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직무재창조가 직무열의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직무열의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723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job crafting on job performance in the mediating role of work engagement and on work engagement in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order to achieve such study agenda, the foremost issue would be to firstly examine whether job crafting has an impact on work engagement, followed by whether work engagement has an effect on job performance. Also, whether work engagement has media effect between job crafting and job performance, whethe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moderate effect between job crafting and work engagement to investigate.
      To test the hypotheses proposed, data were collected from knowledge workers working for financial companies in Shandong Province. 250 questionnaires were carried out, and 238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fter excluding 27 unusable cases which had unacceptable level of missing data, 211 cases were used for analysi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Vers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It examined the positive impact of knowledge workers' job crafting on work engagement. Secondly, It examined the positive impact of knowledge workers' work engagement on job performance. Thirdly, This study has that although work engagement mediates the relations between seeking resources, seeking challenges and job performance, work engagement indirect mediates the relations between reducing demands and job performance. Fourthl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on seeking resources, seeking challenges and work engagement, bu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negative impact on them.
      The result of the study can provide the practical implication in the succeeding manner. Firstly, In order to meet the requirements of highly job crafting action' knowledge workers, they make meaningful changes to their work, so companies can increase their working resources and work challenges in order to improve work engagement. Secondly, Secondly, job craf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but what kind of media role does work engagement between job crafting and job performance deserve to be explored. Finally, Knowledge workers with highly job crafting have a high level of enthusiasm for challenging jobs, therefore, in order to meet their requirem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highly free working environ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job crafting on job performance in the mediating role of work engagement and on work engagement in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order to achieve such study agenda,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job crafting on job performance in the mediating role of work engagement and on work engagement in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order to achieve such study agenda, the foremost issue would be to firstly examine whether job crafting has an impact on work engagement, followed by whether work engagement has an effect on job performance. Also, whether work engagement has media effect between job crafting and job performance, whethe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moderate effect between job crafting and work engagement to investigate.
      To test the hypotheses proposed, data were collected from knowledge workers working for financial companies in Shandong Province. 250 questionnaires were carried out, and 238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fter excluding 27 unusable cases which had unacceptable level of missing data, 211 cases were used for analysi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Vers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It examined the positive impact of knowledge workers' job crafting on work engagement. Secondly, It examined the positive impact of knowledge workers' work engagement on job performance. Thirdly, This study has that although work engagement mediates the relations between seeking resources, seeking challenges and job performance, work engagement indirect mediates the relations between reducing demands and job performance. Fourthl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on seeking resources, seeking challenges and work engagement, bu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negative impact on them.
      The result of the study can provide the practical implication in the succeeding manner. Firstly, In order to meet the requirements of highly job crafting action' knowledge workers, they make meaningful changes to their work, so companies can increase their working resources and work challenges in order to improve work engagement. Secondly, Secondly, job craf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but what kind of media role does work engagement between job crafting and job performance deserve to be explored. Finally, Knowledge workers with highly job crafting have a high level of enthusiasm for challenging jobs, therefore, in order to meet their requirem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highly free working environ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재창조가 직무열의를 매개로 하여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고 조직지원인식을 조절하여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도 규명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직무재창조가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한 후, 직무열의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다. 또한 직무열의가 직무재창조와 직무성과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조직지원인식이 직무재창조와 직무열의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가설검정을 위해 중국 산동성의 금융기업 지식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50부를 배포하여 238부를 회수하였고(회수율:95%), 이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이나 한 문항이라도 응답하지 않은 27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211부가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Version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연구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지식근로자의 직무재창조(직무자원 추구하기, 직무도전 추구하기, 직무요구 감소시키기)는 직무열의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지식근로자의 직무열의는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직무자원 추구하기나 직무요구 감소시키기와 직무성과 간에 존재하는 직무열의의 완전매개역할은 뒷받침된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도전 추구하기와 직무성과 간에 존재하는 직무열의의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지원인식이 직무자원 추구하기나 직무도전 추구하기와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부(-)의 역할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직무재창조가 높은 근로자들이 자신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근로자들은 직접적으로 직무를 의미 있게 재설계하니까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해 직무자원과 합리적인 직무도전을 증가해야 한다. 또한, 직무재창조가 높은 지식근로자들은 더욱 높은 자율성과 창의성을 가지고 직무를 할 때 자기관리를 강조하여 직무요구를 받지 않기 때문에 직무열의를 늘리기 위해 직무요구를 적절히 줄어야 된다. 둘째, 직무재창조가 직무성과에 직접적인 유의한 관계를 미치지만 직무재창조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가 어떤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해야 된다. 마지막으로 직무재창조가 높은 지식근로자는 도전적인 직무에 열중하고 자아실현을 갈망하여 그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자율성과 높은 직무환경을 제공해야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재창조가 직무열의를 매개로 하여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고 조직지원인식을 조절하여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도 규명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재창조가 직무열의를 매개로 하여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고 조직지원인식을 조절하여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도 규명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직무재창조가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한 후, 직무열의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다. 또한 직무열의가 직무재창조와 직무성과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조직지원인식이 직무재창조와 직무열의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가설검정을 위해 중국 산동성의 금융기업 지식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50부를 배포하여 238부를 회수하였고(회수율:95%), 이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이나 한 문항이라도 응답하지 않은 27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211부가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Version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연구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지식근로자의 직무재창조(직무자원 추구하기, 직무도전 추구하기, 직무요구 감소시키기)는 직무열의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지식근로자의 직무열의는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직무자원 추구하기나 직무요구 감소시키기와 직무성과 간에 존재하는 직무열의의 완전매개역할은 뒷받침된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도전 추구하기와 직무성과 간에 존재하는 직무열의의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지원인식이 직무자원 추구하기나 직무도전 추구하기와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부(-)의 역할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직무재창조가 높은 근로자들이 자신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근로자들은 직접적으로 직무를 의미 있게 재설계하니까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해 직무자원과 합리적인 직무도전을 증가해야 한다. 또한, 직무재창조가 높은 지식근로자들은 더욱 높은 자율성과 창의성을 가지고 직무를 할 때 자기관리를 강조하여 직무요구를 받지 않기 때문에 직무열의를 늘리기 위해 직무요구를 적절히 줄어야 된다. 둘째, 직무재창조가 직무성과에 직접적인 유의한 관계를 미치지만 직무재창조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가 어떤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해야 된다. 마지막으로 직무재창조가 높은 지식근로자는 도전적인 직무에 열중하고 자아실현을 갈망하여 그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자율성과 높은 직무환경을 제공해야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제2절 연구문제 3
      • 제3절 연구의 구성 4
      • 제2장 이론적 배경 5
      • 제1장 서론 1
      •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제2절 연구문제 3
      • 제3절 연구의 구성 4
      • 제2장 이론적 배경 5
      • 제1절 직무재창조 5
      • 1.1 직무재창조의 개념 5
      • 1.2 직무재창조의 선행연구 7
      • 1.3 직무재창조의 선행변인과 결과변인 9
      • 제2절 직무열의 11
      • 2.1 직무열의의 개념 11
      • 2.2 직무열의의 선행연구 12
      • 제3절 조직지원인식 13
      • 3.1 조직지원인식의 개념 13
      • 3.2 조직지원인식의 선행연구 15
      • 제4절 직무성과 16
      • 제3장 가설 및 연구모형의 설정 18
      • 제1절 가설 설정 18
      • 1.1 직무재창조와 직무열의 18
      • 1.2 직무열의와 직무성과 20
      • 1.3 직무재창조, 직무열의와 직무성과의 관계 21
      • 1.4 직무재창조, 조직지원인식과 직무열의의 관계 23
      • 제2절 연구모형의 설정 25
      • 제4장 연구방법 27
      • 제1절 자료수집 및 표본의 선정 27
      • 1.1 설문지의 구성 27
      • 1.2 자료수집과 연구대상 28
      • 1.3 자료의 분석방법 29
      • 제2절 변수들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30
      • 제5장 연구 결과 분석 33
      • 제1절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33
      • 제2절 변수들의 타당성과 신뢰성 검증 34
      • 2.1 타당성 검증 34
      • 2.2 신뢰성 검증 38
      • 제3절 가설 검증 39
      • 3.1 직무재창조와 직무열의에 대한 가설검증 40
      • 3.2 직무열의와 직무성과에 대한 가설검증 41
      • 3.3 매개효과 검증결과 41
      • 3.4 조절효과 검증결과 45
      • 제6장 결론 51
      •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51
      • 제2절 연구결과의 시사점 및 한계 52
      • 2.1 연구의 시사점 52
      • 2.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54
      • 참고문헌 57
      • 국문초록 69
      • 부록(설문지)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