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일본의 사무처리특례제도의 운영현황과 시사점 = A Study on the Devolution within a Prefectures in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603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revision of Local Autonomy Act in 2000, it became to be possible to transfer some administrative works of prefecture into municipalities. At governor’s discretion, degrees of devolution differ from prefectures. It means the devolution within a prefecture. Also, local financial law states that governor should grant for the transfer of each work.
      In case of Chiba prefecture, the number of legislations transferred from the prefecture is over 90.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 number transferred differ among municipalities. This paper presumes the result of the previous consultations between prefecture and municipalities. Total grants from prefecture amount to 150 millions yen. It is insignificant in comparing to general account amount. The most part of grant is for passport issuances in some larger cities. This paper confirmed that some works excluded from grant. Also some works transferred were no demand and no grants.
      In this paper,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obtained. The transfer system of some works from prefecture into municipalities is devolved to reflect the capabilities of local governments. This paper has confirmed that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and efficiency are likely to conflict in case of small municipalities. Local decentralization does not just mean the redistribution of administrative works to nearby local governments. In order to secure accountability and independence, the costs must be attributed to decision makers as much as possible. In this sense, the adequacy of grants as a means of funding may be a subject of controversy.
      번역하기

      With the revision of Local Autonomy Act in 2000, it became to be possible to transfer some administrative works of prefecture into municipalities. At governor’s discretion, degrees of devolution differ from prefectures. It means the devolution withi...

      With the revision of Local Autonomy Act in 2000, it became to be possible to transfer some administrative works of prefecture into municipalities. At governor’s discretion, degrees of devolution differ from prefectures. It means the devolution within a prefecture. Also, local financial law states that governor should grant for the transfer of each work.
      In case of Chiba prefecture, the number of legislations transferred from the prefecture is over 90.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 number transferred differ among municipalities. This paper presumes the result of the previous consultations between prefecture and municipalities. Total grants from prefecture amount to 150 millions yen. It is insignificant in comparing to general account amount. The most part of grant is for passport issuances in some larger cities. This paper confirmed that some works excluded from grant. Also some works transferred were no demand and no grants.
      In this paper,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obtained. The transfer system of some works from prefecture into municipalities is devolved to reflect the capabilities of local governments. This paper has confirmed that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and efficiency are likely to conflict in case of small municipalities. Local decentralization does not just mean the redistribution of administrative works to nearby local governments. In order to secure accountability and independence, the costs must be attributed to decision makers as much as possible. In this sense, the adequacy of grants as a means of funding may be a subject of controvers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사무처리특례제도는 지사가 자신의 권한·사무를 관내의 시정촌에 유연하게 재배분하는 제도로 2000년부터 시행되었다. 이 글은 사무처리특례제도의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치바현을 사례로 운영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바현은 조례와 사무처리특례교부금요강을 제정해 지방자치법개정에 대응하고 있다. 사무이양법률수는 90개 정도로 도도부현 평균치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바현은 권한사무를 모든 시정촌에 획일적으로 이양하고 있지 않음이 밝혀졌다. 이는 시정촌의 차이·다양성을 반영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사무처리특례교부금은 권한사무이양에 관한 의사결정의 중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의무화한 제도이다. 교부금은 사무처리에 따른 인건비를 반영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 규모는 치바현과 각 시정촌의 예산규모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이는 이양사무는 투자적 경비와는 무관하며, 행정수요가 발생하지 않으면 교부되지 않기 때문이다.
      한 개의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 분석이란 한계가 있지만, 사무처리특례제도의 운영현황에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보완성의 원리와 능률의 원칙은 상충하기 쉽다는 점이다. 둘째로 지방분권은 권한사무를 주민과 가까운 기초자치단체에 배분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자율에 따른 책임과 자립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 비용도 가능한 한 의사결정자에 귀속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재원조치로서 교부금의 적정성이 논란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셋째, 우리도 대도시를 중심으로 차등적 분권화가 논의되고 있다. 일본에 비해 기초자치단체의 규모가 크다는 점에서 모든 시군구를 대상으로 사무이양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번역하기

      사무처리특례제도는 지사가 자신의 권한·사무를 관내의 시정촌에 유연하게 재배분하는 제도로 2000년부터 시행되었다. 이 글은 사무처리특례제도의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얻는 것�...

      사무처리특례제도는 지사가 자신의 권한·사무를 관내의 시정촌에 유연하게 재배분하는 제도로 2000년부터 시행되었다. 이 글은 사무처리특례제도의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치바현을 사례로 운영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바현은 조례와 사무처리특례교부금요강을 제정해 지방자치법개정에 대응하고 있다. 사무이양법률수는 90개 정도로 도도부현 평균치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바현은 권한사무를 모든 시정촌에 획일적으로 이양하고 있지 않음이 밝혀졌다. 이는 시정촌의 차이·다양성을 반영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사무처리특례교부금은 권한사무이양에 관한 의사결정의 중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의무화한 제도이다. 교부금은 사무처리에 따른 인건비를 반영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 규모는 치바현과 각 시정촌의 예산규모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이는 이양사무는 투자적 경비와는 무관하며, 행정수요가 발생하지 않으면 교부되지 않기 때문이다.
      한 개의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 분석이란 한계가 있지만, 사무처리특례제도의 운영현황에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보완성의 원리와 능률의 원칙은 상충하기 쉽다는 점이다. 둘째로 지방분권은 권한사무를 주민과 가까운 기초자치단체에 배분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자율에 따른 책임과 자립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 비용도 가능한 한 의사결정자에 귀속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재원조치로서 교부금의 적정성이 논란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셋째, 우리도 대도시를 중심으로 차등적 분권화가 논의되고 있다. 일본에 비해 기초자치단체의 규모가 크다는 점에서 모든 시군구를 대상으로 사무이양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병호, "일본의 지방분권개혁입법에 관한 연구" 한국입법학회 15 (15): 1-45, 2018

      2 형시영, "대도시행정의 차등적 분권화와 행정특례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차등분권과 정령지정도시의 발전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 18 (18): 187-207, 2006

      3 伊藤敏安, "道府県から市町村への権限移譲と財政的地方政府関係" 22 : 3-21, 2011

      4 関谷昇, "補完性原理と地方自治についての一考察―消極・積極二元論に伴う曖昧さの克服に向けて-" 4 (4): 81-109, 2007

      5 昇秀樹, "補完性の原理と地方自治制度" 631 : 30-49, 2003

      6 門脇康太, "自治体分権と知事:―事務処理特例制度の分析―" 11 : 1-21, 2016

      7 坂田期雄, "機関委任事務をめぐる論点" 32 (32): 17-36, 1989

      8 藤巻秀夫, "事務処理特例制度の意義と課題一都道府県・市町村関係への影響一" 23 (23): 181-210, 2011

      9 "https://www.pref.chiba.lg.jp/zaisei/futankin/index.html"

      10 "https://www.pref.chiba.lg.jp/toukei/toukeidata/joujuu/geppou/saishin/setai.html"

      1 배병호, "일본의 지방분권개혁입법에 관한 연구" 한국입법학회 15 (15): 1-45, 2018

      2 형시영, "대도시행정의 차등적 분권화와 행정특례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차등분권과 정령지정도시의 발전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 18 (18): 187-207, 2006

      3 伊藤敏安, "道府県から市町村への権限移譲と財政的地方政府関係" 22 : 3-21, 2011

      4 関谷昇, "補完性原理と地方自治についての一考察―消極・積極二元論に伴う曖昧さの克服に向けて-" 4 (4): 81-109, 2007

      5 昇秀樹, "補完性の原理と地方自治制度" 631 : 30-49, 2003

      6 門脇康太, "自治体分権と知事:―事務処理特例制度の分析―" 11 : 1-21, 2016

      7 坂田期雄, "機関委任事務をめぐる論点" 32 (32): 17-36, 1989

      8 藤巻秀夫, "事務処理特例制度の意義と課題一都道府県・市町村関係への影響一" 23 (23): 181-210, 2011

      9 "https://www.pref.chiba.lg.jp/zaisei/futankin/index.html"

      10 "https://www.pref.chiba.lg.jp/toukei/toukeidata/joujuu/geppou/saishin/setai.html"

      11 "https://www.pref.chiba.lg.jp/shichou/press/2018/documents/01_29kessankobetu.pdf"

      12 "https://www.pref.chiba.lg.jp/shichou/jichi/documents/jimuichiran_1.pdf"

      13 "https://www.pref.chiba.lg.jp/shichou/jichi/documents/29syonendo.pdf"

      14 "https://www.pref.chiba.lg.jp/shichou/jichi/documents/29ichiran01.pdf"

      15 "https://www.pref.chiba.lg.jp/shichou/documents/4-2-1.pdf"

      16 "https://www.pref.chiba.lg.jp/gyoukaku/shingikai/gyouseikaikaku/2009"

      17 "http://www.pref.mie.lg.jp/SHICHOS/HP/bunken/19593019890.htm"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탈락(현장점검) (기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2-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공사회연구회 -> 한국공공사회학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1.15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