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통시장 활성화에 제도적 규제 및 지원이 미치는 파급효과 예측 시뮬레이션에 관한 실증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simulating the effects of institutional regulation and incentive provision on revitalizing traditional marke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opening of the domestic retail market, the aggressive locations of enterprise market or major super-store has encroached upon the local market areas of the small petty shops. This has accelerated the business closures of petty shops and cons...

      Since the opening of the domestic retail market, the aggressive locations of enterprise market or major super-store has encroached upon the local market areas of the small petty shops. This has accelerated the business closures of petty shops and consequently, threatened the livelihood of the small local shopkeepers, causing a socioeconomic polarization in a relevant locality. To improve this conflicted local market condition, designated were “Traditional Commerce Protection Zone” for regulating aggressive openings of big box stores and “Marketing Area Revitalization System” for providing institutional incentives to petty local stores so that the local distribution market environment can be symbiotic among various types and sizes of merchants. The designation was an institutional effort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local petty market and to promote the local econom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imulate the in institutional effects of the regulation and the provision of incentives on changes of the market shares by retail types (big-box store, SSM(Super-Super Market), traditional market and petty shop). To this end, a gravity-model based simulation tool was built such that the spatial component(the distances to shops from customers as a spatial component) and the non-spatial component(the properties of shops and shoppers) are respectively incorporated into the gravity model. It was assumed that the farther the distance of a new location of big market from the existing stores is, the bigger the market share of traditional markets and petty shops are expected to be. In addition, the more the incentives are provided for traditional markets and small stores, the more frequent the customer’s visits to the non-enterprise types of retailers and the consequent sale increase would be. The simulations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vision of incentives improves better the local market condition than the regulating the location of new retailers. Although the results make sense restricted to the City of Chungju, the study area of this study, the simulation framework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further utilized for other region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empirical estimations of both spatial and non-spatial components of the gravity model is perform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Ⅱ. 관련 선행연구 고찰
      • Ⅲ. 상권 시뮬레이션 방법론
      • Ⅳ. 실증분석
      • Abstract
      •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Ⅱ. 관련 선행연구 고찰
      • Ⅲ. 상권 시뮬레이션 방법론
      • Ⅳ. 실증분석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도모노 노리오, "행동경제학(Behavioral Economics)" 지형 2011

      2 이정전, "토지경제학" 박영사 2007

      3 박영춘, "중심지역 보행자의 보행속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15 (15): 113-126, 2003

      4 박봉두, "재래시장 경쟁력 구성요인과 정책적 시사점" 12 (12): 17-48, 2007

      5 이은희, "소비자와 시장환경" 시그마프레스 2012

      6 이영주, "서민경제 안정을 위한 지 역상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2011

      7 손상락, "도시지역 소비자의 쇼핑장소 선택 특성에 관한 연구 : 마창진 광역도시권을 사례로" 국토연구원 50 : 59-76, 2006

      8 김영기, "도시재생과 중심시가 지 활성화" 한울 2009

      9 정은혜, "대형할인점의 입지와 일상 적 쇼핑장소로의 접근성 차이" 33 (33): 585-598, 2000

      10 이재홍, "대형할인점의 입지와 소비자 이용패턴과의 관계" 한국지역개발학회 22 (22): 131-150, 2010

      1 도모노 노리오, "행동경제학(Behavioral Economics)" 지형 2011

      2 이정전, "토지경제학" 박영사 2007

      3 박영춘, "중심지역 보행자의 보행속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15 (15): 113-126, 2003

      4 박봉두, "재래시장 경쟁력 구성요인과 정책적 시사점" 12 (12): 17-48, 2007

      5 이은희, "소비자와 시장환경" 시그마프레스 2012

      6 이영주, "서민경제 안정을 위한 지 역상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2011

      7 손상락, "도시지역 소비자의 쇼핑장소 선택 특성에 관한 연구 : 마창진 광역도시권을 사례로" 국토연구원 50 : 59-76, 2006

      8 김영기, "도시재생과 중심시가 지 활성화" 한울 2009

      9 정은혜, "대형할인점의 입지와 일상 적 쇼핑장소로의 접근성 차이" 33 (33): 585-598, 2000

      10 이재홍, "대형할인점의 입지와 소비자 이용패턴과의 관계" 한국지역개발학회 22 (22): 131-150, 2010

      11 이재홍, "대형할인점의 유형별 입지 특성 분석" 국토지리학회 44 (44): 683-695, 2010

      12 이상규, "대형할인점의 매출액 결정에 있어서 입지요인의 영향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4

      13 지남석, "대형할인점과의 거리요소가 소비자 방문빈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부동산연구원 20 (20): 193-209, 2010

      14 박성용, "대형할인점 진입에 따 른 재래시장에의 영향 및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14 : 95-128, 2001

      15 최열, "대형할인점 입지적 특성 및 선호요인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123-134, 2004

      16 권용걸, "대형할인점 입지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7 (37): 207-217, 2002

      17 정문오, "대형유통상업시설 개발을 위한 소비자 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용인/분당 지역 대형백화점을 기준으로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5 (15): 201-214, 2009

      18 이희연, "대형 할인점의 입지적 특성 과 상권 분석에 관한 연구" 35 (35): 61-80, 2000

      19 서용구, "대형 할인점 포화지수 산출과 결정 요인 분석 -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국유통학회 9 (9): 65-83, 2004

      20 신우진,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상권 잠식 강도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207-218, 2010

      21 신기동, "기업형 슈퍼마켓(SSM) 확산의 지역상권 영향과 대응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9

      22 신석훈, "기업형 슈퍼마켓(SSM) 규제 입 법논리의 문제점" 한국경제연구원 2009

      23 박주영, "SSM에 대응한 중소 슈퍼마 켓의 경쟁력 강화방안" 15 (15): 1-18, 2010

      24 김익성, "SSM 현황과 대책" (20) : 2011

      25 황규선, "SSM 강원지역 입점에 따른 상권변화와 대응방안" 강원발전연구원 2010

      26 Argyle, "Personality and social behavior, In Personality" Balckwell 1976

      27 Nakanishi, M., "Parameter estimates for multiplicative competitive interaction models-least square approach" 11 : 303-311, 1974

      28 Converse, P. D., "New laws of retail gravitation" 14 : 379-384, 1949

      29 Reiley, W. J., "Methods for the study of retail relationships" University of Texas 1929

      30 Huff, D. L, "Defining and estimating a trade area" 28 : 34-38, 1964

      31 Lakshmanan, T. R., "A retail market potential model" 31 : 131-143, 196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6 0.868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