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대 문화유산 관련 담론을 통해 본 도시 정체성의 형성과 변화-개항도시 목포의 사례- =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Urban Identity With Special Reference to Discourses on Modern Cultural Heritage-The Case Study of Mokpo City,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996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formational and transformation of urban identity with special reference to discourses on modern cultural heritage in contemporary Mokpo city, which is located in southwestern area of Korea Peninsular. It has been related to the theme of the reconstruction of colonial memory in treaty port city like Mokpo. Furthermore,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of the past colonial memory from the perspective of present of treaty port city which has been experienced the colonial past,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works to examin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urban identity in Mokpo city in cultural context.
      Recently, several NGOs(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n Mokpo city contested on the problems of removal of modern cultural heritage with one another competitively. The competition among these NGOs was expressed as the critical languages such as 'modern', 'culture', 'cultural heritage', 'urban development', 'conservation', 'removal'. However, there was in some disputes on how much opinions of Mokpo people had been accepted in these discourses on modern cultural heritage in Mokpo city.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urban identity in Mokpo city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iscourses on modern cultural heritage. These discourses are considered as the part of cultural resources of Mokpo people.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processes of 'making culture' of urban identity to represent the past colonial memory in the case of Mokpo city as a colonial treaty port city.
      번역하기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formational and transformation of urban identity with special reference to discourses on modern cultural heritage in contemporary Mokpo city, which is located in southwestern ar...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formational and transformation of urban identity with special reference to discourses on modern cultural heritage in contemporary Mokpo city, which is located in southwestern area of Korea Peninsular. It has been related to the theme of the reconstruction of colonial memory in treaty port city like Mokpo. Furthermore,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of the past colonial memory from the perspective of present of treaty port city which has been experienced the colonial past,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works to examin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urban identity in Mokpo city in cultural context.
      Recently, several NGOs(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n Mokpo city contested on the problems of removal of modern cultural heritage with one another competitively. The competition among these NGOs was expressed as the critical languages such as 'modern', 'culture', 'cultural heritage', 'urban development', 'conservation', 'removal'. However, there was in some disputes on how much opinions of Mokpo people had been accepted in these discourses on modern cultural heritage in Mokpo city.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urban identity in Mokpo city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iscourses on modern cultural heritage. These discourses are considered as the part of cultural resources of Mokpo people.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processes of 'making culture' of urban identity to represent the past colonial memory in the case of Mokpo city as a colonial treaty port c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숙, "현대자본주의 사회와 소비문화 in 사회발전연구 14" 제주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1998

      2 김진송, "현대성의 형성: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 현실문화연구 1999

      3 김광억, "현대 중국의 민속부활과 사회주의 정신문명화 운동 in 비교문화연구 1" 1 : 1993

      4 정은주, "향토 축제와 ‘전통’의 현대적 의미" 서울대 1993

      5 애덤 로버츠, "트랜스 비평가 프레드릭 제임슨" 앨피 2007

      6 정근식 편저, "축제,민주주의,지역활성화" 새길 1999

      7 홍석준, "지역축제를 통해 본 지역정치와 정체성 : 전남 영암 영보 풍향제의 사례" 역사문화학회 6 (6): 2003

      8 김정민, "지역발전을 위한 민간활력의 활성화 방안-목포시를 사례로" 13 (13): 2001

      9 "조선일보 2007년 2월 2일자"

      10 "조선일보 2007년 2월 11일자"

      1 김정숙, "현대자본주의 사회와 소비문화 in 사회발전연구 14" 제주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1998

      2 김진송, "현대성의 형성: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 현실문화연구 1999

      3 김광억, "현대 중국의 민속부활과 사회주의 정신문명화 운동 in 비교문화연구 1" 1 : 1993

      4 정은주, "향토 축제와 ‘전통’의 현대적 의미" 서울대 1993

      5 애덤 로버츠, "트랜스 비평가 프레드릭 제임슨" 앨피 2007

      6 정근식 편저, "축제,민주주의,지역활성화" 새길 1999

      7 홍석준, "지역축제를 통해 본 지역정치와 정체성 : 전남 영암 영보 풍향제의 사례" 역사문화학회 6 (6): 2003

      8 김정민, "지역발전을 위한 민간활력의 활성화 방안-목포시를 사례로" 13 (13): 2001

      9 "조선일보 2007년 2월 2일자"

      10 "조선일보 2007년 2월 11일자"

      11 "조선일보 2006년 12월 18일자"

      12 김광억, "정치적 담론기제로서의 민중문화운동: 사회극으로서의 마당극" 한국문화인류학회 21 : 1989

      13 김광억, "저항문화와 무속의례" 한국문화인류학회 23 : 1992

      14 김영근, "일제하 식민지적 근대성의 한 특징-경성에서의 도시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57 : 2000

      15 서기재, "일본근대 「여행안내서」를 통해서 본 조선과 조선관광" 한국일본어문학회 13 (13): 423-440, 2002

      16 하세가와 히로꼬, "의례로서의 성폭력: 정쟁 중 강간의 의미에 대하여 in 국가주의를 넘어서" 삼인 2000

      17 혼다 히로시, "읍내 토박이와 그들의 결사체: 전라북도 남원의 사례"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비교문화연구소 집담회 발표문 1999

      18 혼다 히로시, "읍내 토박이 집단에 대한 일 고찰: 남원 지역의 사례를 통하여"

      19 "실측조사 목포의 근대건축"

      20 김 욱, "쉬운 참여와 어려운 참여: 대전과 목포지역 젊은이의 가치정향과 정치참여" 9 (9): 2006

      21 변화영, "소설 탁류에 나타난 군산의 식민지 근대성" 7 (7): 2004

      22 장 보드리야르, "소비의 사회" 문예출판사 2000

      23 베네딕트 앤더슨, "상상의 공동체: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 나남 2002

      24 임영택, "문화현상으로 본 19세기" 역사비평사 35 (35): 1996

      25 클리퍼드 기어츠, "문화의 해석" 까치 1998

      26 박찬승, "무안보첩" 목포문화원 2000

      27 나승만, "목포지역 기층민의 이주담에 담긴 의식 in 동은지춘상박사정년기념 남도민속학의 진전" 태학사 1998

      28 이상은, "목포지(1914)" 목포문화원 1991

      29 "목포시사(인문편)"

      30 "목포시사(사회편)"

      31 "목포부사"

      32 박찬승, "목포개항의 경위 in 목포개항백년사" 목포백년회 1997

      33 배종무, "목포개항사연구" 느티나무 1994

      34 "목포개항백년사"

      35 박이준, "목포 개항장 상인층의 존재양태와 그 성격" 9 (9): 2006

      36 심광현, "모더니티의 충격과 잔상 in 논문집 3" 한국예술종합학교 2000

      37 이영호, "동아시아개항장도시의 식민성과 근대성" 역사문화학회 학술대회 발표요지 2004

      38 최성환, "대한제국기(1897-1905)목포각국거류지의 형성과 그 특징" 목포대 2003

      39 고석규, "다시 생각하는 한국의 식민지 근대성과 민족주의" 31 : 2002

      40 고석규, "나주의 근대도시발달과 공간의 이중성 in 광주학생독립운동과 나주" 경인문화사 2001

      41 이진경, "근대적 주거공간의 탄생" 소명출판사 2000

      42 고석규, "근대도시 목포의 역사?공간?문화" 서울대출판부 2004

      43 고석규, "근대도시 목포의 대중문화를 통해 본 식민지 근대성" 9 (9): 2006

      44 제프리 K., "국가와 기억: 국민국가적 관점에서 본 집단기억의 연속?갈등?변화"

      45 고석규, "개항장 목포의 초기도시화 과정 in 목포개항백년사" 목포백년회 1997

      46 김주관, "개항장 공간의 조직과 근대성의 표상" 9 (9): 2006

      47 박찬승, "개항 직후 목포의 경제 in 목포개항백년사" 목포백년회 1997

      48 Shils,E., "Tradi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49 Cohen,A., "The Symbolic Construction of Community" Tavistock 1985

      50 Hobsbawm,E., "The Invention of Tra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51 Turner,V.W., "The Anthropology of Performance" PAJ Publication 1986

      52 Bloch,M., "Ritual,History and Power" Athlone Press 1989

      53 Sunail Chutintaranond, "Recalling Local Pasts: Autonomous History in Southeast Asia" Silkworm Books 2002

      54 Aronoff,M.J., "Political Anthropology Yearbook I. Ideology and Interest: The Dialectics of Politics" Transaction Books 1980

      55 Sorensen,Clark, "National Identity and the Creation of the Category"Peasant"in Colonial Korea" Harvard University Press 2000

      56 홍선영, "1910년 전후 서울에서 활동한 일본인 연극과 극장" 한국일본학회 56 (56): 2003

      57 고석규, "18?19세기 서울의 왈짜와 상업문화-시민사회의 뿌리와 관련하여-" 서울시립대 서울학연구소 13 : 1999

      58 이태진, "18-19세기 서울의 근대적 도시발달 양상" 서울시립대 서울학연구소 4 : 1995

      59 류웰린, ""정치인류학"제2판" 일조각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7-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Center for Korea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59 1.314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