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삼국유사 “桃花女 鼻荊郞” 설화의 사회 통합적 의미 = The Meaning of Social Integration in “Dohwanyeo and Bihyungrang”,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23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looks to newly interpret the folk tale, “Dohwanyeo and Bihyungrang”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with a wide range of motifs. It is widely accepted that two kinds of perspectives are academically established.
      From a more concrete perspective one represents the viewpoints of historians. Who have pointed out that Jinji of Silla had been ironically described as the good king in that folk tale, despite the fact that he had been dethroned because of his lack of faithfulness and creation of political chaos. They further insisted that descendants from Muyeol of Silla may have tried to restore the honor of their ancestor, Jinji of Silla, revering him as the good king. Scholars of Korean literature, though. only partially agree with historians views on the matter. Focusing on Bihyung’s spiritual ability to chase ghosts, they often view it as a motif to analyze folk tales on the basis of folk beliefs.
      These two viewpoints seem to provide only a partial or fragmentary interpretation, having overlooked many motifs within, “Dohwanyeo and Bihyungrang.” The characters in the folk tale should be examined as integrated motif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Jinji of Silla, Bihyung, and Jinpyeong of Silla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s motifs or meanings in the folk tale.
      To illustrate, Jinji of Silla himself was dethroned from his position king. However. regardless of his humble birth, his son, Bihyung, was brought up well and made an effort to help Jinji of Silla recover his honor and admiration as the good king in the folk tale. Bihyung was born out of wedlock. and, despite this he succeeded in ‘building a bridge across Sinwonsa Temple’ with the help of spirits. This reflects his spiritual ability not only to integrate spirits representing the humble or the alienated, but also to expel those spirits. Jinpyeong of Silla had shown his greatness, accepting Bihyung, son of his political opponent, and curtail conflict and division in Silla. In other words, he was shown as the great king and received the jade belt from the heaven. This folk tale reveals social integration as the critical theme, discussing characters who embraced the son of an opponent’s spirits, and the humble and alienated.
      The theme of social integration can also be observed in other folk tales over time. “Yeonorang and Seonyeo,” a folk tale dating to 400 years before “Dohwanyeo and Bihyungrang” presented Seo, a humble woman, who had weaved splendid silk fabric, and offered it for the ritual practice of begging the moon and sun to shine again. With the aid of her silk offering, moon and sun indeed began to shine. at his folk tale also demonstrates, though Seo was humble and weak, she able to help the country extract itself from difficulties. This folk tale illustrates how society should be integrated beyond the local, a hierarchy, or gender.
      This universal theme of social integration leads to the modern folk tale, “Hwasungbuzi,” the story of a man who takes care of a woman and her son. In effect, he is also blessed because of with his benevolent caring.
      번역하기

      This study looks to newly interpret the folk tale, “Dohwanyeo and Bihyungrang”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with a wide range of motifs. It is widely accepted that two kinds of perspectives are academically established. From a more concret...

      This study looks to newly interpret the folk tale, “Dohwanyeo and Bihyungrang”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with a wide range of motifs. It is widely accepted that two kinds of perspectives are academically established.
      From a more concrete perspective one represents the viewpoints of historians. Who have pointed out that Jinji of Silla had been ironically described as the good king in that folk tale, despite the fact that he had been dethroned because of his lack of faithfulness and creation of political chaos. They further insisted that descendants from Muyeol of Silla may have tried to restore the honor of their ancestor, Jinji of Silla, revering him as the good king. Scholars of Korean literature, though. only partially agree with historians views on the matter. Focusing on Bihyung’s spiritual ability to chase ghosts, they often view it as a motif to analyze folk tales on the basis of folk beliefs.
      These two viewpoints seem to provide only a partial or fragmentary interpretation, having overlooked many motifs within, “Dohwanyeo and Bihyungrang.” The characters in the folk tale should be examined as integrated motif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Jinji of Silla, Bihyung, and Jinpyeong of Silla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s motifs or meanings in the folk tale.
      To illustrate, Jinji of Silla himself was dethroned from his position king. However. regardless of his humble birth, his son, Bihyung, was brought up well and made an effort to help Jinji of Silla recover his honor and admiration as the good king in the folk tale. Bihyung was born out of wedlock. and, despite this he succeeded in ‘building a bridge across Sinwonsa Temple’ with the help of spirits. This reflects his spiritual ability not only to integrate spirits representing the humble or the alienated, but also to expel those spirits. Jinpyeong of Silla had shown his greatness, accepting Bihyung, son of his political opponent, and curtail conflict and division in Silla. In other words, he was shown as the great king and received the jade belt from the heaven. This folk tale reveals social integration as the critical theme, discussing characters who embraced the son of an opponent’s spirits, and the humble and alienated.
      The theme of social integration can also be observed in other folk tales over time. “Yeonorang and Seonyeo,” a folk tale dating to 400 years before “Dohwanyeo and Bihyungrang” presented Seo, a humble woman, who had weaved splendid silk fabric, and offered it for the ritual practice of begging the moon and sun to shine again. With the aid of her silk offering, moon and sun indeed began to shine. at his folk tale also demonstrates, though Seo was humble and weak, she able to help the country extract itself from difficulties. This folk tale illustrates how society should be integrated beyond the local, a hierarchy, or gender.
      This universal theme of social integration leads to the modern folk tale, “Hwasungbuzi,” the story of a man who takes care of a woman and her son. In effect, he is also blessed because of with his benevolent car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삼국유사 “도화녀 비형랑”설화에 대한 해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학계에서는 진지왕이 황음으로 쫓겨났음에도 성제로 표현된 사실에 주목하여, 후대의 무열왕계가 진지왕을 복권시키려 한 결과라고 설명하였다. 국문학계는 비형이 귀신을 쫓는 신격으로 자리 잡는 화소에 주목하여 민속신앙차원에서 이 설화를 분석하였다.
      필자는, 기존 해석이 설화가 간직하고 있는 여러 화소에 대한 선택적 혹은 나열적 설명이라는 비판의식을 가지고, 여러 인물화소를 통합적 차원에서 해석해야한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진지왕, 비형, 진평왕 세 명에 대한 화소가 서로 융합되어 있는 구조임을 전제로 하고, 이 세 인물이 서로 의미적으로 어떻게 결합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진지왕은 정치적으로 쫓겨나야하는 존재였지만, 그가 불륜으로 낳은 아들 비형이 국가적 인재로 성장하면서 성제로 추앙되는 서사적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두 번째 인물 비형은, 불륜의 소생이었으나, ‘신원사 다리놓기’라는 국가적 사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자신처럼 신분이 떳떳하지 못한 존재들, 즉 귀신으로 상징되는 소외세력을 통합하면서, 귀신을 물리치는 신격으로 좌정한다고 분석하였다. 세 번째 인물 진평왕은 적대자의 아들이었던 비형을 거두면서 신라사회의 갈등과 분열을 통합하는 왕이 되고 있었다. 하늘이 옥대를 내려준 사람답게 통합을 실천하는 존재가 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런 논리로써, 이 설화는 적대자의 아들, 소외된 세계를 끌어안는 사회 통합의 의미가 핵심임을 구조적으로 설명하였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삼국유사 “도화녀 비형랑”설화에 대한 해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학계에서는 진지왕이 황음으로 쫓겨났음에도 성제로 표현된 사실에 주목하여, 후대의 무열왕계가 진지왕을 ...

      이 논문은 삼국유사 “도화녀 비형랑”설화에 대한 해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학계에서는 진지왕이 황음으로 쫓겨났음에도 성제로 표현된 사실에 주목하여, 후대의 무열왕계가 진지왕을 복권시키려 한 결과라고 설명하였다. 국문학계는 비형이 귀신을 쫓는 신격으로 자리 잡는 화소에 주목하여 민속신앙차원에서 이 설화를 분석하였다.
      필자는, 기존 해석이 설화가 간직하고 있는 여러 화소에 대한 선택적 혹은 나열적 설명이라는 비판의식을 가지고, 여러 인물화소를 통합적 차원에서 해석해야한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진지왕, 비형, 진평왕 세 명에 대한 화소가 서로 융합되어 있는 구조임을 전제로 하고, 이 세 인물이 서로 의미적으로 어떻게 결합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진지왕은 정치적으로 쫓겨나야하는 존재였지만, 그가 불륜으로 낳은 아들 비형이 국가적 인재로 성장하면서 성제로 추앙되는 서사적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두 번째 인물 비형은, 불륜의 소생이었으나, ‘신원사 다리놓기’라는 국가적 사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자신처럼 신분이 떳떳하지 못한 존재들, 즉 귀신으로 상징되는 소외세력을 통합하면서, 귀신을 물리치는 신격으로 좌정한다고 분석하였다. 세 번째 인물 진평왕은 적대자의 아들이었던 비형을 거두면서 신라사회의 갈등과 분열을 통합하는 왕이 되고 있었다. 하늘이 옥대를 내려준 사람답게 통합을 실천하는 존재가 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런 논리로써, 이 설화는 적대자의 아들, 소외된 세계를 끌어안는 사회 통합의 의미가 핵심임을 구조적으로 설명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완주의 구비설화"

      2 권부영, "설화의 영상콘텐츠 기획방안 연구 : 비형랑 설화의 의미와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5

      3 "삼국유사"

      4 "삼국사기"

      5 金基興, "도화녀·비형랑 설화의 역사적 진실" 41-42 : 131-159, 1999

      6 金杜珍, "新羅진평왕代初期의 政治改革;三國遺事所載도화녀·비형랑 條의分析을 中心으로" 69 : 17-38, 1990

      7 이기백, "新羅政治社會史硏究" 일조각 1974

      8 이문기, "新羅中古의 國王近侍集團" 5 : 1983

      9 김덕원, "新羅中古期舍輪系의 政治活動硏究" 明知大學校大學院 2002

      10 박용국, "新羅 眞智王의 廢位와 眞平王 初期의 政治的 性格" 대구사학회 85 : 1-30, 2006

      1 "완주의 구비설화"

      2 권부영, "설화의 영상콘텐츠 기획방안 연구 : 비형랑 설화의 의미와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5

      3 "삼국유사"

      4 "삼국사기"

      5 金基興, "도화녀·비형랑 설화의 역사적 진실" 41-42 : 131-159, 1999

      6 金杜珍, "新羅진평왕代初期의 政治改革;三國遺事所載도화녀·비형랑 條의分析을 中心으로" 69 : 17-38, 1990

      7 이기백, "新羅政治社會史硏究" 일조각 1974

      8 이문기, "新羅中古의 國王近侍集團" 5 : 1983

      9 김덕원, "新羅中古期舍輪系의 政治活動硏究" 明知大學校大學院 2002

      10 박용국, "新羅 眞智王의 廢位와 眞平王 初期의 政治的 性格" 대구사학회 85 : 1-30, 2006

      11 정진원, "三國遺事의 한국학 콘텐츠 개발 연구" 동국대학교 2015

      12 김유진, "『삼국유사』의 공연예술적 변용 및 현대화 분석 : (재)국립극단의 <삼국유사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2015

      13 하경숙, "『삼국유사(三國遺事)』 소재 설화 <도화녀와 비형랑>의 공연예술적 변용 양상과 가치" 동양고전연구소 (27) : 69-96, 2013

      14 신종원, "≪삼국유사≫ <도화녀비형랑>조에 보이는 ‘귀신’ 세력" 신라사학회 (14) : 5-26, 2008

      15 Ki-Young Um, "The My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ts Meanings of ‘Dohwanyeo Bihyeongrang’ in Samkukyusa"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Culture 25 (25): 37-60, 2013

      16 강은해, "<도화녀·비형랑> 설화에 나타난 두두리(豆豆里) 신앙의 지역화와 진지왕계 복권신화적 기능" 한국어문학회 (120) : 111-139, 2013

      17 권도경, "<도화녀(桃花女) 비형랑(鼻荊郞)>텍스트의 적층구조와 진지왕·도화녀·비형랑 관련 설화의 결합원리" 한민족어문학회 (66) : 187-221, 2014

      18 권도경, "<도화녀(桃花女) 비형랑(鼻荊郞)>에 나타난 도산도목(桃山桃木)·목랑두들(木郞 豆豆里) 신화 수용배경과 진지왕 왕권신화 구조" 한국구비문학회 (38) : 167-207, 2014

      19 강봉룡, "6-7세기 신라정치체제의 재편과정과 그 한계" 9 : 131-155,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4 1.57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