당 정치지형의 변화" 국회 입법조사처 2011

      38 Diamond, L., "Politics in Developing Countries" Lynne Rienner Publishers 1995

      39 Kasse, M, "Interpersonal Trust, Political Trust and Non-Institutionalized Political Participation in Western Europe" 22 (22): 1-23, 1999

      40 박준기, "IT서비스품질과 관계품질이 지식공유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0 (10): 355-365, 2010

      41 Doornbos, M, "Good Governance" 37 (37): 93-108, 2001

      42 행정자지부, "EPR/ISP 보고서" 2004

      43 Allen, B. A., "E-Government as Collaborative Governance, In Practicing E-Government: A Global Perspective" Capgemini Consulting Services 1-15, 2005

      44 OECD, "E-Government Flagship Report" 2003

      45 김용철, "E-Governance 구축의 전략적 모색: 정책결정과정의 관점에서" 한국정치학회 39 (39): 199-214, 2005

      46 Lowery, L. M, "Developing a Successful E-Government Strategy"

      47 Pierre,J, "Debating Governa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48 Castells,M, "Communication, Power and Counter-power in the Network Society" 1 : 238-266, 2007

      49 Codagnone, C, "Beyond i2010, In Understanding E-Government in Europe" Routledge 2010

      50 Delotte Consulting, "At the Dawn of E-Government"

      51 Easton, D, "Approach to the Analysis of Political Systems" 9 (9): 383-4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7 1.24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