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10년대 조선 왕실 의례에 대한 宮內省의 李王家 舊制 조사 = A survey on the Lee Royal Family of the Japanese Imperial family agency in the 191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82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식민지 조선에서 고종과 순종은 기존 경성의 궁궐에 거주하며 왕족의 지위로왕실의 의례를 주재하였다. 원종과 영조, 정조, 헌종의 탄신을 기리기 위한 선원전 봉심도 합방 이전과 동일하게...

      식민지 조선에서 고종과 순종은 기존 경성의 궁궐에 거주하며 왕족의 지위로왕실의 의례를 주재하였다. 원종과 영조, 정조, 헌종의 탄신을 기리기 위한 선원전 봉심도 합방 이전과 동일하게 거행하였다. 순종이 명성황후의 홍릉을 전알하거나 고종이 거처하는 덕수궁을 알현하는 것은 전혀 장애가 없었다. 식민지 조선이라는 공간에서 대한제국 구 황실의 구성원들은 일제의 통치에서 어느 정도거리감이 느껴질 정도로 전래되던 의례를 한반도 지배 권력의 변화와 관계없이거행하고 있었다. 대한제국 구 황실 구성원 중에서 핵심 세력인 왕공족은 고종과 순종, 영친왕, 의친왕, 李熹公 등이었다.
      본고에서 조선 왕실의 의례와 관련하여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제실제도심의회가 『왕공가궤범』을 논의하던 와중에 만든 『李王家舊制調査報告書』이다. 일본제국정부가 식민지 조선의 통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선 왕족과 일본 황족의 결혼을 기획하였으며 그 첫 단계로 진행한 것이 법적 근거의 마련이었다. 그법적 근거를 논의하기 위해 열린 회의가 제실제도심의회였다. 심의회가 결혼을논의하면서 직면한 가장 큰 난관이 조선 왕족 지위에 대한 해석이었다. 조선 왕족, 즉 왕공족은 1910년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을 병합하면서 구 한국 황족들을회유하기 위해 만든 제도였다. 특히 명치천황이 병합 조서에 왕공족을 일본 황족과 같이 대우하라고 명시한 것이 왕공족의 지위를 혼란하게 만든 주요 원인이었다. 왕공족이 구 한국 황족이라고는 하지만, 표면적으로는 식민지인이었고, 일본 국내적으로도 법률에 특별히 규정된 존재가 아니었다. 따라서 왕공족과 관련된 사안이 발생하면 언제든지 정치 문제로 발전될 소지가 농후하였다. 이런문제를 해소하고 정리하기 위한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이 『이왕가구제조사보고서』이다.
      『이왕가구제조사보고서』는 일본 정부가 왕공족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조선왕실의 의례와 관습을 조사한 것이지만, 그 내용은 조선 왕조 국가부터 대한제국에 이르기까지 장기적으로 전래되던 왕실문화를 정리한 자료집이다. 일본 제국정부가 식민지 조선을 통치하면서 만든 각종 보고서는 사안별로 역사적 유래와 변화 등을 포함해서 작성하는 경우가 많다. 이왕가와 관련된 자료도 동일하다. 대한제국이 일본에 병합되면서 구 한국 황족들은 기존 지위와 예우를 유지할 수 있었다. 조선 왕실에 수백년간 전래되던 의례와 관습도 구 한국 황족이왕공족으로 존재하였기 때문에 계속 거행되고 보존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colonial Korea, King Kojong and Sunjong lived in the existing palace and presided over the Royal ceremonies in the Royal status. There was no obstacle to meeting with members of Royal family each another. The members of the Imperial Former Imp...

      In the colonial Korea, King Kojong and Sunjong lived in the existing palace and presided over the Royal ceremonies in the Royal status. There was no obstacle to meeting with members of Royal family each another.
      The members of the Imperial Former Imperial family in the space of colonial Korea were held irrespective of the change of the Korean Peninsula's ruling ceremony which was transmitted to the extent that a certain sense of distance was felt from the rule of the Japanese emperor. The former members of the Imperial family of Daehan Empire, the King and Kings were Kojong and Sunjong and other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institution that held the Lee Royal family to go all the way to these Royal families is Lee household.
      The case of the Korean Royal family receiving the world's attention and legally confirming its status in the colonial area originated in 1916. It was the marriage of the prince Lee and the princess Masako, It was on August 3, 1916, that the marriage was officially announced and announced to both houses, and it was not prescribed that the Royal family married to the Japanese imperial family at the time. A council was held to complete the “Royal family law” that allowed the marriage of two people. The Royal Family Law regulates the legal status of the Royal family, while the Royal family marries the Japanese Royal woman. The birth of the “Royal Family Code” was made by the prince Lee and the princess Masako and some of the legal statuses that allowed the two to marry, but in conclusion, the Japanese Empire it wa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legal status of the Chosun Kings family.
      What I would like to pay attention to in this chapter in connection with the ritual of the Joseon Dynasty is the “Lee Royal census survey report” made while the Imperial System Council was discussing the “King's Official Code”. It was preparing legal grounds that the Japanese empire government planned the marriage of the Chosun Kings family and the Japanese Royal family to facilitate the rule of the colonies Korea, and proceeded at the first stage. The meeting held to discuss the legal basis was the Imperial System Council. The greatest challenge that the Council faced when discussing marriage was interpretation of the status of the Royal family.
      “The Lee Royal family survey report”, the Japanese government investigated rituals and customs of the Korean Royal fami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Kings and the contents of which are from the Chosun dynasty to the Daehan empire, There is a collection of materials summarizing the Royal culture that was introduced in the long run. Various reports that the Japanese empire government ruled Korean colonies often create historical origins and changes for each case. The same is true for materials concerning Lee Royal family. The Daehan empire was consolidated into Japan, the former Royal family of Korea was able to maintain the existing status and treatment. Rituals and customs that were passed for several hundred years of the Chosun Royal family were sometimes preserved and preserved because the former Korean royalty existed in the Lee Royal fami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왕무, "李王職의 유래와 장서각 소장 이왕직 자료의 沿革" 한국학중앙연구원 (31) : 34-57, 2014

      2 이왕무, "대한제국 황실의 분해와 王公族의 탄생" 고려사학회 (64) : 7-31, 2016

      3 신명호, "高宗純宗實錄』과 『孝明天皇紀』의 편찬배경과 편찬체제 비교" 한국학중앙연구원 (35) : 45-68, 2016

      4 李王垠傳記刊行會, "英親王李垠伝" 共栄書房 1978

      5 궁내청 서릉부 공문서관, "機密韓議第5号, 第一特別委員会大正五年十一月十五日ノ会議ニ於ケル主ナル論点"

      6 小田部雄次, "梨本宮伊都子妃の日記" 小学館 1992

      7 궁내청 서릉부 공문서관, "李王家關係諸案書類"

      8 궁내청 서릉부 공문서관, "李王家旧制調査報告書(韓議第15号 大正6年5月22日)"

      9 정욱재, "日本宮內廳所藏‘公族實錄’의 편찬과 특징-『李熹公實錄』・『李熹公實錄資料』・『李埈公實錄』・『李埈公實錄資料』를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64) : 33-50, 2016

      10 新城道彦, "天皇の韓国併合" 法政大学出版局 2011

      1 이왕무, "李王職의 유래와 장서각 소장 이왕직 자료의 沿革" 한국학중앙연구원 (31) : 34-57, 2014

      2 이왕무, "대한제국 황실의 분해와 王公族의 탄생" 고려사학회 (64) : 7-31, 2016

      3 신명호, "高宗純宗實錄』과 『孝明天皇紀』의 편찬배경과 편찬체제 비교" 한국학중앙연구원 (35) : 45-68, 2016

      4 李王垠傳記刊行會, "英親王李垠伝" 共栄書房 1978

      5 궁내청 서릉부 공문서관, "機密韓議第5号, 第一特別委員会大正五年十一月十五日ノ会議ニ於ケル主ナル論点"

      6 小田部雄次, "梨本宮伊都子妃の日記" 小学館 1992

      7 궁내청 서릉부 공문서관, "李王家關係諸案書類"

      8 궁내청 서릉부 공문서관, "李王家旧制調査報告書(韓議第15号 大正6年5月22日)"

      9 정욱재, "日本宮內廳所藏‘公族實錄’의 편찬과 특징-『李熹公實錄』・『李熹公實錄資料』・『李埈公實錄』・『李埈公實錄資料』를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64) : 33-50, 2016

      10 新城道彦, "天皇の韓国併合" 法政大学出版局 2011

      11 島善高, "大正七年の皇室典範増補と王公家軌範の制定" 49 : 1996

      12 김명수, "1915~1921년도 구황실(李王家) 재정의 구성과 그 성격에 관한 고찰" 한국학중앙연구원 (35) : 6-42,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A Laboratory of Korean Studies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8 0.55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