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元曉의 心識觀 硏究 : 『起信論別記』·『起信論疏』 中心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497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objective of Buddhism is 'enlightenment' and hence, Buddhism is called as 'The religion of enlightenment'. According to the Buddhist texts, a perfectly enlightened human beings are those who totally become aware of the reason of inter-connect...

      The main objective of Buddhism is 'enlightenment' and hence, Buddhism is called as 'The religion of enlightenment'. According to the Buddhist texts, a perfectly enlightened human beings are those who totally become aware of the reason of inter-connectivity, and the Theory of Inter-Connectivity means the true reality that exists with the presence of interaction between the mutual causes and conditions among all individuals. The very principal agent of the enlightenment is the heart of human beings.
      Since Buddha has become the pioneer thorough introspection of his own heart, Buddhism is on a process of researching and analyzing human beings' hearts so that they can complete the true aspect of their own. One-Mind can be explained as the only way of transmuting human beings in terms of both quality and emotion and further, the whole world itself. For human beings to be enlightened, they must realize the nature of their own hearts. For this point, the subject and object of the enlightenment is the heart of human being.
      Theory of Consciousness of Mind could be referred as the main issue of Buddhism all through the history from the very early stage of Buddhism to Mahabanya Buddhism and also, it has been changed into various aspects under historical variation and academical capability. Mind-Only Vijnanavadin (唯識) established the system of Theory of Consciousness of Mind as it clarified the concept of Alayavijnana for the very first time.
      Theory of Consciousness of Mind has developed issues of human hearts and it eventually shows the harmony and exchange of all existing thoughts resulting from the development of the relative studies of human hearts; the typical example is ‘Alayavijnana’ mentioned in Awakening of Mahayana Faith(大乘起信論) - will be shortly stated as 『Awakening』 in this study.
      The specificity of 『Awakening』 could be highlighted among other existing Theory of Consciousness of Mind of Mind-only (vijnaptimatrata) as Alayavijnana takes a inclusive stance for all different thoughts of Mahabanya. Alayavijnana of 『Awakening』 simply states "Both Mortality and Immortality harmonize simultaneously and they never become one and another - neither the same nor the different(非一非異). It means, it covers all different aspects of truths and falses. However, the harmony of mortality and immortality doesn't mean a simple co-existence, but a indispensible interrelation. It represents that the real world with continuos mortality has a certain connection with the immortality of true heart.
      Human beings are able to devote themselves to the fulfillment of the truth relying on their own hearts with this thesis according to 『Awakening』. and it can be explained as Alayavijnana relies on Tathagatagarbha, which also can be called as 'the seed of entering Nirvana'
      ‘Tathagatagarbha’ is referred as 'the seed of becoming Buddha' - the possibility of enlightenment for pure human beings. According to Tathagatagarbha, lessens of Buddha are regarded as 'all human beings are Tathagatagarbha’. Therefore, these lessens have a meaning of 'guiding all human beings to Nirvana' in terms of salvation.
      Awakening has adopted theoretical system of Vijnaptimatrata that has been piled for a long time in a creative way and the result from this development is Alayavijnana from Awakening. Also, as Awakening contains statement those covers ideas of Mahabanya, it has re-interpreted and settled by a majority of exegetist from East Asia and also inherited to the modern world. For this reason, Awakening has a reputation of essential treatise regarding human hearts.
      The views for theoretical feature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ombinations : of the synthesis of Madhyamika school (中觀) and Vijnaptimatrata (唯識), of Old and New Vijnaptimatrata, and, of Vijnaptimatrata and Tathagatagarbha. Awakening in terms of Theory of Inter-Connectivity of Tathagatagarbha, it is appropriate to say that Awakening compromises and sublates Vijnaptimatrata on the basis of Tathagatagarbha.
      Especially, Wonhyo's study for the Theory of Consciousness of Mind has a basis on 'The Philosophy of One Mind and its Two Aspects (一心二門觀)’, which is mentioned in DaeSeungGiSilRonSo(大乘起信論疏) and DaeSeungGiSinRon ByeolGi (A Separate Commentary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大乘起信論別記』. Recently, there are many attempts to analyze Wonhyo's Theory of Consciousness of Mind (心識) on more philosophical way, hence, the attention has expanded to relatively general writings such as YeolBanGyeongJongYo(淫藥經宗要),Ijangeui: The Significance of Two Hindrances(二障義) and DaeHyaeDoGyeongJongYo(大慧度經宗要). However, it is said that systematical and comprehensive studies for existing writings of Wonhyo has not reached to a certain point, hence, it is obvious that overall characteristics contemplation for Wonhyo's Theory of Consciousness of Mind shall be enhanced.
      This study would like to simply introduce the main direction of the research prior to presenting the purpose of the study. With regard to the interpretation of principles of Theory of Consciousness of Mind (心識) which is the main point of Wonhyo's theory, there are still many arguments about which theory shall be acknowledged as the grounds of Awakening - those of One Mind Theory, Yogacara School(唯識學派), Vijnaptimatrata and Huayan(華嚴) - yet, an agreed opinion among them appears that Wonhyo's theory took 'heart' to be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it, although various Interpretations for Awakening that is mentioned in Wonhyo's writings has few different points.
      For Wonhyo's view of Awakening, he stated that 'This is the very writing which directing all thoughts of Mahayana Buddhism into the same boundary, the heart.' It is said that there is no different opinions that Awakening totally includes all different kinds of heart theories and corresponding all Mahayana sutras.
      This study sees Awakening fulfills the communication and suggests the true performance, and Tathagatagarbha shall be the foundation of them. For the point of Tathagatagarbha, with the equality of all human beings and the possibility for the enlightenment, here this study suggests five grounds for systematizing the texts of Mahayana.
      ① Awakening regards the 'Clean Heart' as 'Tathagatagarbha’; ‘Original Enlightenment’, and the process of realizing it as 'Actualized Enlightenment(始覺)' and human beings in agony as 'Non Enlightenment’ and finally sees 'Final Enlightenment of Actualized Enlightenment' which is the complete version of 'Actualized Enlightenment' is same as ‘Original Enlightenment’.
      ② Awakening sees that Interactive Vasana(熏習) is possible in terms of truth and false, however, in the case of Vijnaptimatrata, Vasana of Undefilement(淨法熏習) cannot be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Vasana of Defilement 染法熏習).
      ③ The opinion that anguish is not an object of elimination but an unsubstantial thing has an agreement with the opinion of Huayan (華嚴) that insists the Harmonious world of Buddhists.
      ④ The interpretation for Vasana of Suchness (眞如熏習) has a close relevance with the action of mercy in terms of fulfillment stage.
      ⑤ For the point of enlightenment, the realization of selfless humanitarianism and the performance of Tathagatagarbha are strongly emphasized.

      This study considers Wonhyo's Theory of Consciousness of Mind on the basis of Awakening and DaeSeungGiSilRonSo. ByeolGi(大乘起信論疏, 別記) which is the annotation of Wonhyo. To clarify Vijnaptimatrata, Tathagatagarbha in regard of Wonhyo's interpretation for Theory of Consciousness of Mind , this study will present under the title of "The study of Wonhyo's Theory of Consciousness of Mind". Also, this study will take a further focus on Theory of Consciousness of Mind regarding Awakening, and interpretation of Wonhyo as well as other previous annotations.
      DaeSeungGiSilRonSo(大乘起信論疏), DaeSeungGiSilRonByeolGi(大乘起信論別記) of Wonhyo are main references for this paper. There are numerous interpretation and papers for those two, this paper has a base pf 'The Philosophy of Wonhyo' of Ki-Young, Lee and DaeSeungGiSilRonSo. ByeolGi(大乘起信論疏. 別記) of Jeong-Hee, Eun. Also, this paper has limited its contents to pre-research about Alayavijnana from annotation of Awakening and Theory of Consciousness of Mind (心識) of Wonhyo.
      This study will deal with the nature and features of One Mind from Awakening with the study mentioned earlier and hav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ory of Consciousness of Mind from previous annotation and Wonhyo, so that the study could highlight the superiority of Wonhyo's Theory of Consciousness of Mind and Theory of Affli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심식사상은 초기불교 이래 대승불교에 이르기까지 불교사 전반에 걸쳐 가장 중요한 과제이며 시대의 발전과 개인의 근기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변천 및 발전해왔다. 그리고 심식사상은 ...

      심식사상은 초기불교 이래 대승불교에 이르기까지 불교사 전반에 걸쳐 가장 중요한 과제이며 시대의 발전과 개인의 근기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변천 및 발전해왔다. 그리고 심식사상은 佛敎史 전반에서 중심이 되어온 심식의 문제와 그와 관련된 교학의 발전과 더불어 대승불교의 모든 사상과 교류하고 통섭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대승기신론』에 나타나는 심식관 이다.
      원효는 『기신론』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을 바탕으로 당시 동아시아 불교계의 주된 논제 중의 하나였던 心識觀에 대한 자신의 독자적인 관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번뇌론에 대한 체계 역시 새롭게 조직하고 있다. 원효에 따르면 인간 본래의 마음은 깨달음 그 자체인 맑고 청정한 마음이다. 그러나 인간의 아집과 편견으로 인해 그 본래의 청정한 마음이 오염되어 온갖 번뇌와 망상에 시달리며 괴로워하는 중생의 삶을 살고 있다. 원효는 그 해답을 마음의 문제로 풀고자하였다.
      원효의 심식사상에 대한 연구들은 원효의 『기신론소』와 『기신론별기』에 나타난 일심이문이나 연기사상에 의거하여 연구하고 분석하려는 경향이 근간을 이루고 있다. 최근에는 원효의 심식관에 대해서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그 연구의 분야도 원효의 전반적인 저술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원효의 저술에 나타나는 심식관의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는 아직도 만족할 수준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원효의 심식관 전반에 대한 개인의 연구와 특징적인 고찰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ʻ원효의 심식관 연구ʼ라는 논제 하에 아래와 같은 내용을 다루고 있다.
      첫째, 『기신론』의 성립 배경과 구조, 근저사상 및 시대별 연구동향을 정리하고, 『기신론』에 나타난 사상적 특성을 유식설과 비교하여 두 사상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했다.
      둘째, 일심의 특성과 연기를 일심이문, 즉, 중생심의 절대적인 본질의 측면과 그 체를 근거로 하는 상대적 생멸의 현상적 측면으로 나누어 천착하고 있다.
      셋째, 여래장 연기설이 전개되는 과정을 연기설의 구조와 의미, 覺과 不覺의 연기 및 염법의 유전연기와 정법의 환멸연기로 설명한다.
      넷째, 『기신론』 주석서에 나타나는 선행 연구자별 心思想을 원효의 심식관과 비교 및 논거하며 특히 양대 『기신론소』로 간주되는 원효와 법장의 심식관에 대한 동이점을 비교, 분석한다.
      다섯째, 원효의 심식관에서 중점분야인 심식론을 번뇌론 측면에서 고찰함으로써 원효의 회통적 해석과 자신의 독자적인 이론체계의 구성을 논증하고, 원효의 심식관이 신앙심과 연계되는 삼대사상을 원효의 佛身觀을 통해서 확인한다.
      현대에 이르기까지 『기신론』을 연구하는데 있어 그 이해를 법장의 『기신론의기』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것이 보편적인 흐름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왜곡을 바로잡기 위해서 『기신론』 연구사에서 원효의 敎學的인 위치를 새롭게 재조명하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序 論 1
      • 1. 問題의 提起와 硏究의 目的 1
      • 2. 硏究의 方法과 範圍 5
      • Ⅱ. 元曉 敎學의 佛敎史的 位置 11
      • 1. 元曉 敎學의 佛敎史的 位置 11
      • Ⅰ. 序 論 1
      • 1. 問題의 提起와 硏究의 目的 1
      • 2. 硏究의 方法과 範圍 5
      • Ⅱ. 元曉 敎學의 佛敎史的 位置 11
      • 1. 元曉 敎學의 佛敎史的 位置 11
      • 2. 元曉의 『大乘起信論』 關聯 著述과 次第 14
      • 1) 『大乘起信論』 關聯한 著述과 次第 14
      • 2) 『大乘起信論疏』•『別記』 所依經論 17
      • 3. 元曉의 敎判觀 17
      • 1) 元曉의 四敎判 17
      • 2) 一乘圓敎 譜法義와 『大乘起信論』의 關係 20
      • Ⅲ. 『大乘起信論』의 構造와 思想的 特徵 22
      • 1. 『大乘起信論』 成立의 思想的 背景 22
      • 2. 『大乘起信論』의 構造와 思想 25
      • 3. 『大乘起信論』의 時代別 硏究動向 27
      • 1) 元曉時代 前後의 『大乘起信論』의 註釋과 硏究 27
      • 2) 近代 以前 『大乘起信論疏』•『別記』의 傳承 33
      • 3) 現代 韓國의 『大乘起信論疏』•『別記』 硏究史 34
      • 4. 『大乘起信論』의 思想的 特徵 37
      • 1) 『大乘起信論』과 唯識說의 觀點 差異 37
      • 2) 薰習의 含意 44
      • Ⅳ. 一心의 特性과 緣起 49
      • 1. 一心二門 49
      • 1) 本質的 側面의 心眞如門 59
      • 2) 現象的 側面의 心生滅門 64
      • 2. 覺과 不覺의 緣起性 67
      • 1) 覺義 69
      • 2) 不覺義 78
      • 3. 染法의 流轉緣起 80
      • 1) 不覺相과 五義•意識의 流轉緣起 80
      • 2) 染法薰習의 因緣 86
      • 4. 始覺의 還滅緣起 87
      • 1) 淨法의 還滅緣起 90
      • 2) 始覺과 六染心의 還滅緣起 91
      • 3) 淨法薰習의 因緣 99
      • 5. 『大乘起信論』에서 修行構造 100
      • 1) 『大乘起信論』에서 不覺•始覺•本覺의 關係 100
      • 2) 『大乘起信論』에서 覺의 修行論的 含意 102
      • 3) 『大乘起信論』에서 깨달음과 薰習 104
      • Ⅴ. 『大乘起信論』 註釋書別 心識觀 107
      • 1. 敦煌本 杏雨書屋 所藏 『大乘起信論疏』 109
      • 1) 『杏雨書屋本』의 先行檢討 109
      • 2) 『杏雨書屋本』과 『曇延疏』 比較 110
      • 2. 『曇延疏』의 心識觀 111
      • 3. 『慧遠疏』의 心識觀 114
      • 4. 『法藏疏』의 心識觀 120
      • 5. 元曉와 法藏의 心識觀 比較 139
      • 1) 阿梨耶識과 如來藏에 대한 見解 139
      • 2) 覺과 不覺에 대한 見解 142
      • 3) 三細와 六麤에 대한 見解 146
      • Ⅵ. 元曉의 心識觀과 特徵 150
      • 1. 元曉의 識位配對 150
      • 2. 元曉의 煩惱論 159
      • 1) 『二障義』 構造 159
      • 2) 障碍의 克復 169
      • 3. 元曉 心識觀의 特徵 175
      • 1) 元曉의 阿梨耶識觀 175
      • 2) 元曉의 末那識觀 183
      • 3) 唯識思想과 如來藏思想의 會通 193
      • 4) 一心의 力動性과 外緣擴張 196
      • 5) 元曉 煩惱說의 構造와 特徵 199
      • 4. 元曉의 佛身觀 201
      • 1) 『大乘起信論』의 佛身觀 201
      • 2) 三大와 二門의 關係 203
      • 3) 『大乘起信論疏』의 法身 204
      • 4) 『大乘起信論疏』 報身 206
      • Ⅶ. 結 論 213
      • 參考文獻 221
      • Abstract 23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장애순, "경전산책", 민족사, 민족사, 2000

      2 안성두, "『보성론』", 소명출판, 2012

      3 조수동, "『여래장』", 이문, 이문출판사, 1997

      4 평천창, "여래장사상", 경서원, 경서원, 1996

      5 이기영, "『元曉思想』", 弘法院, 1986

      6 김성철, "『중관사상』", 민족사, 민족사, 2006

      7 정순일, "『인도불교사』", 운주사, 2011

      8 길희성, "『인도철학사』", 민음사, 1997

      9 신옥희, "「일심과 실존」",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0

      10 박건주, "『능가경 역주』", 운주사, 2010

      1 장애순, "경전산책", 민족사, 민족사, 2000

      2 안성두, "『보성론』", 소명출판, 2012

      3 조수동, "『여래장』", 이문, 이문출판사, 1997

      4 평천창, "여래장사상", 경서원, 경서원, 1996

      5 이기영, "『元曉思想』", 弘法院, 1986

      6 김성철, "『중관사상』", 민족사, 민족사, 2006

      7 정순일, "『인도불교사』", 운주사, 2011

      8 길희성, "『인도철학사』", 민음사, 1997

      9 신옥희, "「일심과 실존」",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0

      10 박건주, "『능가경 역주』", 운주사, 2010

      11 스구로 신죠오, 정호영 옮김, 시즈타니 마사오, "『대승의 세계』", 대원정사, 1991

      12 안성두 옮김, 폴 윌리엄스, 앤서니 트라이브, "『인도불교사상』", 씨아이알, 씨아이알, 2011

      13 고영섭, "『원효의 통일학』", 예문서원, 2002

      14 계 환, "『大乘佛敎의世界』", 雲住社, 2005

      15 월운, "『大乘起信論講話』", 불천, 1993

      16 이기영, "『韓國의佛敎思想』", 三省出版社, 1987

      17 고익진, "「元曉의 華嚴思想」", 韓國華嚴思想硏究, 동국대출판부, 1982

      18 윤종갑, "「원효의 철학체계」", 『밀교학보』, 제7집, 2005

      19 권오민, "「인도철학과 불교」", 『서울: 민족사』, 2004

      20 은정희, "『대승기신론 강의』", 예문서원, 2008

      21 박상주, "원효, 그의 삶과 사상", 한국문화사, 한국문화사, 2007

      22 박해당, "「원효의 장애이론」",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태동고전연구』, 1992

      23 이거룡, "「불교 남래설 고찰」", 『동아시아 불교문화』, 제29호, 2017

      24 김상현, "「역사로 읽는 원효」", 『고려원』, 1994

      25 김윤수, "『여래장 경전 모음』", 한산암, 2008

      26 오법안, "「元曉의和靜思想究」", 『홍법원』,, 1989

      27 김귀화, "「起信論一心의 硏究」",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1991

      28 이직수, "「대승기신론의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논문, 2000

      29 이기영, "『불교개론강의 하권』", 한국불교연구원, 1998

      30 무영 강설, 연담 감수, "『여래장삼부경 강설』", 운주사, 2008

      31 平川彰, 이호근 옮김, "『인도불교의 역사』下", 민족사, 2004

      32 김도공, "「깨달음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논문, 1996

      33 고영섭, "「원효 관련 논저목록」", 『원효탐색』, 연기사, 2001

      34 김성철, "「원효의 제7말나식관」", 불교학연구회, 『불교학연구』, 제42호, 2015

      35 憨山, 오진탁 옮김, "『憨山의 起信論 풀이』", 서광사, 1992

      36 은정희, "『대승기신론소, 별기』", 일지사, 1991

      37 김윤수, "역주, 『대승입능가경』", 한산암, 2012

      38 은정희, "「삼세아라야식의창안」", 김지견편 『원효연구논총』, (국토통일원), 1987

      39 고익진, "『한국고대불교사상사』", 동국대학교 출판부, (동국대출판부,, p173~273, 1989

      40 류승주, "「元曉의 唯識思想硏究」", 동국대학교 박사논문, 2001

      41 이기영, "「원효의 회통사상연구」", 『동국대 논문집』, 20輯, null

      42 정호영, "「여래장의 개념과 전개」", 『인문학지』, 제30권, 충북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2004

      43 김도공, "「원효의 수행체계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논문, 2001

      44 김우조, 류경희, 김주희, "『인도여성-신화와 현실』",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8

      45 동국역경원, "한글대장경, 『俱舍論(1)』", 동국역경원, 1993

      46 박태원, "『대승기신론사상 연구Ⅰ』", 민족사, 1994

      47 오강남, "『불교, 이웃 종교로 읽다』", 현암사, 2006

      48 고영섭, "「元曉 一心의 神解性분석」", 『불교학연구』, 제20호, 2008

      49 吳亨根, "「元曉 師의 唯識思想考」,", 『東國思想』 제15집, p.19, 1982

      50 동국역경원, "한글대장경, 『解深密經疏』", 동국역경원, 2000

      51 이영임, "「대승기신론의 번뇌 연구」",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2000

      52 김성철, "「中觀的 緣起論과 그 응용」", 『불교문화연구』, 제1호, 불교사회문 화연구소, 2000

      53 김성철, "「선禪)과 반야중관의 관계」", 『불교학연구』, 32집, 2012

      54 이정희, "「원효의 실천 수행관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논문, 2006

      55 장경희, "「원효의심성론에관한연구」", 원광대학교 석사논문, 1992

      56 정호영, "「寶性論의 如來藏思想硏究」", 동국대학교 박사논문, 1992

      57 강명희, "「寶性論의 如來藏思想硏究」",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1990

      58 석길암, "「元曉의 譜法華嚴思想 硏究」", 동국대학교 박사논문, 2003

      59 김용희, "「大乘起信論의 薰習說 硏究」",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2000

      60 이평래, "『신라불교 여래장사상 연구』", 민족사, 1996

      61 동국역경원, "한글대장경, 『攝大乘論釋外』", 동국역경원, 2001

      62 석길암, "「원효 이장의의 사상적 재고」", 『한국불교학』, 제28권, 2001

      63 원불교 사상연구원,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38집』", 원불교 사상연구원, 1998

      64 朴太源, "「新羅佛敎의 大乘起信論 硏究」", 『신라문화제 학술발표회 논문집』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Vol.14, 1994

      65 염명수, "「대승기신론의 일심구조 연구」", 강원대학교, 강원대학교 석사논문, 2004

      66 남동신, "「원효의 기신론관과 일심사상」", 한국사상사학회, 『한국사상사학』, 제2집, 2004

      67 임은용, "「원효대사 관계 연구문헌 목록」", 『원효연구 논총』, 국토통일원, 1987

      68 박만성, "「『대승기신론』의 교육적 의미」", 대구교육대학교 석사논문, 2012

      69 김옥란, "「대승기신론의 불생불멸관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1999

      70 은정희, "「大乘起信論의진여연기설의연구」", 고려대학교석사논문, 1972

      71 노권용, "「起信論一心思想의成立史的硏究」", 동국대학교석사논문, 1977

      72 동국역경원, "한글대장경, 『大乘起信論疏別記外』", 동국역경원, 2001

      73 류승주, "「古寫本二障義에 대한 문헌적 연구」", 『회당학보』, 2002

      74 金順錦, "「大乘起信論의 믿음에 대한 一考察」",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1980

      75 정영근, "「원효의 사상과 실천의 통일적이해」", 철학연구회, 『철학연구』, 47輯, 철학연 구회, 1999

      76 이거룡, "우빠니샤드와 초기불교에서 업과 윤회", 불교학연구회, 『불교학연구』, 제29호, 2011

      77 김종식, "「대승기신론 일심 삼대 사상의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논문, 1993

      78 석길암, "「일심에 나타난 원효의 화엄적 관점」", 『불교학보』, 제49호, 2008

      79 김호성, "「『능가경』의 여래장설과 성상융회」", 한국불교연구원, 『불교연구』, Vol.8, 1992

      80 류승주, "「삼세상과 제8식에 대한 원효의 해석」", 한국불교학 33, 한국불교 학회, 2003

      81 동국역경원, "한글대장경, 『阿昆達磨大昆婆婆論(3)』", 동국역경원, 2000

      82 金暎瓊, "「大乘起信論의 阿黎耶識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1991

      83 김성철, "「유가행파의 ‘여래장’ 개념 해석Ⅱ」", 『인도철학』, 제2집, 2011

      84 윤용섭, "「元曉의 心識轉變 이론과 敎育的 의의」", 경북대학교 박사논 문, 2006

      85 소운, "「능가경의 구조와 사상에 관한 일고찰」", 『석림』 제6집, 2002

      86 정호영, "「여래장의 존재와 그 존재근거의 문제」", 한국불교연구원, 『불교연구』 3권 한국불교 연구원, 1987

      87 조은수, "「원효에 있어서 진리의 존재론적 지위」", 한국철학대회, 2006

      88 元曉撰, "『大乘起信論疏記會本』,韓國佛敎全書1", 동국대출판부, 1979

      89 김성철, "「초기유가행파의 ‘여래장’ 개념해석」", 『인도철학』, 제7집, 2009

      90 은정희, "「元曉의 大乘起信論疏記에 나타난 信觀」", 『元曉學硏究』, 2권, 1997

      91 趙恩秀, "「대승기신론에 있어서의 깨달음의 구조」", 서울대학교, 서울대 석사논문, 1986

      92 오지섭, "「대승기신론의 진여훈습론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석사논 문, 1986

      93 김영희, "「起信論註釋書의 제7말나식에 대한 硏究」",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1988

      94 석길암, "「대승기신론 지론종 찬술설에 대한 반론」",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불교학리뷰』, 제54 호, 2010

      95 최은영, "「9식설과 여래장에 대한 진제의 사유一考」", 『불교학연구』 제6호 불교학연구회, 2010

      96 고승학, "「大乘起信論에서의 ‘如來藏’ 槪念硏究」",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2

      97 전행연, "「『대승기신론』의 일심사상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논 문, 2003

      98 최연식, "「대승기신론과 동아시아 불교사상의 전개」", 『불교학리뷰』 vol.1,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06

      99 계 환, "법장의 『대승기신론의기 찬술에 대한 고찰」", 『한국불교학』 26권, 2000

      100 김일권, "「『대승기신론』의 불이론과 체용론 연구1)」", 보조사상연구원, 『구산논집』, 1998

      101 박보람, "「나를 바라보는 두 시각 여래출현과 여래장」",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불교학리뷰』,제10 호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1

      102 全鍾植, "「대승기신론에 대한 원효 주석의 비판 연구」", 2003

      103 천병영, "「여래장의존재와 여래장사상의 교육적해석」", 한국교육사상학회, 『교육사상연구』 제2 권, 2008

      104 고승학, "「『대승기신론』에서 깨달음과 훈습의 관계」", 불교학연구회, 『불교학연구』, 제4 호, 2002

      105 박충식, "「신라견등의 唯識觀과 起信論관에 대한硏究」", 동국대학교 석사논 문, 1992

      106 석길암, "「기신론과 기신론 주석서의 아리야식관 연구」", 『교학연구』, 45 권, 2015

      107 은정희, "「대승기신론에 대한 원효설과 법장설의 비교」",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泰東古典硏 究』, 10권, (한림대학교 태동 고전연구소), 1993

      108 정성준, "「현관 장엄론 수행체계의 밀교사적 위상고찰」", 『천태학 연구』 10, 2008

      109 고승학, "「『대승기신론』에서 여래장의 수행론적 의미」",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불교학리뷰』, 10 권, 2011

      110 정영근, "「불교에서의 자기이해 대승기신론을 중심으로」", 『韓國思想과文 化』, 49輯, 2009

      111 석길암, "「眞如 生滅 의 관계를 통해 본 원효의 기신론관」", 2002

      112 정본, "「보성론의 경전인용구의 여래사상에 대한 소고」", 동국대학교 석림회, 『석림』, 2005

      113 이거룡, "「한정불이론학파의 전변설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인도철학』, 제 12호, 2003

      114 최연식, "「신라불교문헌으로서의 『起信論一心二門大意』」", 『불교학연구』,제 3호, 2006

      115 김용표, "「원효의 화회和會)해석학을 통해본 종교다원주의」", 『동서철학 연 구』, 56권, 2010

      116 송진현, "「元曉의心識說硏究 - 大乘起信論 疏 別記를中心으로」", 동양철학1, 한국동양철학회, 1990

      117 이영진, "「종성의 본질에 대한 유가행파와 여래장사상의 해석」",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불교학리 뷰』 10, 2011

      118 전종식, "「대승기신론에 대한 원효 元曉 법장 法藏 의 주석비교」", 『서울: 예학』, 2006

      119 이거룡, "「통일사상의 유기체적 우주론에 대한 인도철학적 이해」", 통일사상학회, 『인도철 학』, 제1호, 2000

      120 심재관, "편집, 금강인문총서3, 『대승경전은 어떻게 전해졌을까?』", 불광출 판사, 2010

      121 김명희, "『원효 화쟁론의 해석학적 접근-종교대화원리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08

      122 김경애, "「『대승기신론』의 염심에대한 연구 원효의 해석을 중심으로」", 안동 대학교 석사논문, 2006

      123 소운, "「인도불교에 있어서의 능가경의 정체 인도주석서를 중심으로」", 『동양철학』, 제20집, 2003

      124 조은수, "「깨달음(覺)의 이론적해명 『大乘起信論』 海東疏를 中心으로」", 『철학논구』, 서울대철학과, 1987

      125 조수동, "「‘깨달음(覺)’의理論的 解明―『大乘起信論』 海東疏를 중심으로」", 『철학논구』, 15, 1987

      126 吉津宜英, 석길암역, "「기신론과 기신론사상 淨影寺 慧遠의 事例를中心으 로」, 불교학리뷰4", 불교학연구회, 2008

      127 고익진, "「元曉의 『기신론소 • 별기』 를 통해 본 眞俗圓融無碍觀과 그 성 립 이론」", 『불교학보』, 10집, 1973

      128 고승학, "「『기신론』의 깨달음의 구조와 관련한 ‘전통적 견해’에 대한 상세 한 비판」", 2002

      129 강명희, "「대승기신론에 나타난 생각念)과 깨달음覺)의 관계성 -원효와 법 장의 주석을 중심으로」", 『불교학보』, 57권, 동국대학교 불교문화 연구원, 2011

      130 김제란, "「중국현대 신유학 형성에 『大乘起信論』논쟁이 미친영향 一心開 二門과 體用不二의 관계」", 『불교학보』, 제1집,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