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찰관의 공공서비스동기가 문제행동 인식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police officer's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police miscondu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81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at effect of police officer's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police misconduct. Measuring variables which affecting factors were public service motivation(attraction to public participation, commitment to public values and self sacrific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analysis of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a police official; First, It was found that attraction to public participation increased strict perception of police misconduct. Second,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increased strict perception of police misconduct. But No affecting factors have been shown that commitment to public values increased strict perception of police misconduc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implications for increas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for decreasing perception of police misconduct.
      번역하기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at effect of police officer's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police misconduct. Measuring variables which affecting factors were public service motivation(attraction to public participation, commitment to public...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at effect of police officer's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police misconduct. Measuring variables which affecting factors were public service motivation(attraction to public participation, commitment to public values and self sacrific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analysis of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a police official; First, It was found that attraction to public participation increased strict perception of police misconduct. Second,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increased strict perception of police misconduct. But No affecting factors have been shown that commitment to public values increased strict perception of police misconduc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implications for increas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for decreasing perception of police miscondu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경찰관을 대상으로 공공서비스동기가 경찰 문제행동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영향요인으로 선정한 측정변인은 공공정책에 대한 호감도, 공익에 대한 몰입도, 희생정신으로 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찰공무원의 경우 첫째, 공공정책에 대한 호감도가 높을수록 경찰 문제행동에 대한인식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익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질수록 경찰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을 낮출 것이라는 가설은채택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희생정신이 높을수록 경찰 문제행동 인식을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경찰문제행동에 대한 인식을 낮추는데 중요한 요인인 공공서비스동기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경찰관을 대상으로 공공서비스동기가 경찰 문제행동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영향요인으로 선정한 측정변인은 공공정책에 대한 호감도, 공익에 대...

      이 연구는 경찰관을 대상으로 공공서비스동기가 경찰 문제행동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영향요인으로 선정한 측정변인은 공공정책에 대한 호감도, 공익에 대한 몰입도, 희생정신으로 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찰공무원의 경우 첫째, 공공정책에 대한 호감도가 높을수록 경찰 문제행동에 대한인식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익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질수록 경찰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을 낮출 것이라는 가설은채택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희생정신이 높을수록 경찰 문제행동 인식을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경찰문제행동에 대한 인식을 낮추는데 중요한 요인인 공공서비스동기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상군, "해양경찰공무원의 공공서비스동기(PSM)와 직무만족, 조직몰입과의 영향관계" 사회과학연구원 20 (20): 180-203, 2013

      2 최무현 ; 조창현, "한국 준정부조직의 학습조직화가 공공서비스(PSM)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정부학연구소 16 (16): 417-442, 2010

      3 윤병훈 ; 성용은, "한국 경찰의 문제행동 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치안행정학회 12 (12): 47-74, 2016

      4 홍태경, "처벌의 억제효과가 경찰일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5 윤우석, "지역사회경찰활동의 딜레마: 지역주민들의 경찰일탈행동에 대한 직간접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학회 12 (12): 143-170, 2013

      6 최예나, "지방정부 공무원들의 공공서비스동기와 공직가치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촉진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32 (32): 123-142, 2018

      7 김성언, "일탈적 태도의 유발요인으로서의 경찰 하위문화와 긴장-애그뉴(Agnew)의 일반긴장이론의 적용-" 한국공안행정학회 16 (16): 41-87, 2007

      8 윤병훈 ; 김재운, "윤리적 리더십, 하위문화와 경찰관의 조직 내 일탈행동 인식간 영향관계" 한국민간경비학회 17 (17): 143-164, 2018

      9 김가은 ; 박주혁 ; 박재풍, "신임경찰관의 공공봉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29 (29): 9-44, 2020

      10 김영종, "공직동기이론(PSM)을 통한 공직자 일탈행위 억제:투명사회를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부패학회 21 (21): 69-98, 2016

      1 하상군, "해양경찰공무원의 공공서비스동기(PSM)와 직무만족, 조직몰입과의 영향관계" 사회과학연구원 20 (20): 180-203, 2013

      2 최무현 ; 조창현, "한국 준정부조직의 학습조직화가 공공서비스(PSM)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정부학연구소 16 (16): 417-442, 2010

      3 윤병훈 ; 성용은, "한국 경찰의 문제행동 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치안행정학회 12 (12): 47-74, 2016

      4 홍태경, "처벌의 억제효과가 경찰일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5 윤우석, "지역사회경찰활동의 딜레마: 지역주민들의 경찰일탈행동에 대한 직간접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학회 12 (12): 143-170, 2013

      6 최예나, "지방정부 공무원들의 공공서비스동기와 공직가치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촉진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32 (32): 123-142, 2018

      7 김성언, "일탈적 태도의 유발요인으로서의 경찰 하위문화와 긴장-애그뉴(Agnew)의 일반긴장이론의 적용-" 한국공안행정학회 16 (16): 41-87, 2007

      8 윤병훈 ; 김재운, "윤리적 리더십, 하위문화와 경찰관의 조직 내 일탈행동 인식간 영향관계" 한국민간경비학회 17 (17): 143-164, 2018

      9 김가은 ; 박주혁 ; 박재풍, "신임경찰관의 공공봉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29 (29): 9-44, 2020

      10 김영종, "공직동기이론(PSM)을 통한 공직자 일탈행위 억제:투명사회를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부패학회 21 (21): 69-98, 2016

      11 이강문, "공공봉사동기가 직무만족 및 인지된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 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산업경영연구소 40 (40): 51-71, 2017

      12 박주원 ; 조윤직, "공공봉사동기가 조직구성원의 태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 요인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22 (22): 195-233, 2016

      13 김태호 ; 노종호, "공공봉사동기가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소 48 (48): 143-168, 2010

      14 김상묵, "공공봉사동기 연구의 성과와 과제" 정부학연구소 24 (24): 43-112, 2018

      15 홍태경 ; 류준혁, "경찰일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학회 8 (8): 213-242, 2011

      16 임현정 ; 유영재, "경찰의 직무스트레스가 일탈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 22 (22): 179-206, 2020

      17 윤일홍, "경찰비리에 대한 경찰관의 견해 연구" 행정안전부 교육훈련정보센터 2009

      18 제갈욱 ; 제갈돈, "경찰관의 공공서비스동기(PSM) 수준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정부학회 33 (33): 203-236, 2021

      19 윤병훈, "경찰공무원의 업무특성과 문제행동에 대한 제재 인식간 관계" 한국범죄심리학회 11 (11): 123-144, 2015

      20 노병만, "경찰공무원의 민주의식과 일탈행위의 관계" 21세기정치학회 26 (26): 145-174, 2016

      21 Van Maanen, J.,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977

      22 Hickman, M. J., "The validity of niederhoffer’s cynicism scale" 32 (32): 1-13, 2004

      23 Murphy, P. V, "Police corruption" 40 : 36-72, 1973

      24 이근주, "PSM과 공무원의 업무 성과" 서울행정학회 16 (16): 81-104, 2005

      25 Chappell, A. T, "Applying social learning theory to police misconduct" 25 (25): 89-105,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