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칸디나비아 3국의 극우정당 발전 양상 비교 연구: 스웨덴 민주당의 전망을 중심으로 =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opulist Radical Right Parties in Scandinavian Countries: Focused on the Prospect of Swedish Democra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324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treme right parties are gaining voices across Europe. Northern Europe is no exception from this trend. Since the election of around the year 2000, extreme right parties of Denmark and Norway have been doing well with a two-digit approval rating. In Sweden, the last bastion of Scandinavian social democracy there are also rising concerns about right wing extremism. In the 2010 election, extreme right party has gained a footing in the swedish parliament for the first time. So this paper intends to forecast the future direction of the swedish extreme right party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olitical party systems in the scandinavian countries. As such, this study will rather focus on extreme right party activities in the political party system than right wing extremism itself as a social phenomenon. The study has identified the followings: first of all, in terms of economic split, Sweden is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Denmark and Norway. As social democrats in Denmark, Norway and Sweden are loosing their political identities one by one, a room has been made for the emergence of extreme right parties. Nevertheless, in terms of cultural division swedish walking is quite unlike the others. These differences will act as key element that hinders the advancement of extreme right party in Sweden.
      번역하기

      Extreme right parties are gaining voices across Europe. Northern Europe is no exception from this trend. Since the election of around the year 2000, extreme right parties of Denmark and Norway have been doing well with a two-digit approval rating. In ...

      Extreme right parties are gaining voices across Europe. Northern Europe is no exception from this trend. Since the election of around the year 2000, extreme right parties of Denmark and Norway have been doing well with a two-digit approval rating. In Sweden, the last bastion of Scandinavian social democracy there are also rising concerns about right wing extremism. In the 2010 election, extreme right party has gained a footing in the swedish parliament for the first time. So this paper intends to forecast the future direction of the swedish extreme right party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olitical party systems in the scandinavian countries. As such, this study will rather focus on extreme right party activities in the political party system than right wing extremism itself as a social phenomenon. The study has identified the followings: first of all, in terms of economic split, Sweden is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Denmark and Norway. As social democrats in Denmark, Norway and Sweden are loosing their political identities one by one, a room has been made for the emergence of extreme right parties. Nevertheless, in terms of cultural division swedish walking is quite unlike the others. These differences will act as key element that hinders the advancement of extreme right party in Swed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유럽 전역이 극우정당의 발호에 신음하고 있다. 평등의 이상향으로 평가받던 북유럽 지 역 역시 예외가 아니다. 2000년을 전후한 선거 이후로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극우당인 덴 마크 국민당과 진보당은 지속적으로 두 자릿수 득표율을 기록하고 있다. 스칸디나비아 사회민주주의의 보루 격인 스웨덴에서도 2010년 선거에서 처음으로 극우정당인 스웨덴 민 주당이 원내에 입성하면서 극우주의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스웨 덴에서 극우정당의 발전 속도나 양상이 노르웨이나 덴마크에서 나타난 것과 유사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 요인은 어디에 있는가? 본 연구가 구명하고자 하는 핵 심 문제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스칸디나비아 3국의 정당체제 비교를 통해 스웨덴 민주당의 향방을 가늠해 보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현상으로서의 극우주의보다는 정당체제 내 극 우정당의 활동 양상을 분석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본 연구는 우선 정당체제 형성의 핵심 적 요소인 경제적 균열구조의 측면에서 스웨덴이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선례를 답습하고있음을 확인하였다. 덴마크-노르웨이-스웨덴의 사민주의 성향 정당들이 순차적으로 정치 적 정체성을 잃으면서 3국에서는 극우정당이 출현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었다. 그렇지 만 1970년대 접어들어 현실 정당정치에 새롭게 부각된 문화적 균열구조로 인해 스웨덴은덴마크 및 노르웨이와는 상이한 정당체제 발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문화적 균열구조상에 나타난 차이점이 스웨덴 민주당의 상이한 발전 양상을 결정짓는 핵심 요인으로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스웨덴 극우정당의 미래는 덴마크 및 노르웨이와는 다른 모습을 보일 것으로전망된다.
      번역하기

      유럽 전역이 극우정당의 발호에 신음하고 있다. 평등의 이상향으로 평가받던 북유럽 지 역 역시 예외가 아니다. 2000년을 전후한 선거 이후로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극우당인 덴 마크 국민당...

      유럽 전역이 극우정당의 발호에 신음하고 있다. 평등의 이상향으로 평가받던 북유럽 지 역 역시 예외가 아니다. 2000년을 전후한 선거 이후로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극우당인 덴 마크 국민당과 진보당은 지속적으로 두 자릿수 득표율을 기록하고 있다. 스칸디나비아 사회민주주의의 보루 격인 스웨덴에서도 2010년 선거에서 처음으로 극우정당인 스웨덴 민 주당이 원내에 입성하면서 극우주의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스웨 덴에서 극우정당의 발전 속도나 양상이 노르웨이나 덴마크에서 나타난 것과 유사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 요인은 어디에 있는가? 본 연구가 구명하고자 하는 핵 심 문제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스칸디나비아 3국의 정당체제 비교를 통해 스웨덴 민주당의 향방을 가늠해 보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현상으로서의 극우주의보다는 정당체제 내 극 우정당의 활동 양상을 분석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본 연구는 우선 정당체제 형성의 핵심 적 요소인 경제적 균열구조의 측면에서 스웨덴이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선례를 답습하고있음을 확인하였다. 덴마크-노르웨이-스웨덴의 사민주의 성향 정당들이 순차적으로 정치 적 정체성을 잃으면서 3국에서는 극우정당이 출현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었다. 그렇지 만 1970년대 접어들어 현실 정당정치에 새롭게 부각된 문화적 균열구조로 인해 스웨덴은덴마크 및 노르웨이와는 상이한 정당체제 발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문화적 균열구조상에 나타난 차이점이 스웨덴 민주당의 상이한 발전 양상을 결정짓는 핵심 요인으로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스웨덴 극우정당의 미래는 덴마크 및 노르웨이와는 다른 모습을 보일 것으로전망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훈, "카르텔 정당체제의 형성과 발전: 민주화 이후 한국의 경우" 극동문제연구소 19 (19): 2-59, 2003

      2 피터 메이어, "정당과 정당체계의 변화" 오름 2011

      3 강명세, "유럽 통합, 사민당의 부활 그리고 극우세력의 도전" 50 : 2001

      4 이안 버지, "신유럽정치입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6

      5 하수정, "스웨덴이 사랑한 정치인, 올로프 팔메" 후마니타스 2013

      6 박선민, "스웨덴을 가다" 후마니타스 2013

      7 신광영, "스웨덴 사회민주주의 체제하에서의 보수 정당들의 정치 전략 연구: 200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13) : 65-94, 2012

      8 이헌근, "스웨덴 복지정치" 신지서원 2001

      9 김신규, "서유럽의 극우와 중⋅동부 유럽의 극우 비교 연구" 31 : 2012

      10 김민정, "서유럽 극우정당 지지 동기 분석" 한국국제정치학회 52 (52): 197-232, 2012

      1 장훈, "카르텔 정당체제의 형성과 발전: 민주화 이후 한국의 경우" 극동문제연구소 19 (19): 2-59, 2003

      2 피터 메이어, "정당과 정당체계의 변화" 오름 2011

      3 강명세, "유럽 통합, 사민당의 부활 그리고 극우세력의 도전" 50 : 2001

      4 이안 버지, "신유럽정치입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6

      5 하수정, "스웨덴이 사랑한 정치인, 올로프 팔메" 후마니타스 2013

      6 박선민, "스웨덴을 가다" 후마니타스 2013

      7 신광영, "스웨덴 사회민주주의 체제하에서의 보수 정당들의 정치 전략 연구: 200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13) : 65-94, 2012

      8 이헌근, "스웨덴 복지정치" 신지서원 2001

      9 김신규, "서유럽의 극우와 중⋅동부 유럽의 극우 비교 연구" 31 : 2012

      10 김민정, "서유럽 극우정당 지지 동기 분석" 한국국제정치학회 52 (52): 197-232, 2012

      11 박시종, "복지자본주의의 세 가지 세계"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7

      12 김영미, "노르딕 모델" 삼천리 2010

      13 김수진, "노동지배의 이념과 전략" 백산서당 2007

      14 Kirchheimer, otto, "the transformation of the western European party system In Politics, Law, and social change: selected Essays of otto Kirchheimer"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9

      15 Pestoff, Victor A, "Sweden in the 1990s: The Demise of Policy concentration and Social Partnership and Its Sudden Reappearance in 1998 In Policy Concertation and Social Partnership In western Europe" Berghahn Books 2002

      16 Hellström, Anders, "Nationalism vs. Nationalism: The Challenge of the Sweden Democrats in the Swedish Public Debate" 47 (47): 2012

      17 Madeley, John, "Life at the northern margin: Christian democracy in Scandinavia In Christian democratic parties in Europe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Leuven University Press 2004

      18 Müller-Rommel, Ferdinand, "Green Parties under Comparative Perspective" Wien Universität 1994

      19 Meny, Yves, "Government and Politics in Western Europe: Britain, France, Italy, Germany"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20 Hogwood, Patricia, "European Politics Today"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3

      21 Inglehart, Ronald,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University Ptrss 1990

      22 Lipset, Seymour M., "Cleavage Structures, Party Systems and Voter Alignments: An Introduction In Party Systems and Voter Alignments: Cross-National Perspectives" Macmillan 19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2 0.63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