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장 허혈성 재관류 손상에서 COMP-Ang1의 보호효과 = Protective effects of COMP-Ang1 in renal ischemia reperfusion inju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4779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ute kidney injury, characterized by rapid decline in glomerular filtration rate, is a major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Renal ischemia reperfusion injury is the leading cause of acute kidney injury and this injury induces a cascade of events l...

      Acute kidney injury, characterized by rapid decline in glomerular filtration rate, is a major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Renal ischemia reperfusion injury is the leading cause of acute kidney injury and this injury induces a cascade of events leading to cellular damage.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 injury induces loss of renal endothelial function such as regulation of vascular tone, tissue perfusion, permeability, and inflammation. Endothelial dysfunction has detrimental effect upon renal function in ischemic acute kidney injury. A modality to improve endothelial dysfunction in ischemia reperfusion injured kidney can be a good therapeutic approach in renal IRI. Recently, COMP-Angiopoietin(Ang)1, a variant of native Ang1 was developed. However, there is no report about effect of COMP-Ang1 in renal ischemia reperfusion injury.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endothelial protective effect of COMP-Ang1 in renal ischemia reperfusion injury.
      I evaluated the tubular injury score after treatment with COMP-Ang1 or LacZ adenovirus in renal ischemia reperfusion injury model in mice. COMP-Ang1 significantly decreased renal IRI-induced tubular damage and improved blood urea nitrogen and serum creatinine. COMP-Ang1 prevented the renal ischemia reperfusion injury-induced decrease of renal blood flow and increased renal vascular permeability, renal vascular resistance. COMP-Ang1 also mitigated the effects of ischemia reperfusion injury on the number of F4/80 positive macrophage infiltrating,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expression and increased the number of Ki67 and platelet endo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1 positive cells.
      These finding indicated that COMP-Ang1 may protect against endothelial dysfunction by renal ischemia reperfusion inju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급성 신 손상은 사구체 여과율의 저하를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사망에 주된 이유이다. 허혈성 재관류 신 손상은 급성 신 손상을 일으켜 세포손상을 야기한다. 미세혈관 내피세포 손상은 혈...

      급성 신 손상은 사구체 여과율의 저하를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사망에 주된 이유이다. 허혈성 재관류 신 손상은 급성 신 손상을 일으켜 세포손상을 야기한다. 미세혈관 내피세포 손상은 혈관상태, 조직 내 관류, 투과성, 염증반응과 같은 신장 내피세포기능 저하를 유도한다. 허혈성 급성 신 손상에서 내피세포 기능 장애는 신장 기능을 저해한다. 이런, 내피세포 기능 장애의 개선은 허혈성 재관류 신 손상 치료에 한 발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COMP-Angiopoietin (Ang)1은 기존 Ang1의 변형 물질로 허혈성 재관류 신 손상에서의 효과에 대한 보고가 없다. 본 실험은 허혈성 재관류 신 손상에서 COMP-Ang1의 신장 보호효과에 대한 실험을 시행하였다.
      백서에 COMP-Ang1과 LacZ adenovirus를 각각 투여한 후 허혈성 재관류 신 손상 모델을 만들어 신 손상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COMP-Ang1은 허혈성 재관류 신손상에 의한 세뇨관 손상을 의의있게 감소시켰고 혈액 내 요소질소와 혈청 크레아티닌을 개선시켰다. 또한, 허혈성 재관류 신손상에 의한 신혈류의 감소, 신장 혈관의 투과성 증가와 신장 혈관 저항을 보호하였다. COMP-Ang1은 허혈성 재관류 신손상에서 F4/80 양성 대식세포의 신장 간질내로의 침윤과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였고, Ki67과 platelet endo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1 양성인 세포수도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COMP-Ang1은 허혈성 재관류 신손상에 의한 내피세포 기능장애를 조절함으로써 허혈성 재관류 신손상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 ABSTRACT = 3
      • INTRODUCTION = 6
      • MATERIALS AND METHODS = 9
      • RESULTS = 16
      • 국문초록 = 1
      • ABSTRACT = 3
      • INTRODUCTION = 6
      • MATERIALS AND METHODS = 9
      • RESULTS = 16
      • DISCUSSION = 21
      • REFERENCES = 25
      • FIGURE LEGENDS = 3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