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특성 및 교수방법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지원 요구 = A Survey of the Perception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Characteristics of and Teaching Practice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937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and have taught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on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ASD and teaching practices for the stu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and have taught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on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ASD and teaching practices for the students. For this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942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746 schools in Seoul and a total of 796 surveys were analyzed among the returned survey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above moderate level of knowledge, implementation, and needs for training on characteristics of ASD and teaching practices for students with ASD. In terms of teaching practices, sub-domains rated as a high level of knowledge are likely to show a high level of implementation. However, the level of implement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knowledge, which means teachers have less implemented than their perceived level of knowledge regarding teaching practices.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knowledge and implementation on characteristics of ASD and teaching practices across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type of schools, and number of students with ASD teaching presentl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eeds for training across the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teaching students with ASD were identified and implications for teacher training were provided as follows: (1) teacher training based on applications in the field, (2) specialized teacher training based on teachers’ needs, (3) comprehensive educational approach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AS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급증하고 있는 자폐 범주성 장애(ASD) 학생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이들을 지도하는 특수교사의 지원 요구를 파악하고 전문적인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모색하고자 ASD 학생을 지도...

      본 연구는 급증하고 있는 자폐 범주성 장애(ASD) 학생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이들을 지도하는 특수교사의 지원 요구를 파악하고 전문적인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모색하고자 ASD 학생을 지도하는 특수교사의 장애 특성 및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 및 지원 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746개교 1,942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최종 796부의 설문지에 대해 ASD 특성과 교수방법 및 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의 지식 및 실행수준, 연수요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특수교사들은 ASD 특성과 교수방법 및 기술에 대해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 수준의 지식 및 실행수준, 연수요구를 보였으며, 특히 교수방법 및 기술에 대해서는 지식수준이 높은 영역에서 실행수준도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지식수준에 비해서는 실행수준이 유의하게 낮아 실제로 지식수준만큼 실행하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의 변인별 특성에 따른 ASD 특성과 교수방법 및 기술에 대한 지식 및 실행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력, 경력, 근무기관 유형 및 담당 학생 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연수요구에 있어서는 변인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ASD 학생을 지도하는 특수교사의 지원요구를 확인하고 나아가 ASD 학생을 지도하는 특수교사의 교육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1) 현장적용 중심의 교사교육, (2) 교사 요구를 고려한 특화된 전문성 교육, (3) ASD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종합적인 교수적 접근.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 2013

      2 이혜전, "특수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특수교사의 특성변인 탐색" 한국학습장애학회 9 (9): 1-28, 2012

      3 이소현, "자폐아 조기교육의 개념 및 방향 재정립 -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369-394, 2002

      4 이숙향, "자폐스펙트럼 장애 학생의 성공적인 성인기 전환을 위한 전환교육 및 지원" 한국자폐학회 39-49, 2012

      5 이소현, "자폐 장애의 일탈적 특성 고찰을 통한 특수교육적 접근의 방향성 정립 : 사회성 발달 장애를 중심으로" 34 (34): 227-256, 1999

      6 이소현, "자폐 아동 및 청소년 교육" 시그마프레스 2010

      7 이소현,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을 위한 증거 기반의 실제 적용의 현황 및 과제" 5-22, 2014

      8 이소현, "자폐 범주성 장애 : 중재와 치료" 시그마프레스 2005

      9 박계신, "유치원 교사의 자폐성 장애에 대한 지식과 자폐성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9 (29): 261-291, 2013

      10 백상수, "교생실습 후 예비유아특수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과 교사양성기관에 대한 제안"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1 (11): 103-128, 2011

      1 교육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 2013

      2 이혜전, "특수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특수교사의 특성변인 탐색" 한국학습장애학회 9 (9): 1-28, 2012

      3 이소현, "자폐아 조기교육의 개념 및 방향 재정립 -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369-394, 2002

      4 이숙향, "자폐스펙트럼 장애 학생의 성공적인 성인기 전환을 위한 전환교육 및 지원" 한국자폐학회 39-49, 2012

      5 이소현, "자폐 장애의 일탈적 특성 고찰을 통한 특수교육적 접근의 방향성 정립 : 사회성 발달 장애를 중심으로" 34 (34): 227-256, 1999

      6 이소현, "자폐 아동 및 청소년 교육" 시그마프레스 2010

      7 이소현,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을 위한 증거 기반의 실제 적용의 현황 및 과제" 5-22, 2014

      8 이소현, "자폐 범주성 장애 : 중재와 치료" 시그마프레스 2005

      9 박계신, "유치원 교사의 자폐성 장애에 대한 지식과 자폐성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9 (29): 261-291, 2013

      10 백상수, "교생실습 후 예비유아특수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과 교사양성기관에 대한 제안"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1 (11): 103-128, 2011

      11 오정숙,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 특수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537-556, 2011

      12 Strain, P., "The need for longitudinal intensive social skill intervention : LEAP follow-up outcomes for children with autism" 20 (20): 116-123, 2000

      13 Laczko-Kerr, I., "The effectiveness of ‘Teach for America’ and other undercertified teachers on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A case of harmful public policy" 10 (10): 2002

      14 Darling-Hammond, L., "Teaching quality and student achievement: A review of state policy evidence" Center for the Study of Teaching and Policy, University of Washington 1999

      15 Shyman, E., "Teacher education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 a potential blueprint" 47 (47): 187-197, 2012

      16 Hendircks, 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rving students with autism : A descriptiv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and self-reported knowledge and practices employed" 35 (35): 37-50, 2011

      17 Reichow, B.,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autism : evaluation for evidence-based practices within a best evidence synthesis framework" 40 (40): 149-166, 2010

      18 Dunn, W., "Sensory processing issues associated with asperger syndrome : a preliminary investigation" 56 (56): 97-102, 2002

      19 Williams, K. L., "School personnel knowledge of autism : a pilot survey" 65 (65): 7-14, 2011

      20 이소현, "SCERTS 모델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을 위한 종합적 교육 접근" 학지사 2014

      21 Kim, Y. S., "Prevalence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a total population sample" 168 (168): 904-912, 2011

      22 National Autism Center, "National standards project findings an conclusions" National Autism Center 2009

      23 Dunn, W., "Learners on the autism spectrum: Preparing highly qualified educators and related practitioners" AAPC Publishing 133-151, 2014

      24 Barned, N., "Knowledge and attitude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32 (32): 302-321, 2011

      25 Odom, S. L., "Implementation sci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79 (79): 233-251, 2013

      26 Felter, M., "High school staff characteristics and mathematics test results"

      27 Odom, S. L., "Handbook of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Vol. 2" Wiley 770-787, 2014

      28 Kucharczyk, S., "Guidance & coaching on evidence-based practices for learn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Frank Porter Graham Child Development Institute, National Professional Development Center on Autism Spectrum Disorders 2012

      29 Mavropoulou, S., "Greek teachers’ perceptions of autism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4 (4): 173-183, 2000

      30 Simpson, R. L., "Finding effective intervention and personnel preparation practice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70 (70): 135-144, 2004

      31 Odom, S. L., "Evidence-based practices for children and youth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54 (54): 275-282, 2010

      32 Wong, C., "Evidence- based practices for children, youth, and young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Frank Porter Graham Child Development Institute 2013

      33 Odom, S. L., "Evaluation of comprehensive treatment models for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31 (31): 131-144, 2010

      34 Hayes, J. A., "Educators’ readiness to teach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an inclusive classroom" 25 (25): 67-78, 2013

      35 Darling-Hammond, L., "Educating teachers" 51 (51): 166-173, 2000

      36 Zager, D., "Educating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Research-based principles and practices" Routledge 2012

      37 National Research Council, "Educating children with autism" National Academy Press 2001

      38 Rogers, S. J., "Early Start Denver Model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promoting language, learning, and engagement" The Guilford Press 2010

      39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3

      40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CEC initial level special educator preparation standards"

      41 Center for Disease Control, "CDC estimates 1 in 68 children has been identifi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42 National Professional Development Center on ASD, "Autism program environment rating scale(Preschool/elementary and middle/high school)" National Professional Development Center on ASD 2011

      43 Wortman, D., "Are educators prepared to teach students with autism?" Ohio University 2013

      44 Hendricks, D., "A Descriptive stud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rving students with autism:Knowledge, practices employed, and training needs"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