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地經論』에서 ‘청정’은 보살계위와 관련하여 특정 맥락을 포함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청정’의 의미는 사전적인 것을 넘어 보살의 십지체계를 다시 세 가지로 범주화하는 교의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04342
2019
-
보살십지 ; 菩薩十地 ; 불지 ; 佛智 ; 佛智의 개현 ; 본래청정 ; 잡염청정 ; 순수청정 ; ten stages of bodhisattva’s career ; buddha’s wisdom ; unfolding the buddhajnana ; inherent purity ; afflicted purity ; unafflicted purity
KCI등재
학술저널
83-113(3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十地經論』에서 ‘청정’은 보살계위와 관련하여 특정 맥락을 포함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청정’의 의미는 사전적인 것을 넘어 보살의 십지체계를 다시 세 가지로 범주화하는 교의적...
『十地經論』에서 ‘청정’은 보살계위와 관련하여 특정 맥락을 포함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청정’의 의미는 사전적인 것을 넘어 보살의 십지체계를 다시 세 가지로 범주화하는 교의적인 내용을 함의한다. 십지로 전개되는 보살행은 시작부터 ‘佛智’와 ‘佛智의 개현과정’의 두 가지 층위를 가진다.
이 두 가지 층위 가운데 십지보살행의 근저에서 지속되는 ‘佛智’는 애초에 일체의 번뇌에 의해 오염된 적이 없는 본래적인 것으로 그것은 항상 청정한 것으로 간주된다. ‘佛智의 개현과정’에서 ‘청정’은 잡염의 유무에 따라다시 두 가지 의미로 나뉜다.
첫 번째는 ‘잡염’과 상대하는 의미로서의 ‘청정’으로 초지부터 6지까지를 포함하고, 두 번째는 ‘잡염’이 있다가 제거된 상태가 부각된 의미로서의 ‘청정’으로 8지 이후의 계위에 해당한다. 이 두 가지에 대해 논자는 『十地經論』의 한역 용어에 준하여 각각 ‘잡염청정’과 ‘순수청정’이라 명칭하였다.
이와 같이 ‘청정’에 주목할 때 보살의 십지계위는 ‘본래청정’ ‘잡염청정’‘순수청정’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이 구도는 세친뿐만 아니라 후대의 논사들에게도 의식되어 교리전개에 반영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Dasabhumikasutra (十地經 shidijing), the term purity or visuddhi (淸淨 qingjing) has a special contextual meaning in regard of bodhisattva’s stages. Here, the meaning of visuddhi is not just limited to purity but it implies the doctrine ...
In the Dasabhumikasutra (十地經 shidijing), the term purity or visuddhi (淸淨 qingjing) has a special contextual meaning in regard of bodhisattva’s stages. Here, the meaning of visuddhi is not just limited to purity but it implies the doctrine of categorization of bodhisattva’s ten stages into three. The bodhisattva’s career of ten stages has two strata from the beginning. The first is the substratum of the buddha- wisdom (buddhajñana, 佛智 fozhi) which is the cause and basis of bodhisattva’s career, inseparable from the bodhisattvacarya (菩薩行 pusaxing) stages from the first to the tenth. The second is the process of unfolding (開顯 kaixian) the buddhajñana as the development of bodhisattva’s career in stages aiming for it.
According to the Dasabhumikasutra-sastra, the first stratum, the buddhajñana underlying as the foundation of bodhisattva’s ten stages is of the inherent nature, considered to be always pure, never contaminated by afflictions or klesa (煩惱 fannao). Regarding this, there is a passage in the sastra with an idiomatic expression “inherent purity” (本來淸 淨 benlaiqingjing). In this context, the term visuddhi is always associated with the explanation of buddhajñana. The second purity as the process of unfolding the buddhajñana can be divided again into two depending on whether it is afflicted or not, different from the inherently pure buddhajñana. The first is the purity as “antithetic” to afflictions, and corresponds to the stages from the first to the sixth.
The second is the purity as the “removal” of afflictions, and corresponds to the stages after the eighth. I follow the terms of the Chinese canons and refer to these two purities each as afflicted purity (雜染淸淨 zaranquingjing) and unafflicted purity (純粹淸淨 chuncuiqingjing). Accordingly, in terms of purity, the ten stages of bodhisattva’s career can be divided into three, i.e., inherent purity (本來淸淨), afflicted purity (雜染淸淨), unafflicted purity (純粹淸淨).
성스러움과 합리성의 교차점__수행 전통을 통해 본 인도 사유의 종교와 철학__
정려의 구성요소를 둘러싼 여러 학파의 해석 (1)__행복의 실체 논쟁을 중심으로__
힌두민족국가 개념의 구체화__사바르까르(V. D. Savarkar)의 ‘힌두 라슈뜨라’를 중심으로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