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교사의 원격교육 유형별 인식과 개선 방안 탐색: K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Recognition of Pre-service Teachers by Type of Distance Education and Exploration of Improvement Plans: Based on the case of K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34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distance education by type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distance education. For 187 students of K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IPA analysis was conducted for perceptions of distance education classified into 7 types,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for improvement measures. For IPA analysis, t-test, Borich demand,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were applied, and for qualitative analysis, text mining analysis and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were applied. Among the types of distance education, the demand for video lectures with lecture materials and professors was the highest. As a way to improve distance education, three topics and 11 sub-topics were derived: ‘Common’, ‘Video lecture’, and ‘Real-time remote video lectur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faculty's educational engineering competency and interact with students in distance education and needed improvement. And, considering that pre-service teachers become teachers after graduation, it was derived that distance education-related cont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distance education by type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distance education. For 187 students of K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IPA analysis was conducted for percept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distance education by type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distance education. For 187 students of K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IPA analysis was conducted for perceptions of distance education classified into 7 types,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for improvement measures. For IPA analysis, t-test, Borich demand,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were applied, and for qualitative analysis, text mining analysis and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were applied. Among the types of distance education, the demand for video lectures with lecture materials and professors was the highest. As a way to improve distance education, three topics and 11 sub-topics were derived: ‘Common’, ‘Video lecture’, and ‘Real-time remote video lectur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faculty's educational engineering competency and interact with students in distance education and needed improvement. And, considering that pre-service teachers become teachers after graduation, it was derived that distance education-related cont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진 ; 전제상 ; 서영석 ; 엄문영,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원격교육연수 재개념화 및 쟁점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7 (37): 227-255, 2020

      2 노일경 ; 정혜령 ; 우영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교육의 뉴노멀로서 온라인교육 시행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245-263, 2021

      3 황규호,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가교육과정의 과제" 한국교육과정학회 38 (38): 83-106, 2020

      4 김서현 ; 박은혜 ; 이영선, "팬데믹 상황에 따른 원격수업에 대한 지체중복장애 중고등학생 어머니의 어려움 및 지원요구 탐색"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4 (64): 45-65, 2021

      5 고인규 ; 황동국 ; 길영재 ; 이기태 ; 최지연, "코로나19 이후 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607-1626, 2020

      6 한국교육개발원, "코로나19 이후 교육분야(원격교육)정책과제 점검" 한국교육개발원 2020

      7 교육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교육 분야 학사운영 및 지원방안 발표"

      8 강성국, "코로나19 대응 국가수준 원격 교육체제 진단 및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20

      9 김한나, "코로나 19로 인한 원격수업 유형에 따른 사범학부 학생들의 강의만족도와 학습효과 연구: 동영상 제작 수업과 실시간 화상 수업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69-193, 2021

      10 윤태성 ; 류수연 ; 임경원, "충남지역 특수학교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 경험과 그 의미"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3 (13): 179-209, 2020

      1 이재진 ; 전제상 ; 서영석 ; 엄문영,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원격교육연수 재개념화 및 쟁점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7 (37): 227-255, 2020

      2 노일경 ; 정혜령 ; 우영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교육의 뉴노멀로서 온라인교육 시행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245-263, 2021

      3 황규호,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가교육과정의 과제" 한국교육과정학회 38 (38): 83-106, 2020

      4 김서현 ; 박은혜 ; 이영선, "팬데믹 상황에 따른 원격수업에 대한 지체중복장애 중고등학생 어머니의 어려움 및 지원요구 탐색"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4 (64): 45-65, 2021

      5 고인규 ; 황동국 ; 길영재 ; 이기태 ; 최지연, "코로나19 이후 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607-1626, 2020

      6 한국교육개발원, "코로나19 이후 교육분야(원격교육)정책과제 점검" 한국교육개발원 2020

      7 교육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교육 분야 학사운영 및 지원방안 발표"

      8 강성국, "코로나19 대응 국가수준 원격 교육체제 진단 및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20

      9 김한나, "코로나 19로 인한 원격수업 유형에 따른 사범학부 학생들의 강의만족도와 학습효과 연구: 동영상 제작 수업과 실시간 화상 수업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69-193, 2021

      10 윤태성 ; 류수연 ; 임경원, "충남지역 특수학교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 경험과 그 의미"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3 (13): 179-209, 2020

      11 전하람 ; 심재휘, "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가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분석: 강화적 전략과 보완적 전략의 공존" 한국교육개발원 45 (45): 61-91, 2018

      12 송승민, "의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중도·중복장애학생 연구의 지식구조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1 (61): 75-99, 2018

      13 김현진, "원격교육과 교육공학의 과제" 한국교육공학회 36 (36): 619-643, 2020

      14 송승민, "예비교사의 온라인교육 구조 인식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수업 참여를 매개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679-689, 2021

      15 송수연 ; 김한경, "언택트 시대의 대학교육: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강의 만족도와 수강지속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21 (21): 1099-1126, 2020

      16 한송이 ; 이가영,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 연구: A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395-418, 2020

      17 조대연,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소 (35) : 165-187, 2009

      18 권대봉 ; 허선주 ; 김소이, "사범대학 재학생을 위한 경력개발 프로그램 요구 분석 - K대학을 중심으로 -" 안암교육학회 14 (14): 225-245, 2008

      19 한국정보화진흥원, "빅데이터 동향과 이슈" 1-24, 2017

      20 박정준, "비대면 원격수업에서 상호작용 교수·학습 전략의 적용: 대학 체육 교과교육학 수업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원 41 (41): 1-19, 2021

      21 오영범, "비대면 원격수업 사례분석을 통한 교수자의 원격수업 역량 탐색: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6 (36): 715-744, 2020

      22 도재우,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연구소 26 (26): 153-173, 2020

      23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정보화백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8

      24 이준 ; 이성흠, "‘좋은 수업’의 관점과 특징에 대한 예비교사의 중요도 인식" 교육연구원 27 (27): 41-59, 2011

      25 Koehler, M., "What i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9 (9): 60-70, 2009

      26 Bransford, J., "Theories of learning and their roles in teaching, Preparing Teachers for a Changing World: What Teachers Should Learn and Be Able to Do"

      27 Simonson, M., "Teaching and learning at a distance: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International Age Publishing 2019

      28 Keegan, D.,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Routeldge 1996

      29 Bozkurt, A., "Emergency remote teaching in a time of global crisis due to Corona Virus pandemic" 15 (15): 1-6, 2020

      30 Mink, O. G.,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Somerset Consulting Group, Inc 1991

      31 이영희 ; 박윤정 ; 윤정현, "COVID-19 대응 대학 원격강의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유형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8 (28): 211-234, 2020

      3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OVID-19 (2020.5.1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33 Welker, J., "Blended learning: Understand the middle ground between traditional classroom and online instruction" 34 (34): 33-55, 2005

      34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1998

      35 Borich, G.,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31 (31): 39-42, 1980

      36 전종희,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의 미래교육 방향 연구 : 미네르바스쿨의 설립 취지 및 성과 등을 중심으로"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10 (10): 23-58, 2021

      37 류태호, "4차 산업혁명 교육이 희망이다: 교사, 학부모, 학생을 위한 미래 교육 길잡이"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38 Trilling, B., "21st Century skills: Learning for life in our times" John Wiley & Sons 2009

      39 교육부, "2020학년도 1학기 적용 일반대학의 원격수업 운영 기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11-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종합연구소 -> 교육종합연구원 KCI등재후보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2 2.12 1.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8 1.71 2.408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