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계의 균일성을 고려한 자동차 전자파 내성시험방법에 관한 연구 = The Electric-Magnetic Susceptibility Test Method of A Road Vehicle to Consider The Field Uniform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0741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에는 자동차의 사용 목적이 운송수단뿐만 아니라 안전성 및 편의성도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자동차부품에 적용되는 전기, 전자 및 정보통신의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되고 있으며 첨단 시스템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가 출시되고 있다. 또한 GM, 포드, 다임러, 현대 등 전 세계 대부분 자동차 제작사는 수소연료전지자동차를 개발하고 있는 등, 자동차의 첨단 전기, 전자부품들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전자 부품들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평가 방법 중 전자파 적합성(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시험방법도 꾸준하게 기준이 강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자동차의 전자파 적합성 시험 방법은 크게 자동차의 부품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다른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지를 평가하는 전자파 방사(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시험과 외부 전자파로 인한 자동차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전자파 내성(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 시험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두 종류 시험 중 자동차 전자파 내성시험 방법에 관한 국내·외의 규격 및 기준을 살펴보고 현재 시험방법의 적정성 여부 및 이에 따른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자파 내성시험의 전계강도 인가방법에는 Substitution Method와 Closed-Loop Leveling Method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외적으로 많이 사용되며 재현성이 뛰어난 Substitution Method를 사용하였으며, 교정방법으로는 향후 국내에서 법규로 시행 예정 중인 Four Field Probe 방법을 사용하였다. 현재 양산되고 있거나 개발 중인 자동차 전장품의 종류 및 위치를 고려하여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위치별 전계강도 측정값과 측정위치의 분포정도를 확인하여 내성시험 방법의 타당성을 조사하였다.
      이렇게 확인된 결과를 통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시험 방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점에 대해 고찰하여 향후 국내안전기준 및 전자파 국제규격의 제·개정 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최근에는 자동차의 사용 목적이 운송수단뿐만 아니라 안전성 및 편의성도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자동차부품에 적용되는 전기, 전자 및 정보통신의 기술이 급속하게 ...

      최근에는 자동차의 사용 목적이 운송수단뿐만 아니라 안전성 및 편의성도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자동차부품에 적용되는 전기, 전자 및 정보통신의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되고 있으며 첨단 시스템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및 전기자동차가 출시되고 있다. 또한 GM, 포드, 다임러, 현대 등 전 세계 대부분 자동차 제작사는 수소연료전지자동차를 개발하고 있는 등, 자동차의 첨단 전기, 전자부품들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전자 부품들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평가 방법 중 전자파 적합성(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시험방법도 꾸준하게 기준이 강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자동차의 전자파 적합성 시험 방법은 크게 자동차의 부품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다른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지를 평가하는 전자파 방사(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시험과 외부 전자파로 인한 자동차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전자파 내성(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 시험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두 종류 시험 중 자동차 전자파 내성시험 방법에 관한 국내·외의 규격 및 기준을 살펴보고 현재 시험방법의 적정성 여부 및 이에 따른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자파 내성시험의 전계강도 인가방법에는 Substitution Method와 Closed-Loop Leveling Method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외적으로 많이 사용되며 재현성이 뛰어난 Substitution Method를 사용하였으며, 교정방법으로는 향후 국내에서 법규로 시행 예정 중인 Four Field Probe 방법을 사용하였다. 현재 양산되고 있거나 개발 중인 자동차 전장품의 종류 및 위치를 고려하여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위치별 전계강도 측정값과 측정위치의 분포정도를 확인하여 내성시험 방법의 타당성을 조사하였다.
      이렇게 확인된 결과를 통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시험 방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점에 대해 고찰하여 향후 국내안전기준 및 전자파 국제규격의 제·개정 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revolutionary developments in automobile technologies, a variety of advanced vehicles - hybrid vehicle, hydrogen fuel-cell vehicle, electric vehicle, etc. - emerges recently. The safety is getting more important for developing automobiles. The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has to be assured, since those advanced vehicles are equipped with various new electronic systems.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tests, in general, consist of an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est and an EMS (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 test. We investigated the susceptibility test method suggested in KMVSS (Korean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 as the EMS test method. A series of experiments show that the above test method should be partially revised to comply with a Korean governmental standard method. In this paper, the some directions of modifications are presented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above EMS test method.
      번역하기

      According to revolutionary developments in automobile technologies, a variety of advanced vehicles - hybrid vehicle, hydrogen fuel-cell vehicle, electric vehicle, etc. - emerges recently. The safety is getting more important for developing automobiles...

      According to revolutionary developments in automobile technologies, a variety of advanced vehicles - hybrid vehicle, hydrogen fuel-cell vehicle, electric vehicle, etc. - emerges recently. The safety is getting more important for developing automobiles. The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has to be assured, since those advanced vehicles are equipped with various new electronic systems.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tests, in general, consist of an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est and an EMS (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 test. We investigated the susceptibility test method suggested in KMVSS (Korean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 as the EMS test method. A series of experiments show that the above test method should be partially revised to comply with a Korean governmental standard method. In this paper, the some directions of modifications are presented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above EMS test meth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第1章 序論 1
      • 1.1 연구 배경 1
      • 1.2 연구 목적 및 내용 3
      • 第2章 전자파 내성시험 관련 이론 및 규격 5
      • 2.1 전자파 내성시험 관련 이론 5
      • 第1章 序論 1
      • 1.1 연구 배경 1
      • 1.2 연구 목적 및 내용 3
      • 第2章 전자파 내성시험 관련 이론 및 규격 5
      • 2.1 전자파 내성시험 관련 이론 5
      • 2.1.1 안테나 5
      • 2.1.2 전자파 방사 이론 6
      • 2.1.3 안테나 방사패턴 10
      • 2.2 국내외 자동차 전자파 내성시험 규격 11
      • 2.2.1 국내규격 11
      • 2.2.2 해외 및 기타규격 13
      • 2.3 자동차 전장품 분포조사 14
      • 2.3.1 내연기관자동차 14
      • 2.3.2 전기자동차 16
      • 2.3.3 수소연료전지자동차 17
      • 第3章 시험조건 및 방법 19
      • 3.1 시험과정 19
      • 3.2 시험장소 19
      • 3.3 시험장비 20
      • 3.4 시험방법 22
      • 3.5 시험위치 25
      • 第4章 시험결과 27
      • 4.1 FSLPDA 안테나의 적정성 평가 28
      • 4.2 3109 Biconical 안테나의 적정성 평가 31
      • 4.3 DALPDA 안테나의 적정성 평가 34
      • 4.4 AT 1080 안테나의 적정성 평가 37
      • 第5章 시험결과 및 분석 41
      • 第6章 結論 45
      • REFERENCE 46
      • ABSTRACT 4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