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30년대 전라남도 향약의운영 양상과 성격변화-「鄕約事業補助事業」과 「地方改良補助關係」를 중심으로- = Changes in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Operation of Hyangyak in Jeolanamdo in the 1930’s Focusing on 「Document of Aid for Hyangyak Project」 (「鄕約事業補助事業」) and 「Relations in Aid for Improvement of Province」(「地方改良補助關係」)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68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studies what kind of influences does the misuse of Hyangyak Policy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Era has on the operation of Hyangyak focusing on 10 Hayngyak organizations in Jeolanamdo op...

      This research studies what kind of influences does the misuse of Hyangyak Policy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Era has on the operation of Hyangyak focusing on 10 Hayngyak organizations in Jeolanamdo operated in the 1930’s that can be confirmed from 「Document of Aid for Hyangyak Project」(「鄕約事業補助事業」) and 「Relations in Aid for Improvement of Province」(「地方改良補助關係」).
      First, to examine the misuse of the rules of Hyangyak, codes that were emphasized under the ruling of Japanese Empire based on the 4 major codes were added or bylaws were established to the existing codes of Hayngyak organizations that had organized at the end of Joseon period but were not actively operated or reclined at a certain time and reinstituted such as Deaheunghoe, Kwangramgye, NamyangmyonHyangyakgye, DohwamyonHyangyakgye, BuchunHayngyak, DanyangHayngyak. Especially, in case of GuryeHangyak and KwangjuHayngyak that were established in the 1930’s, the misuse of the codes of Hayngyak was greater than other Hyangyak organizations. On the other hand, from Gyrimridaedonggye and Yangguadonggye, which were operated from the end of Joseon Period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major changes in codes and bylaws were not found. It can be concluded that even though the Japanese Empire paid attention to Hyangyak and misuse it to reinforce the colonial ruling, it wasn’t easy to change the codes that were continued from the end of Joseon period.
      Next to examine the operation of Hyangyak organizations, in case of the project that Hayngyak organizations were conducted, in most Hayngyak organizations prizes were awarded to a person did a good deed and fulfilled duty to parents or country, which were practiced from traditional Hayngyak. Considering Hyangyak in Jeseon period had encouraged on performing good deed to reform the public, the fact that good deed that was promoted by Hyangyak in Japanses Colonial Era was the same as Joseon period proves that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ried to utilize Hyangyak to reform the public. Other than giving awards to the people performing good deed, nursing for elderlies and poor promoted by Hyangyak in Joseon can be found in most Hyangyak. Also, the projects to build the meeting houses and rice storages and to purchase the ceremonial supplies were emphasized. It can be confirmed not only in Hyangyak organizations but also in Cheongnyenhoe, union of Rural Improvement and Aerimgye in Jeolanamdo on which Hyangyak spirit was stressed. Besides, new projects were conducted such as to improve Village School and to create meeting for married women were conducted. This proves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Rural Development Movement and Movement for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 that were implemented by Japanese Empire in the 1930’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鄕約事業補助事業」과 「地方改良補助關係」에서 확인할 수 있는 1930년대 운영되었던 전라남도 10개 향약단체를 중심으로 일제강점기 총독부의 향약 변용 정책이 실제 향약 운...

      본 논문은 「鄕約事業補助事業」과 「地方改良補助關係」에서 확인할 수 있는 1930년대 운영되었던 전라남도 10개 향약단체를 중심으로 일제강점기 총독부의 향약 변용 정책이 실제 향약 운영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향약의 조목 변용에 대해서 살펴보면, 대흥회, 광람계, 남양면향약계, 도화면향약계, 부춘향약, 단양향약 등과 같이 조선후기에 만들어졌지만 활발히 운영되지 않았거나 특정한 시기에 쇠퇴되어 일제강점기에 다시 부활된 향약단체들의 강목은 4대 강목을 기반으로 일제 통치에서 강조되었던 내용이 추가되거나 세칙으로 규정되었다. 특히 1930년대 만들어진 구례향약이나 광주향약의 경우 향약 조목의 변용이 다른 향약보다 컸다. 반면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지속적으로 운영되었던 구림리대동계와 양과동계는 조목과 시행세칙에서 큰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일제가 식민지 통치를 강화할 목적 등으로 향약에 주목하고 변용하려고 하였지만 조선 후기부터 이어져 온 향약의 조목 변용은 쉽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향약단체의 운영을 살펴보면, 향약단체에서 시행한 사업의 경우 대부분의 향약에서 전통적인 향약에서 시행하였던 선행자 표창 혹은 효열 표창이 시행되었다. 조선시대 향약이 민에 대한 교화를 위해 선행을 장려하였음을 감안한다면, 일제강점기에 향약에 의해 권장된 선행이 조선시대와 동일하다는 사실은 총독부 역시 향약의 교화적 측면을 활용코자 하였음을 짐작케 한다. 선행자 표창 이외에도 조선의 향약에서 시행했던 養老, 구휼 등도 대부분의 향약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집회소 건설, 향창 건축, 의례용구 장만의 사업이 강조되었는데, 이는 향약단체 뿐 아니라 향약의 정신이 강조되었던 전라남도의 청년회, 농촌진흥실행조합, 애림계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외에도 개량서당, 부인회 등의 새로운 사업을 진행하였는데, 이는 1930년대 일제가 시행한 농촌진흥운동, 생활개선운동 등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향촌사회사연구, "향약연구" 민음사 1992

      2 윤해동, "지배와 자치" 역사비평사 2006

      3 최원규, "일제초기 창원군 토지조사과정과 토지신고서 분석" 부경역사연구소 (24) : 291-367, 2009

      4 윤해동, "일제의 지배정책과 촌락재편" 역사문제연구소 (30) : 1995

      5 하일식, "백남운전집 4 : 휘편" 이론과 실천 1991

      6 咸鏡北道, "關北鄕約" 1932

      7 朝鮮總督府, "鄕約事業補助書類" 1933

      8 최재율, "茅亭이 農村社會經濟에 미친 影響"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4 : 1966

      9 "每日申報"

      10 "東亞日報"

      1 향촌사회사연구, "향약연구" 민음사 1992

      2 윤해동, "지배와 자치" 역사비평사 2006

      3 최원규, "일제초기 창원군 토지조사과정과 토지신고서 분석" 부경역사연구소 (24) : 291-367, 2009

      4 윤해동, "일제의 지배정책과 촌락재편" 역사문제연구소 (30) : 1995

      5 하일식, "백남운전집 4 : 휘편" 이론과 실천 1991

      6 咸鏡北道, "關北鄕約" 1932

      7 朝鮮總督府, "鄕約事業補助書類" 1933

      8 최재율, "茅亭이 農村社會經濟에 미친 影響"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4 : 1966

      9 "每日申報"

      10 "東亞日報"

      11 朝鮮總督府學務局社會敎育科, "朝鮮社會敎化要覽" 1938

      12 "朝鮮日報"

      13 박경하, "朝鮮後期 村落民組織과 村契" 국사편찬위원회 16 (16): 1993

      14 박경하, "日帝下 官學者의 鄕約硏究의 性格" 한국역사민속학회 (22) : 275-292, 2006

      15 박종선, "日帝 强占期(1930~1930年代)朝鮮人의 書堂改良運動" 역사교육연구회 71 : 1999

      16 富永文一, "往時の朝鮮に於ける自治の萌芽 鄕約の一斑(三)" 朝鮮總督府 79 : 1921

      17 朝鮮總督府, "地方改良助成補助關係" 1938

      18 吉田猶藏, "咸北の鄕約發展" 222 : 1933

      19 광주민속박물관, "光州良苽洞鄕約" 1996

      20 한미라, "1930년대 향약 단체 운영과 단체장의 성향" 한국역사민속학회 (52) : 251-283, 2017

      21 한미라,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향약 장려 정책" 역사실학회 (60) : 105-138, 2016

      22 김은주, "1930년대 조선의 농촌생활개선사업과 ‘국민화’작업" 한국사학회 58 : 2012

      23 이만열, "1930․40년대 朝鮮 女性의 존재 양태 : ‘日本軍 慰安婦’ 政策의 배경으로" 국사편찬위원회 (89) :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lklif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6 1.48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