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북핵 해결 협력 방향 = Russia’s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and Korean-Russian Cooperation o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517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재인 정부의 북핵 문제 해결의 접근은 이제까지의 양국간 많은 이견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역대 어느 정부보다 러시아와 공유하는 부분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북핵 해결에서의 양국 해결 협력 가능성을 검토해 볼 실익이 크다는 것이 이 연구의기본 의의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러시아와의 북핵 해결을 위한 국제 대화에서의 협력 가능성과 북핵 해결을 위한 건설적 중재자 역할 가능성을 중심으로 북핵해결에서의 양국 협력의 가능성과 바람직한 방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러시아의 북핵 전략과 정책 목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역내 NPT 체제는 유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한반도 비핵화에 대해서는 미국과 제한적이나마공조한다. 둘째, 북핵 해결과정에서 미국의 역내 패권 강화를 막기 위해 다자적 대화에 의한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추구한다. 셋째, 러시아 동북지역의 안정 유지를위해 북한에 대한 고립화 및 봉쇄 반대와 북핵문제의 군사적 해법을 거부한다. 넷째, 한반도에서의 지정학적 영향력 확보를 위해 북핵 6자회담의 주도적 참여를 통한 자국의 정치적 역할 공간 확대한다. 다섯째, 북핵의 해결과정을 동북아 다자안보 및 평화체제에서의 러시아 위상 확대와 연계한다.
      한러간 북핵 해결의 전략적 협력의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논점들은 러시아의 건설적중재자 역할 가능성, 대북 제재의 적극적 참여 가능성, 쌍중단을 출발점으로 하는 러시아의 모르굴로프 로드맵은 실효성, 6자회담이 아닌 새로운 대화 채널 수립의 가능성 등이다.
      이상의 논점 판단을 근거한다면 한․러간 북핵해결의 전략적 협력은 UN 북핵제재의성실한 이행과 북한의 대화 참여 유도 협력을 통한 6자회담을 대체하는 UN 주도의새로운 국제적 대화 플랫폼 형성차원에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단기적으로 한반도위기관리 협력 채널 구축과 중장기적으로 러시아가 중국과 독립적인 입장을 취하는데 도움이 되는 신북방정책의 적극적 추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런 원칙 하에서 다음의 몇 가지 협력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문재인 정부의 북핵 문제 해결의 접근은 이제까지의 양국간 많은 이견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역대 어느 정부보다 러시아와 공유하는 부분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북핵 해결에서의 양국 해...

      문재인 정부의 북핵 문제 해결의 접근은 이제까지의 양국간 많은 이견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역대 어느 정부보다 러시아와 공유하는 부분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북핵 해결에서의 양국 해결 협력 가능성을 검토해 볼 실익이 크다는 것이 이 연구의기본 의의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러시아와의 북핵 해결을 위한 국제 대화에서의 협력 가능성과 북핵 해결을 위한 건설적 중재자 역할 가능성을 중심으로 북핵해결에서의 양국 협력의 가능성과 바람직한 방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러시아의 북핵 전략과 정책 목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역내 NPT 체제는 유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한반도 비핵화에 대해서는 미국과 제한적이나마공조한다. 둘째, 북핵 해결과정에서 미국의 역내 패권 강화를 막기 위해 다자적 대화에 의한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추구한다. 셋째, 러시아 동북지역의 안정 유지를위해 북한에 대한 고립화 및 봉쇄 반대와 북핵문제의 군사적 해법을 거부한다. 넷째, 한반도에서의 지정학적 영향력 확보를 위해 북핵 6자회담의 주도적 참여를 통한 자국의 정치적 역할 공간 확대한다. 다섯째, 북핵의 해결과정을 동북아 다자안보 및 평화체제에서의 러시아 위상 확대와 연계한다.
      한러간 북핵 해결의 전략적 협력의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논점들은 러시아의 건설적중재자 역할 가능성, 대북 제재의 적극적 참여 가능성, 쌍중단을 출발점으로 하는 러시아의 모르굴로프 로드맵은 실효성, 6자회담이 아닌 새로운 대화 채널 수립의 가능성 등이다.
      이상의 논점 판단을 근거한다면 한․러간 북핵해결의 전략적 협력은 UN 북핵제재의성실한 이행과 북한의 대화 참여 유도 협력을 통한 6자회담을 대체하는 UN 주도의새로운 국제적 대화 플랫폼 형성차원에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단기적으로 한반도위기관리 협력 채널 구축과 중장기적으로 러시아가 중국과 독립적인 입장을 취하는데 도움이 되는 신북방정책의 적극적 추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런 원칙 하에서 다음의 몇 가지 협력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tarts from a proposition that there is a great opportunity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Russia in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t this time because there are more areas where the two countries share much in common in the Moon Jae-in government’s approach for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an in any previous governmen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 possibility and the desirable direction of bilateral cooperation in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with Russia in international dialogue and Russia’s role as a constructive mediator for the resolution of the issue.
      As to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Russia's strategy and policy goal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PT system in the region should be maintained and for this, Russia can restrictively cooperate with the United States to denuclearize the Korean Peninsula. Second, Russia pursues a peaceful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rough multilateral dialogues in order to prevent the strengthening of the US supremacy in the process. Third, in order to maintain stability in the northeast region of Russia, it rejects the isolation or containment of North Korea and any military 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Fourth, Russia expands the space for its political role through a leading participation in the six-party talks o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o 188⋅ 제41권 제4호, 2017/2018 겨울secure its geopolitical influence on the Korean peninsula. Fifth,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ill be linked to the expansion of Russia's position in the multilateral security and peace regime in Northeast Asia.
      The issues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strategic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Russia in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nclude the possibility of Russia’s role as a constructive arbitrator, the possibility of Russia’s active participation i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the feasibility of Morgulov’s roadmap for Korean settlement, and the possibility to establish a new dialogue channel other than the six-party talk.
      Based on the above arguments, strategic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Russia for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s should be pursued to form a new UN-led dialogue platform replacing the six-party talks through sincere implementation of the UN nuclear sanctions and cooperation in encouraging North Korea to engage in dialogue. In addition, it will be necessary to aggressively promote the new northern policy that, in the short term, will be conducive in establishing a cooperation channel for crisis manag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at, in the mid to long term, will help Russia to take an independent position from China.
      번역하기

      This study starts from a proposition that there is a great opportunity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Russia in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t this time because there are more areas where the two countri...

      This study starts from a proposition that there is a great opportunity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Russia in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t this time because there are more areas where the two countries share much in common in the Moon Jae-in government’s approach for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an in any previous governmen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 possibility and the desirable direction of bilateral cooperation in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with Russia in international dialogue and Russia’s role as a constructive mediator for the resolution of the issue.
      As to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Russia's strategy and policy goal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PT system in the region should be maintained and for this, Russia can restrictively cooperate with the United States to denuclearize the Korean Peninsula. Second, Russia pursues a peaceful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rough multilateral dialogues in order to prevent the strengthening of the US supremacy in the process. Third, in order to maintain stability in the northeast region of Russia, it rejects the isolation or containment of North Korea and any military 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Fourth, Russia expands the space for its political role through a leading participation in the six-party talks o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o 188⋅ 제41권 제4호, 2017/2018 겨울secure its geopolitical influence on the Korean peninsula. Fifth,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ill be linked to the expansion of Russia's position in the multilateral security and peace regime in Northeast Asia.
      The issues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strategic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Russia in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nclude the possibility of Russia’s role as a constructive arbitrator, the possibility of Russia’s active participation i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the feasibility of Morgulov’s roadmap for Korean settlement, and the possibility to establish a new dialogue channel other than the six-party talk.
      Based on the above arguments, strategic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Russia for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s should be pursued to form a new UN-led dialogue platform replacing the six-party talks through sincere implementation of the UN nuclear sanctions and cooperation in encouraging North Korea to engage in dialogue. In addition, it will be necessary to aggressively promote the new northern policy that, in the short term, will be conducive in establishing a cooperation channel for crisis manag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at, in the mid to long term, will help Russia to take an independent position from Chin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지환, "핵포기 모델의 재검토: 남아프리카공화국, 우크라이나, 리비아 사례를 통해 본 북핵 포기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세계지역학회 30 (30): 225-251, 2012

      2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문재인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2017

      3 Жебин, Александр, "Усилия России во имя мира и согласия в Корее"

      4 Толорая, Г.Д., "Россия и проблемы Корейского полуострова на совреме нном этапе" 4 (4): 82-91, 2014

      5 Г.Д. Толорая, "Ракетно-Ядерная Угроза на КорейскомПолуострове: Причины и Меры Реагир-ования" 4 : 131-146, 2016

      6 Толорая, Г.Д., "Ракетно-Ядерная Угроза на КорейскомПолуострове: Причины и Меры Реагир-ования" 4 : 131-146, 2016

      7 Г.Д. Толорая, "Ракетно-Ядерная Угроза на КорейскомПолуострове: Причины и Меры Реагир-ования" 4 : 131-146, 2016

      8 Стрельцов, Дмитрий, "Пути установления мира в Северо-Восточной Азии и проблемы многосторонней системы безопасности" 2017

      9 Воронцов, Александр, "Причины кризиса на Корейском полуострове" (14) : 35-40, 2014

      10 Переславцев Н. И., "О международном сотрудничестве в Северо-Восточной Азии по вопросам Корейского полуострова после вступления в должность президента Республики Корея Мун Чжэ Ина" 2017

      1 황지환, "핵포기 모델의 재검토: 남아프리카공화국, 우크라이나, 리비아 사례를 통해 본 북핵 포기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세계지역학회 30 (30): 225-251, 2012

      2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문재인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2017

      3 Жебин, Александр, "Усилия России во имя мира и согласия в Корее"

      4 Толорая, Г.Д., "Россия и проблемы Корейского полуострова на совреме нном этапе" 4 (4): 82-91, 2014

      5 Г.Д. Толорая, "Ракетно-Ядерная Угроза на КорейскомПолуострове: Причины и Меры Реагир-ования" 4 : 131-146, 2016

      6 Толорая, Г.Д., "Ракетно-Ядерная Угроза на КорейскомПолуострове: Причины и Меры Реагир-ования" 4 : 131-146, 2016

      7 Г.Д. Толорая, "Ракетно-Ядерная Угроза на КорейскомПолуострове: Причины и Меры Реагир-ования" 4 : 131-146, 2016

      8 Стрельцов, Дмитрий, "Пути установления мира в Северо-Восточной Азии и проблемы многосторонней системы безопасности" 2017

      9 Воронцов, Александр, "Причины кризиса на Корейском полуострове" (14) : 35-40, 2014

      10 Переславцев Н. И., "О международном сотрудничестве в Северо-Восточной Азии по вопросам Корейского полуострова после вступления в должность президента Республики Корея Мун Чжэ Ина" 2017

      11 Ивашенцов, Глеб, "Международн ая Жизнь" 25-42, 2017

      12 Торкунов, А. В., "Корейский полуостров: метаморфозы послевоенной истории" Олма Медиа Групп 2008

      13 Торкунов А.В., "Корейский вопрос" 5 : 61-74, 2003

      14 Асмолов К.В., "КНДР сейчас – сталинизм, застой или ползучая перестр ойка?" (1) : 44-56, 2005

      15 Курбанов, С. О., "История Кореи с древности до начала XXI в" Санкт Петербур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а 2009

      16 Курбанов, С. О., "История Кореи с древности до конца XX в" Санкт Петербурскийуниверситета 2003

      17 Торкунов, А. В., "История Кореи Новое прочтение" РОССПЭН 2003

      18 "kbs 뉴스"

      19 Snyder, Scott A., "The Korean Pivot: Seoul’s Strategic Choices and Rising Rivalries in Northeast Asia" The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17

      20 "Sputnik"

      21 Lukin, Artyom, "Russia’s Role in the North Korea Conundrum: Part of the Problem or Part of the Solution?"

      22 Mikheev Vasily V., "New Soviet Approaches to North Korea" 15 (15): 442-456,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3 0.60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