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박은식의 근대적 심학 ― ‘진아(眞我)’의 구성과 특징을 중심으로 = Park Eun-sik’s Modern Study of Mind-heart ―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rue Self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745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한국 근대양명학의 嚆矢로 평가받는 白巖 朴殷植(1859~1925)의 근대적 심학을 그가 최후의 깨달음에서 제시한 ‘眞我’의 관념을 중심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백암은 유교의 전...

      본고의 목적은 한국 근대양명학의 嚆矢로 평가받는 白巖 朴殷植(1859~1925)의 근대적 심학을 그가 최후의 깨달음에서 제시한 ‘眞我’의 관념을 중심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백암은 유교의 전통에서 朱學과 王學을 모두 ‘道學’으로 인정하였지만 과학과 병행하면서 도덕적 인격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왕학이 현대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는 ‘의념[意]’과 ‘지식[知]’으로 구성한 ‘진아’를 제시하였는데, ‘의념’은 義理와 情慾의 발동기로서 眞僞와 善惡의 구별이 생기므로 도덕적 책임이 문제가 시작되는 지점이다. 이런 의미에서 『大學』에서 제시한 ‘誠意’의 공부가 중시되었으니, 성의는 실존적 僞善을 벗어나 ‘眞誠’과 ‘至誠’의 도덕적 이상을 추구하는 공부였다. 백암은 의념의 원천이 되는 지식을 見聞의 지식과 本然의 지식으로 구분하고 각각 과학과 철학의 영역에 대응시켰다. 특히 그는 본연의 지식을 통한 자기 성찰의 방식으로 견문의 지식을 간접적으로 주재하는 길을 제시하였다. ‘致良知’의 과제에서 ‘致’는 공부이고 ‘양지’는 본체가 되는데, 『王陽明先生實記』(1910)에서는 ‘양지’의 본체보다 事上磨鍊 중심으로 ‘치’의 공부를 중시하였다. 1925년 그의 최종적인 깨달음에서는 양지의 본능인 靈明이 모든 것을 주재할 수 있도록 마음의 오염을 부단히 정화하는 공부가 강조되었다. 다시 말해 『왕양명선생실기』에서는 구체적인 일의 실천을 통해 양지를 단련시키는 사상마련이 강조되었다면 최후의 깨달음에서는 양지 자체의 淨潔과 光明을 유지하는 내성적 실천이 중시되었다. 당시 량치차오(梁啓超)는 본질과 현상을 구분하고 자유로운 생명의 본질을 진아로 생각한 칸트(Kant)의 견해를 소개하면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불교의 ‘眞如’와 왕학의 ‘良知’를 진아로 규정하였다. 하지만 백암은 『대학』의 구도에 기초해서 의념과 지식으로 구성된 진아를 구성하였으니, 그의 진아는 양지의 본체뿐만 아니라 실존의 현실에서 공부하는 주체를 포괄한다는 점에서 독특한 개성이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eeks to illuminate BaekAm(白巖) Park Eun-sik(朴殷植, 1858~1927)’s modern study of mind-heart(心學) constructed on the idea of “true self(眞我)” that he, as the first scholar of modern study of Wang Yang-ming in korea, attain...

      This paper seeks to illuminate BaekAm(白巖) Park Eun-sik(朴殷植, 1858~1927)’s modern study of mind-heart(心學) constructed on the idea of “true self(眞我)” that he, as the first scholar of modern study of Wang Yang-ming in korea, attained through his last enlightenment. Although he recognized the study of Zhu Xi(朱子) as the Dohak(道學, the study of Tao), he thought that the study of Wang Yang-ming was appropriate for modern times to establish moral personality in parallel with modern science. In his idea of true self made up of intention[意] and knowledge[知], intention as the divergent place of righteousness and desire was the starting point of moral responsibility. Therefore, he stressed the practice of making the intention sincere(誠意) in Great Learning (『大學』) to break free from existential hypocrisy(僞善) and pursue the moral ideal of true sincerity (眞誠) or ultimate sincerity(至誠). Knowledge as the source of intention was divided into the empirical knowledge and the innate good knowledge corresponding to science and philosophy, respectively. Especially he proposed a new way to control empirical knowledge indirectly by means of self-reflection through innate knowledge. The task of “the extension of innate good knowledge[致良知]” consisted of ‘extension’ as the practice and innate good knowledge as the substance. BaekAm, in True Record of Master Wang Yang-ming (『王陽明先生實記』, 1910), emphasized the tempering oneself through concrete affairs(事上磨鍊) as the practice rather than the substance of innate good knowledge. In his final enlightenment in 1925, the introspective practice of purifying the pollution of the mind was emphasized so that spiritual intelligence(靈明) as the instinct of innate good knowledge could sovereign everything. In other words, the introspective practice of maintaining the purity and brightness of innate good knowledge itself was emphasized in final enlightenment while the practice of tempering oneself through concrete affairs was emphasized in True Record of Master Wang Yang-ming. At that time Liang Qichao(梁啓超, 1873~1929), introducing Kant’s view that distinguished between essence and phenomena and regarded the essence of free life as true self, defined the Buddhism’s suchness(眞如) and Yang-ming’s innate good knowledge transcending time and space as true self. However, Park Eun-sik constructed a true self composed of intention and knowledge based on the composition of Great Learning, and his idea of true self was unique in that it encompassed not only the substance of innate good knowledge but also the subject of practice in existential realit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