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달님반에서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 경험의 의미 = The process of implementing a play-centered curriculum in dalnim cl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182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arner-cent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a lived experience of a play-centered curriculum from a perspective of a teacher responsible for a mixed-age class. There were 21 young children participants varying age from a three to a five year-old. The data was collected during sand play time for five months, from March to July in 2019.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kindergarten in this study was a single class kindergarten composed of mixed ages. A class with 21 children was a large class. Only one teacher was assigned and additional help was not offered. Therefore, it has been difficult for the teacher to run a play-centered curriculum that centers children’s individual interests, words and actions. Secondly, despite practical difficulties, children immersed themselves in play of their choice. They played while imagining, discovered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play experiences, and actively learned while influencing each other regardless of age. Thirdly, the teacher still face difficulties interacting with staff members who do not fully share the philosophy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and from parents’ complaints of lack of planned lessons. Despite the difficulties, the teacher continues to play with children (regardless of age) and observes their growth. The teacher daily experiences the clash of her passion for the play-centered curriculum and the practical difficulties beyond her control. This is a constant battle of becoming oneself.
      번역하기

      Learner-cent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a lived experience of a play-centered curriculum from a perspective of a teacher responsible for a mixed-age class. There were 21 young children participants varying age from a three to a five year...

      Learner-cent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a lived experience of a play-centered curriculum from a perspective of a teacher responsible for a mixed-age class. There were 21 young children participants varying age from a three to a five year-old. The data was collected during sand play time for five months, from March to July in 2019.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kindergarten in this study was a single class kindergarten composed of mixed ages. A class with 21 children was a large class. Only one teacher was assigned and additional help was not offered. Therefore, it has been difficult for the teacher to run a play-centered curriculum that centers children’s individual interests, words and actions. Secondly, despite practical difficulties, children immersed themselves in play of their choice. They played while imagining, discovered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play experiences, and actively learned while influencing each other regardless of age. Thirdly, the teacher still face difficulties interacting with staff members who do not fully share the philosophy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and from parents’ complaints of lack of planned lessons. Despite the difficulties, the teacher continues to play with children (regardless of age) and observes their growth. The teacher daily experiences the clash of her passion for the play-centered curriculum and the practical difficulties beyond her control. This is a constant battle of becoming oneself.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본 연구는 교사가 유아와 놀이를 존중하는 지향성을 갖고 생활하는 교육현장에서,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이라는 일상적 체험의 내면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3, 4, 5세 21명의 혼합연령학급 유아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3월부터 7월에 걸쳐 모래놀이를 통해 이루어졌고 참여관찰, 연구일지, 유아와의 면담, 유아들의 놀이 장면에 대한 동영상 및 사진 촬영, 연구모임 이야기, 교사 일기, 문서 자료 등의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첫째, 혼합연령 21명의 단학급에서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한다는 것은 현실적인 힘듦이 있었다. 둘째, 아이들이 놀이를 통해 보여준 것은 몰입하고, 차이가 있는 물길과 웅덩이의 변화, 발견의 기쁨, 연령을 구분하지 않고 놀이하는 역동적인 모습을 드러내었다. 셋째, 교사는 놀이와 유아중심을 지향하며 고민하고 기록을 하면서 교육과정을 실천해가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관리자, 학부모의 항의와 마주하면서 교육철학의 흔들림을 경험해야했다. 교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현장에서 꾸준히 실천해내고 싶다는 마음을 견지하며, 동시에 지원환경의 힘듦과 마주치면서 교육자로서 존재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교육과정 실천가 ‘–되기’의 상태에 머물며 끊임없는 자기초월의 과정에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본 연구는 교사가 유아와 놀이를 존중하는 지향성을 갖고 생활하는 교육현장에서,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이라는 일상적 체험의 내면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

      본 연구는 본 연구는 교사가 유아와 놀이를 존중하는 지향성을 갖고 생활하는 교육현장에서,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이라는 일상적 체험의 내면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3, 4, 5세 21명의 혼합연령학급 유아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3월부터 7월에 걸쳐 모래놀이를 통해 이루어졌고 참여관찰, 연구일지, 유아와의 면담, 유아들의 놀이 장면에 대한 동영상 및 사진 촬영, 연구모임 이야기, 교사 일기, 문서 자료 등의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첫째, 혼합연령 21명의 단학급에서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한다는 것은 현실적인 힘듦이 있었다. 둘째, 아이들이 놀이를 통해 보여준 것은 몰입하고, 차이가 있는 물길과 웅덩이의 변화, 발견의 기쁨, 연령을 구분하지 않고 놀이하는 역동적인 모습을 드러내었다. 셋째, 교사는 놀이와 유아중심을 지향하며 고민하고 기록을 하면서 교육과정을 실천해가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관리자, 학부모의 항의와 마주하면서 교육철학의 흔들림을 경험해야했다. 교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현장에서 꾸준히 실천해내고 싶다는 마음을 견지하며, 동시에 지원환경의 힘듦과 마주치면서 교육자로서 존재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교육과정 실천가 ‘–되기’의 상태에 머물며 끊임없는 자기초월의 과정에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준호, "혼합연령 종일반 유아들 관계에서 나타나는 만 4, 5세 유아의 연령별 특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 임희준, "혼합 연령 학급의 동극 활동 과정에 나타난 만 4, 5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유혜령, "현상학적 질적연구에 대한 오해와 이해: 연구논리와 연구 기법 사이에서 길찾기" 10 (10): 5-31, 2013

      4 유혜령, "현상학적 글쓰기: ‘형언할 수 없는 그 무엇’이 살아나는 공간 만들기" 한국교육인류학회 17 (17): 1-34, 2014

      5 van Manen, M., "체험연구 :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 동녘 1994

      6 곽영순, "질적 연구 : 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교육과학사 2009

      7 이근호, "존재의 교육과정 탐구:현상학적 접근의 교육과정적 의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3 (13): 31-47, 2010

      8 유혜령, "유아의 역할놀이 경험 양식과 그 교육적 의미: 현상학적 이해" 21 (21): 55-79, 2001

      9 김경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혼합연령집단 구성에 대한 재인식 모색" 한국보육학회 6 (6): 179-192, 2006

      10 Davies, B., "어린이에게 귀 기울이기 : '이기'와 '되기'" 창지사 2017

      1 유준호, "혼합연령 종일반 유아들 관계에서 나타나는 만 4, 5세 유아의 연령별 특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 임희준, "혼합 연령 학급의 동극 활동 과정에 나타난 만 4, 5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유혜령, "현상학적 질적연구에 대한 오해와 이해: 연구논리와 연구 기법 사이에서 길찾기" 10 (10): 5-31, 2013

      4 유혜령, "현상학적 글쓰기: ‘형언할 수 없는 그 무엇’이 살아나는 공간 만들기" 한국교육인류학회 17 (17): 1-34, 2014

      5 van Manen, M., "체험연구 :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 동녘 1994

      6 곽영순, "질적 연구 : 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교육과학사 2009

      7 이근호, "존재의 교육과정 탐구:현상학적 접근의 교육과정적 의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3 (13): 31-47, 2010

      8 유혜령, "유아의 역할놀이 경험 양식과 그 교육적 의미: 현상학적 이해" 21 (21): 55-79, 2001

      9 김경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혼합연령집단 구성에 대한 재인식 모색" 한국보육학회 6 (6): 179-192, 2006

      10 Davies, B., "어린이에게 귀 기울이기 : '이기'와 '되기'" 창지사 2017

      11 유혜령, "아동교육 연구의 현상학적 접근: 역사와 과제" 한국교육인류학회 8 (8): 57-90, 2005

      12 유혜령, "소수 민족 유아의 유치원 생활 경험: 현상학적 이해" 2 (2): 139-170, 1999

      13 안효진, "들뢰즈와 내부작용 유아교육(이론과실제구분넘어서기)" 창지사 2018

      14 김재춘, "들뢰즈와 교육 차이생성의 배움론" 학이시습 2016

      15 경상북도교육청 홈페이지, "교육감에 바란다. 유치원 3,4,5세 혼합반 22명 정원. 문제있습니다"

      16 메를로-퐁티, "[단행본]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17 레이첼 카슨, "The Sense of Wonder" 에코리브르 2012

      18 Tyler, R.,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9

      19 교육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20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안) 공청회 자료"

      21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