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완주의 구비설화"
2 권부영, "설화의 영상콘텐츠 기획방안 연구 : 비형랑 설화의 의미와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5
3 "삼국유사"
4 "삼국사기"
5 金基興, "도화녀·비형랑 설화의 역사적 진실" 41-42 : 131-159, 1999
6 金杜珍, "新羅진평왕代初期의 政治改革;三國遺事所載도화녀·비형랑 條의分析을 中心으로" 69 : 17-38, 1990
7 이기백, "新羅政治社會史硏究" 일조각 1974
8 이문기, "新羅中古의 國王近侍集團" 5 : 1983
9 김덕원, "新羅中古期舍輪系의 政治活動硏究" 明知大學校大學院 2002
10 박용국, "新羅 眞智王의 廢位와 眞平王 初期의 政治的 性格" 대구사학회 85 : 1-30, 2006
1 "완주의 구비설화"
2 권부영, "설화의 영상콘텐츠 기획방안 연구 : 비형랑 설화의 의미와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5
3 "삼국유사"
4 "삼국사기"
5 金基興, "도화녀·비형랑 설화의 역사적 진실" 41-42 : 131-159, 1999
6 金杜珍, "新羅진평왕代初期의 政治改革;三國遺事所載도화녀·비형랑 條의分析을 中心으로" 69 : 17-38, 1990
7 이기백, "新羅政治社會史硏究" 일조각 1974
8 이문기, "新羅中古의 國王近侍集團" 5 : 1983
9 김덕원, "新羅中古期舍輪系의 政治活動硏究" 明知大學校大學院 2002
10 박용국, "新羅 眞智王의 廢位와 眞平王 初期의 政治的 性格" 대구사학회 85 : 1-30, 2006
11 정진원, "三國遺事의 한국학 콘텐츠 개발 연구" 동국대학교 2015
12 김유진, "『삼국유사』의 공연예술적 변용 및 현대화 분석 : (재)국립극단의 <삼국유사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2015
13 하경숙, "『삼국유사(三國遺事)』 소재 설화 <도화녀와 비형랑>의 공연예술적 변용 양상과 가치" 동양고전연구소 (27) : 69-96, 2013
14 신종원, "≪삼국유사≫ <도화녀비형랑>조에 보이는 ‘귀신’ 세력" 신라사학회 (14) : 5-26, 2008
15 Ki-Young Um, "The My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ts Meanings of ‘Dohwanyeo Bihyeongrang’ in Samkukyusa"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Culture 25 (25): 37-60, 2013
16 강은해, "<도화녀·비형랑> 설화에 나타난 두두리(豆豆里) 신앙의 지역화와 진지왕계 복권신화적 기능" 한국어문학회 (120) : 111-139, 2013
17 권도경, "<도화녀(桃花女) 비형랑(鼻荊郞)>텍스트의 적층구조와 진지왕·도화녀·비형랑 관련 설화의 결합원리" 한민족어문학회 (66) : 187-221, 2014
18 권도경, "<도화녀(桃花女) 비형랑(鼻荊郞)>에 나타난 도산도목(桃山桃木)·목랑두들(木郞 豆豆里) 신화 수용배경과 진지왕 왕권신화 구조" 한국구비문학회 (38) : 167-207, 2014
19 강봉룡, "6-7세기 신라정치체제의 재편과정과 그 한계" 9 : 131-155,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