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의 진단에 있어 관절경 소견과의 비교분석을 통한 자기공명영상의 유용성 = A Comparison of Accuracy between MRI and Arthroscopic Finding in the Diagnosis of Acute ACL Te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543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급성 전방십자인대의 손상에 있어 자기공명영상의 진단적 정확성 및 파열양상에 대한 유용성을 관절경 검사소견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4년...

      목적 : 급성 전방십자인대의 손상에 있어 자기공명영상의 진단적 정확성 및 파열양상에 대한 유용성을 관절경 검사소견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4년 6월까지 급성 슬관절 손상을 받고 임상적으로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의심되어 자기공명영상검사를 시행한 후 이어서 관절경검사를 시행받은 환자 6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급성 전방십자인대의 손상에 있어 자기공명영상의 진단의 정확도, 파열양상에 대한 유용성에 대하여 관절경검사소견을 기준으로 양성예측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자기공명영상에서 불연속성을 보인 52례 모두에서 관절경검사상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확인되었다. 파열양상에 있어서는 파열부위, 전반적인 부종, 국소 부종의 확인에 있어서는 관절경검사소견과 자기공명영상소견이 모두 일치한 결과를 보였고 원위부 허탈, 복합파열의 확인에 있어서는 정확도가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의 자기공명영상의 소견은 관절경적 소견과 대체로 일치하였으며 특히 파열 양상에 있어서는 파열부위, 전반적인 부종, 국소부종의 확인에 있어서 매우 정확한 것을 갈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n the diagnosis of acut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jury and its tear pattern in comparison with arthroscopic finding. Materials and Methods: 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n the diagnosis of acut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jury and its tear pattern in comparison with arthroscopic finding. Materials and Methods: Sixty consecutive patients with acute ACL injury were taken NRI followed by arthroscopic examination between January 2002 and June 2004. MRI findings were review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CL discontinuity, diffuse swelling or thickening, focal edema, collapse on distal end, and any combined tear. The pathologic findings were then confirmed arthroscopically. The diagnostic accuracy of MRI on ACL tear pattern was analyzed by obtaining its positive predictive value. Results: All fifty two cases with presence of discontinuity on MRI showed ACL rupture arthroscopically. The location of ACL tear, diffuse swelling and focal edema on MRI also corresponded with arthroscopic findings respectively. However, the diagnostic accuracy of MRI was relatively lower in the presence of other ACL patterns such as collapses and combined tear. Conclusion: Preoperative MRI findings seem to be in accordance with arthroscopic findings and is significantly accurate in detection of location and diffuse swelling and focal edema of ACL tear.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