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거금도에 서식하는 한국 고유종 남방종개의 생태에 대해 조사하였다. 남방종개는 유속이 느리고 하상이 모래로 구성된 소에 주로 서식하였으며, 일부는 하상이 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035621
전주 :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 생물학(동물학) , 2016. 2
2016
한국어
전북특별자치도
ii, 56 p. ; 26 cm
지도교수: 박종영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거금도에 서식하는 한국 고유종 남방종개의 생태에 대해 조사하였다. 남방종개는 유속이 느리고 하상이 모래로 구성된 소에 주로 서식하였으며, 일부는 하상이 잔...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거금도에 서식하는 한국 고유종 남방종개의 생태에 대해 조사하였다. 남방종개는 유속이 느리고 하상이 모래로 구성된 소에 주로 서식하였으며, 일부는 하상이 잔자갈로 이루어진 곳에서도 서식하였다. 또한 주행성 어류로 일출 이후 활동을 시작하고 일몰 이후에는 활동을 멈추고 휴식을 취하였다. 주간에는 대부분의 시간을 섭식에 소비하였고 나머지는 휴식을 취하였다. 섭식은 모래나 돌 표면을 여과하여 먹거나, 모래를 파고 들어가면서 먹거나, 돌이나 자갈의 틈을 파고들어 먹는 형태로 나타났다. 휴식은 기질 위에 가만히 있거나, 모래 속에서 머리를 제외한 몸통과 꼬리부분을 파묻는 형태로 나타났다.
소화관 내용물 중 동물성 먹이는 깔따구류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날도래류, 물벼룩류, 저서성요각류도 섭식하였다. 식물성 먹이는 규조강의 Navicula sp., Cymbella sp., Coconeis sp., 남조강의 Microcystis sp.가 주로 관찰되었다.
암수 성비(female : male)는 1 : 0.69로 암컷이 수컷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란 시기는 6월 말에서 7월 중순으로 추정되었다. 평균 포란수는 933±154개로 나타났고, 전장에 따라 증가하였고, 난경은 1.30±0.07 ㎜로 나타났다.
장성, 장흥, 해남, 고흥 집단의 개체의 계측형질을 비교하였고, 체장 대 미병부 길이, 체장 대 등지느러미 길이, 체장 대 배지느러미 길이, 미병부 폭/길이의 형질에서 미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집단 간 수컷의 골질반 형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