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에서 고전문학의 역할과 의의 = The role and meaning of classical korean novels as a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y -focusing on the use of classical korean nov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15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우리나라의 각 대학의 교양 과목들을 살펴보면 인문교양이라고 할 수 있는 철학, 역사학, 문학과 관련된 과목이 적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고전문학을 활용한 교양 과목은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융합적 인재 양성, 통섭, 창조성 등을 논할 때에 늘 중요하게 거론되는 것이 인문 교양이면서도 그 실제적 교육의 면은 아직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중요성은 인정되지만 교육 현장에서는 아직 활성화가 되어 있지 않은 인문교양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우리의 고전문학이다. 주지하다시피 고전문학은 오랜 시간 동안 우리 민족에게 가치 있다고 여겨지면서 계승되어온 작품들이기에 우리의 사상, 미학, 생각과 생활이 모두 담겨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옛 문인, 사상가들이 정제된 문체와 논리적인 구성으로 깊이 있는 사상이나 문학적인 감수성을 다채롭게 표현해낸 작품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지 못 하고 교육되지도 않은 채로 국문학과의 전공과목으로만 교육된다면, 우리의 고전문학은 더 이상 문학으로 감상되거나 후대로 계승되지 못할 수도 있다. 특히 중고등학교에서의 고전문학 교육은 대체로 입시 위주의 주입식 교육이었기에 요점만 간단히 알고 있거나 그나마 알고 있는 작품의 종류나 수도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대학생들이 고전문학을 읽고 감상하면서 자신과 자신이 속한 사회의 문제를 확인하고 해결하는 현재적인 텍스트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방법을 고민할 시점이다. 이에 인문교양교육에서 기초가 되는 읽기ㆍ말하기ㆍ쓰기 교육에서 고전소설을 활용하는 방안을 먼저 생각해 보고, 다음으로는 우리 문학의 전통과 통시성을 교육하는 방안을, 더 나아가 현대문학과 문화예술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하면서 창작을 교육하는 방안을 생각해 보았다. 인문교양이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독서의 토대 위에서만 가능하다. 실용적ㆍ도구적 의미에서의 글쓰기 강좌에서 한걸음 나아가 독서와 토론과 유사한 과목들이 많아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런 과목들의 독서의 대상으로 한국의 고전소설이 채택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고전소설에는 다양한 개성의 인물들이 등장하므로 흥미를 불러일으키며, 서사 내의 갈등 양상은 예나 지금이나 보편적으로 있을 수 있는 것들이기에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또 소설에 형상화된 옛 사람들의 생활문화와 가치관은 현대문학이나 사회학, 신문방송학, 외국 문학 등의 교과목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고전문학을 통해 말하기와 글쓰기 방식을 교육하는 방법은 글쓰기나 논술 교육, 문화콘텐츠 창작 전문가 등을 양성하는 교육 제재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고전소설이 대학 교양교육에서 활용된다면 인문교양교육이 정상화되어 대학생들이 다양한 지적 활동과 학문 활동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대학생들의 고전소설 읽기를 유도하여 그 이해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현대사회는 세계화되어 있지만 이런 시대일수록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일이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계승하는 일이다. 그럼에도 이제까지는 전통적 문화 자산을 대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소개하고 교육하지 못하였기에, 이러한 논의를 통해 대학생들의 고전소설 작품 독서를 적극적으로 권장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현재 우리나라의 각 대학의 교양 과목들을 살펴보면 인문교양이라고 할 수 있는 철학, 역사학, 문학과 관련된 과목이 적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고전문학을 활용한 교양 과목은 거의 찾아볼 ...

      현재 우리나라의 각 대학의 교양 과목들을 살펴보면 인문교양이라고 할 수 있는 철학, 역사학, 문학과 관련된 과목이 적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고전문학을 활용한 교양 과목은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융합적 인재 양성, 통섭, 창조성 등을 논할 때에 늘 중요하게 거론되는 것이 인문 교양이면서도 그 실제적 교육의 면은 아직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중요성은 인정되지만 교육 현장에서는 아직 활성화가 되어 있지 않은 인문교양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우리의 고전문학이다. 주지하다시피 고전문학은 오랜 시간 동안 우리 민족에게 가치 있다고 여겨지면서 계승되어온 작품들이기에 우리의 사상, 미학, 생각과 생활이 모두 담겨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옛 문인, 사상가들이 정제된 문체와 논리적인 구성으로 깊이 있는 사상이나 문학적인 감수성을 다채롭게 표현해낸 작품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지 못 하고 교육되지도 않은 채로 국문학과의 전공과목으로만 교육된다면, 우리의 고전문학은 더 이상 문학으로 감상되거나 후대로 계승되지 못할 수도 있다. 특히 중고등학교에서의 고전문학 교육은 대체로 입시 위주의 주입식 교육이었기에 요점만 간단히 알고 있거나 그나마 알고 있는 작품의 종류나 수도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대학생들이 고전문학을 읽고 감상하면서 자신과 자신이 속한 사회의 문제를 확인하고 해결하는 현재적인 텍스트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방법을 고민할 시점이다. 이에 인문교양교육에서 기초가 되는 읽기ㆍ말하기ㆍ쓰기 교육에서 고전소설을 활용하는 방안을 먼저 생각해 보고, 다음으로는 우리 문학의 전통과 통시성을 교육하는 방안을, 더 나아가 현대문학과 문화예술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하면서 창작을 교육하는 방안을 생각해 보았다. 인문교양이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독서의 토대 위에서만 가능하다. 실용적ㆍ도구적 의미에서의 글쓰기 강좌에서 한걸음 나아가 독서와 토론과 유사한 과목들이 많아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런 과목들의 독서의 대상으로 한국의 고전소설이 채택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고전소설에는 다양한 개성의 인물들이 등장하므로 흥미를 불러일으키며, 서사 내의 갈등 양상은 예나 지금이나 보편적으로 있을 수 있는 것들이기에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또 소설에 형상화된 옛 사람들의 생활문화와 가치관은 현대문학이나 사회학, 신문방송학, 외국 문학 등의 교과목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고전문학을 통해 말하기와 글쓰기 방식을 교육하는 방법은 글쓰기나 논술 교육, 문화콘텐츠 창작 전문가 등을 양성하는 교육 제재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고전소설이 대학 교양교육에서 활용된다면 인문교양교육이 정상화되어 대학생들이 다양한 지적 활동과 학문 활동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대학생들의 고전소설 읽기를 유도하여 그 이해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현대사회는 세계화되어 있지만 이런 시대일수록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일이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계승하는 일이다. 그럼에도 이제까지는 전통적 문화 자산을 대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소개하고 교육하지 못하였기에, 이러한 논의를 통해 대학생들의 고전소설 작품 독서를 적극적으로 권장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manuscript is considering actual condition of human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y and suggesting using classical korean novels as solutions for its problems. That is, to discuss the role and meaning of classical korean novels as a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y and to develop liberal arts that use classical korean novels. It is also to diverge from indicating classical korean novel just as one of major subjects of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to consider ways to educate its various present values.
      I hope university students to understand literary tradition and identity of ethnic and to view korean culture variously through classical korean novel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actively use classical korean novels for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education, which is for cultivation of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expression and the ability to reason. It is because classical korean novels are works that ancient writers and philosophers variously express thoughtful thoughts and literary sensitivity by a refined style and logical organization. Furthermore, with education that thematically connect classical korean novels and modern novels, students can diachronically experience korean literature, and by conceiving ideas and ways of remaking classical korean novels into modern poets, novels, movies and dramas, they can realize its contemporary values.
      The thesis of this manuscript is essential for invigoration and normalization of 'general education' that can help students expand liberal art knowledge and thinking, and will help set a foundation that students can do various mental and academic activi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manuscript is considering actual condition of human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y and suggesting using classical korean novels as solutions for its problems. That is, to discuss the role and meaning of classical korean novels as ...

      The purpose of this manuscript is considering actual condition of human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y and suggesting using classical korean novels as solutions for its problems. That is, to discuss the role and meaning of classical korean novels as a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y and to develop liberal arts that use classical korean novels. It is also to diverge from indicating classical korean novel just as one of major subjects of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to consider ways to educate its various present values.
      I hope university students to understand literary tradition and identity of ethnic and to view korean culture variously through classical korean novel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actively use classical korean novels for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education, which is for cultivation of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expression and the ability to reason. It is because classical korean novels are works that ancient writers and philosophers variously express thoughtful thoughts and literary sensitivity by a refined style and logical organization. Furthermore, with education that thematically connect classical korean novels and modern novels, students can diachronically experience korean literature, and by conceiving ideas and ways of remaking classical korean novels into modern poets, novels, movies and dramas, they can realize its contemporary values.
      The thesis of this manuscript is essential for invigoration and normalization of 'general education' that can help students expand liberal art knowledge and thinking, and will help set a foundation that students can do various mental and academic activ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대학 교양교육의 흐름과 인문교양교육의 중요성
      • 3. 대학 교양교육에서 고전소설의 활용방안
      • 4. 맺음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대학 교양교육의 흐름과 인문교양교육의 중요성
      • 3. 대학 교양교육에서 고전소설의 활용방안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