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이사(里社)’의 도입과 마을성황사의 유교적 진전-동해 「삼화동신사중수기(三和洞神祠重修記)」 연구- = The introduction of isa (village shrin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Confucian development of village guardian shrin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seeks to explore how Samhwadongshinsa of Donghae-si emerged and became consolidated into a folk religion by analysing the restoration record in the village shrine. The analysis is geographically contextualised and set in the ideological framework of Confucian nation. This study takes the view that the emergence of village guardian shrines has a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 to the Confucian rituals that were performed at the county and township level. This leads to the question of when the village guardian worship ceremony of Donghae region started and how the relevant deities came about. It is found in this study that the Confucian development of the late Joseon period promoted the folk-religious consolidation of village guardian worship ceremonies. Also, the significance of the ceremonies has changed through history and differed across villages in the same region.
      In terms of methodology, the limitations of overemphasising the ceremonial procedures and relying on interviews could be overcome by investigating the textual records of village shrines. This article’s case study of Sangchon village in Donghae-si involved textual analysis of 「Samhwadongshinsajungsugi(三和洞神社重修記)」. The investigation showed that, in the case study, the general trend of Confucian progress during the late Chosŏn period was materialis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isa system.
      번역하기

      This article seeks to explore how Samhwadongshinsa of Donghae-si emerged and became consolidated into a folk religion by analysing the restoration record in the village shrine. The analysis is geographically contextualised and set in the ideological f...

      This article seeks to explore how Samhwadongshinsa of Donghae-si emerged and became consolidated into a folk religion by analysing the restoration record in the village shrine. The analysis is geographically contextualised and set in the ideological framework of Confucian nation. This study takes the view that the emergence of village guardian shrines has a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 to the Confucian rituals that were performed at the county and township level. This leads to the question of when the village guardian worship ceremony of Donghae region started and how the relevant deities came about. It is found in this study that the Confucian development of the late Joseon period promoted the folk-religious consolidation of village guardian worship ceremonies. Also, the significance of the ceremonies has changed through history and differed across villages in the same region.
      In terms of methodology, the limitations of overemphasising the ceremonial procedures and relying on interviews could be overcome by investigating the textual records of village shrines. This article’s case study of Sangchon village in Donghae-si involved textual analysis of 「Samhwadongshinsajungsugi(三和洞神社重修記)」. The investigation showed that, in the case study, the general trend of Confucian progress during the late Chosŏn period was materialis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isa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의 공동체 신앙의 큰 버팀목이 되어왔던 마을제당을 추가로 하나 더 소개하는 데 머물지 않고, 그곳에 남아있는 중수기(重修記)를 통해 유교국가의 이념적 틀에서 조선후기 동해시 ‘삼화동신사’의 출현배경과 민속신앙화의 양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지역적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마을 단위에서 제향하는 성황사의 출현이 조선시대 군현단위에서 운영되던 단묘(壇廟), 즉 사직단, 문묘, 성황단, 여(제)단에서 제사하는 유교 의례와는 조금 다른 역사적 맥락을 갖는다고 보는 입장이다. 그로 인해 오늘날 동해 지역에 전승되는 마을 성황제는 언제부터 있었는가와 같은 물음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어떤 과정을 통해 ‘성황지신’, ‘토지지신’, ‘여역지신’을 모시게 되었는지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물론 본고를 통해 그 물음들이 말끔히 해소되었다고 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마을 단위에서 전승되는 성황제가 조선후기 유교화의 진전에 따라 민속신앙화가 한결 더 추동되고 있었다는 점은 밝히고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마을 성황사가 지닌 위상이 시대에 따라 변화를 겪을 뿐만 아니라 지역 내의 마을과 마을의 관계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일 수 있다는 점을 본고에서도 확인하고 있다. 그래서 역사적 이력을 지닌 마을성황제[洞祭]의 경우 오늘날 그 마을이 처한 상황과 제의의 현장과는 결이 다른 인식론적 기반이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생긴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마을제당의 기록물을 통한 연구방법론은 자칫 마을성황제의 과정에만 주목하거나 마을 제보자의 기억과 구술에 의존할 때 발생하는 성급한 판단을 보완하면서 지역적 차원의 이해로 나아가는 길일 수 있다. 특히 오늘날 정치경제적, 사회문화적 변동 속에서 전통의 공동체 의례가 축소되는 가운데서도 지속되는 동해시 지역의 ‘성황제’의 역사민속적 의미와 가치를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본다.
      본고는 2장에서 동해시 삼화동 6통 상촌마을의 입지와 유래 및 현재에도 전승되는 마을제사에 대해 개관을 할 것이다. 3장에서는 이곳의 제당에 전해지고 있는「삼화동신사중수기(三和洞神社重修記)」를 해석하고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성황사 본당의 주심도리에 쓰여진 ‘이안기(移案記)’를 통해 그 역사성을 되짚고자 한다. 그 결과 이 작업은 19세기와 20세기 삼척부(三陟府)의 마을신앙의 진전을 알리는 ‘중수’와 ‘이안’에 앞서 유풍(儒風)의 사회적 승인의 원인으로 도입된 ‘이사(里社)’제도를 통해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유교민속’의 신앙화 논의를 가능케 하였음을 보이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 다루는 ‘성황제’는 유교화의 진전이라는 조선후기의 보편적 논의를 담되, 지역적 특수성의 측면에서 삼척부에서는 구체적으로 ‘이사제’ 도입과 실천으로 표상화 되었음을 밝혀보고자 한다.
      한편 오늘날 비록 삼화동 성황사가 ‘상촌마을제당’의 제사로 지역적 범위와 주재집단이 축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곳의 오랜 전통은 성황신으로 대신되는 신격이 기복과 기우는 물론이고 자손의 운수와 마을의 안녕을 좌우한다는 공동체의 강한 믿음체계를 담지하고 있음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것이 유교적이냐 아니냐를 떠나서 그리고 효험이 있느냐 없느냐를 떠나서 땅에 붙어 살아갈 수밖에 없는 자들에게 있어서 대체할 만한 적합한 신들이 있지 않는 한 토지신과 ...
      번역하기

      본고는 한국의 공동체 신앙의 큰 버팀목이 되어왔던 마을제당을 추가로 하나 더 소개하는 데 머물지 않고, 그곳에 남아있는 중수기(重修記)를 통해 유교국가의 이념적 틀에서 조선후기 동해...

      본고는 한국의 공동체 신앙의 큰 버팀목이 되어왔던 마을제당을 추가로 하나 더 소개하는 데 머물지 않고, 그곳에 남아있는 중수기(重修記)를 통해 유교국가의 이념적 틀에서 조선후기 동해시 ‘삼화동신사’의 출현배경과 민속신앙화의 양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지역적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마을 단위에서 제향하는 성황사의 출현이 조선시대 군현단위에서 운영되던 단묘(壇廟), 즉 사직단, 문묘, 성황단, 여(제)단에서 제사하는 유교 의례와는 조금 다른 역사적 맥락을 갖는다고 보는 입장이다. 그로 인해 오늘날 동해 지역에 전승되는 마을 성황제는 언제부터 있었는가와 같은 물음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어떤 과정을 통해 ‘성황지신’, ‘토지지신’, ‘여역지신’을 모시게 되었는지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물론 본고를 통해 그 물음들이 말끔히 해소되었다고 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마을 단위에서 전승되는 성황제가 조선후기 유교화의 진전에 따라 민속신앙화가 한결 더 추동되고 있었다는 점은 밝히고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마을 성황사가 지닌 위상이 시대에 따라 변화를 겪을 뿐만 아니라 지역 내의 마을과 마을의 관계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일 수 있다는 점을 본고에서도 확인하고 있다. 그래서 역사적 이력을 지닌 마을성황제[洞祭]의 경우 오늘날 그 마을이 처한 상황과 제의의 현장과는 결이 다른 인식론적 기반이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생긴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마을제당의 기록물을 통한 연구방법론은 자칫 마을성황제의 과정에만 주목하거나 마을 제보자의 기억과 구술에 의존할 때 발생하는 성급한 판단을 보완하면서 지역적 차원의 이해로 나아가는 길일 수 있다. 특히 오늘날 정치경제적, 사회문화적 변동 속에서 전통의 공동체 의례가 축소되는 가운데서도 지속되는 동해시 지역의 ‘성황제’의 역사민속적 의미와 가치를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본다.
      본고는 2장에서 동해시 삼화동 6통 상촌마을의 입지와 유래 및 현재에도 전승되는 마을제사에 대해 개관을 할 것이다. 3장에서는 이곳의 제당에 전해지고 있는「삼화동신사중수기(三和洞神社重修記)」를 해석하고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성황사 본당의 주심도리에 쓰여진 ‘이안기(移案記)’를 통해 그 역사성을 되짚고자 한다. 그 결과 이 작업은 19세기와 20세기 삼척부(三陟府)의 마을신앙의 진전을 알리는 ‘중수’와 ‘이안’에 앞서 유풍(儒風)의 사회적 승인의 원인으로 도입된 ‘이사(里社)’제도를 통해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유교민속’의 신앙화 논의를 가능케 하였음을 보이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 다루는 ‘성황제’는 유교화의 진전이라는 조선후기의 보편적 논의를 담되, 지역적 특수성의 측면에서 삼척부에서는 구체적으로 ‘이사제’ 도입과 실천으로 표상화 되었음을 밝혀보고자 한다.
      한편 오늘날 비록 삼화동 성황사가 ‘상촌마을제당’의 제사로 지역적 범위와 주재집단이 축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곳의 오랜 전통은 성황신으로 대신되는 신격이 기복과 기우는 물론이고 자손의 운수와 마을의 안녕을 좌우한다는 공동체의 강한 믿음체계를 담지하고 있음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것이 유교적이냐 아니냐를 떠나서 그리고 효험이 있느냐 없느냐를 떠나서 땅에 붙어 살아갈 수밖에 없는 자들에게 있어서 대체할 만한 적합한 신들이 있지 않는 한 토지신과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식, "횡성의 서낭당" 횡성문화원 2008

      2 장주근, "한국의마을제당-제2편 강원도편" 국립민속박물관 4-5, 1997

      3 김도현, "한국무형문화유산자원8_탑신앙" 국립무형유산원 99-110, 2015

      4 박호원, "한국마을신앙의 탄생" 민속원 2012

      5 서영대, "한국과 중국의 성황신앙 비교" 12 : 173-225, 2001

      6 최종성, "축(祝)의 시대-일제강점기 축문집의 발간과 의례의 다변화-" 한국역사민속학회 (53) : 29-67, 2017

      7 최종성, "진천 금한동의 천제와 축문" (33) : 1-25, 2015

      8 이해준,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경인문화사 2008

      9 심일종, "유교제례의 구조와 조상관념의 의미재현" 서울대학교 2017

      10 임재해, "유교민속의 연구 시각" 한국국학진흥원 17-72, 2006

      1 이영식, "횡성의 서낭당" 횡성문화원 2008

      2 장주근, "한국의마을제당-제2편 강원도편" 국립민속박물관 4-5, 1997

      3 김도현, "한국무형문화유산자원8_탑신앙" 국립무형유산원 99-110, 2015

      4 박호원, "한국마을신앙의 탄생" 민속원 2012

      5 서영대, "한국과 중국의 성황신앙 비교" 12 : 173-225, 2001

      6 최종성, "축(祝)의 시대-일제강점기 축문집의 발간과 의례의 다변화-" 한국역사민속학회 (53) : 29-67, 2017

      7 최종성, "진천 금한동의 천제와 축문" (33) : 1-25, 2015

      8 이해준,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경인문화사 2008

      9 심일종, "유교제례의 구조와 조상관념의 의미재현" 서울대학교 2017

      10 임재해, "유교민속의 연구 시각" 한국국학진흥원 17-72, 2006

      11 이한길, "동해시 서낭제" 민속원 2010

      12 장정룡, "동해시 삼화동의 기층문화" 동해문화원 1998

      13 금장태, "귀신과 제사: 유교의 종교적 세계" 제이앤씨 2009

      14 안세현, "강원 지역의 유교 문화와 지역성 -향교・향약의 정착 과정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회 (33) : 365-406, 2014

      15 이범직, "韓國中世禮思想硏究" 일조각 1991

      16 許穆, "陟州誌 下"

      17 "部落祭"

      18 "輿地圖書 「江原道」 三陟"

      19 "興海裵氏 族譜" 대보사 1992

      20 "江陵咸氏 族譜" 회상사 1987

      21 "朝鮮王朝實錄"

      22 "新增東國輿地勝覽"

      23 정승모, "城隍祠의 민간화와 鄕村社會의 變動" 7 : 3-27, 1991

      24 "『戶口總數』 第三冊 「原春道」 三陟"

      25 Lawson, "Rethinking religion:connecting cognition and culture" Cambridge Uinversity Press 1996

      26 "(完譯)陟州集"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6-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등록 한글명 : 민속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Folk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39 1.048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