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순수위빠사나의 정학실천 비교연구 = 마하시와 쉐우민 위빠사나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096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진행하는 대부분의 위빠사나는 순수위빠사나 수행이다. 본고는 최근 국내에서 가장 많이 진행하고 있는 마하시와 쉐우민의 순수위빠사나 수행법을 정학(定學)의 범주로 구분하여 비...

      오늘날 진행하는 대부분의 위빠사나는 순수위빠사나 수행이다. 본고는 최근 국내에서 가장 많이 진행하고 있는 마하시와 쉐우민의 순수위빠사나 수행법을 정학(定學)의 범주로 구분하여 비교한다. 이들은 194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사이 미얀마에서 만들어진 위빠사나 수행법이다. 초기경전을 기준으로 정학을 실천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수행법은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마하시 위빠사나의 노력은 열심히 인내하고 정진하는 것이다. 하지만 쉐우민 위빠사나의 노력은 긴장 없는 편안한 마음을 강조한다. 이들은 힘을 주는 노력과 힘을 빼는 노력으로 구분된다. 둘째, 마하시의 사띠는 신수관과 수수관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수행자는 사띠를 감각이라는 대상에 밀착하고자 노력했다. 쉐우민의 사띠는 심수관과 법수관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수행자는 마음이라는 다양한 대상에 거리를 두어 알아차리는 방법을 사용한다. 사띠는 밀착과 거리두기를 통해 감각과 마음이라는 서로 다른 대상에 적용된다. 셋째, 마하시는 찰나집중을 활용하여 오장애를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 위빠사나 선정도 발전시킬 수 있다. 하지만 쉐우민의 집중은 본래의 의미를 벗어나 이완이나 안정된 상태를 의미한다. 그밖에도 수행의 발전과정이나 목표에 있어서도 이들의 차이점은 분명하다. 순수위빠사나라는 동일한 이름이 수행의 방법까지 포괄하지 못하고 있다. 마하시는 『위숫디막가』를 기준으로 상좌부불교의 수행전통을 고수하고자 노력한다. 분리와 분석이라는 전통적 사고를 활용하여 몸과 마음을 이해하고자 노력한다. 상대적으로 후대에 개발된 쉐우민은 마하시의 어려움을 보완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위빠사나를 다루는 수행전통의 흐름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해석과 실천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수행법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가능해지길 기대한다. 동시에 오랜 경험으로 축적된 전통적 수행법이 새로운 해석에 희석될까 염려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temporary Vipassanā meditation is mostly performed in the style labeled ‘dry-visioned’ or ‘suddha-vipassanā’. This study compares the two different suddha-vipassanā techniques of Mahasi and Shweoomin in terms of concentration training. B...

      Contemporary Vipassanā meditation is mostly performed in the style labeled ‘dry-visioned’ or ‘suddha-vipassanā’. This study compares the two different suddha-vipassanā techniques of Mahasi and Shweoomin in terms of concentration training. Both of these vipassanā meditations were developed in Myanmar in the late 1950s and are commonly taught to cultivate concentration training using the scriptures of Early Buddhism (Pāli-Nikāya). However, they diverged in practice methods. First, Mahasi vipassanā urged practitioners to be patient in the face of difficulty and to practice diligently, while proponents of Shweoomin vipassanā place importance on calming the mind to eliminate tension. Thus, the difference is “effort with strain vs. effort without strain.” Second, in Mahasi vipassanā, sati was practiced through the contemplation of body and contemplation of feeling. Practitioners try to remain aware of their senses, that is, the objects of meditation. In Shweoomin vipassanā, sati is practiced through the contemplation of mind and contemplation of Dhamma. Practitioners keep various perceptions at a distance in their minds to sustain clear awareness. Thus, the techniques differed in that, in the first, sati was applied to senses or objects of the mind by focusing on them, and in the second, they were kept at a distance. Third, Mahasi vipassanā seeks to eradicate the five hindrances by using momentary concentration and developing vipassanā absorption (when needed). Conversely, concentration in Shweoomin vipassanā strays from the original meaning of concentration and, rather, seeks to attain relaxation or a stable state. In add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methods are clear in terms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ractice and goals of meditation. Although both of them share a common name, suddha-vipassanā, they differ in terms of method of practice. Mahasi attempts to retain the Theravāda Buddhist tradition by following the standard of The Path of Purification (Visuddhimagga). By making the most of the traditional processes of division and analysis, Mahasi vipassanā attempts to understand the human body and mind. Shweoomin vipassanā, which developed later than the Mahasi vipassanā, appears to attempt to overcome or eliminate this complexity of Mahasi. However, Shweoomin strays from mainstream traditional vipassanā practice and attempts a renewed interpretation and practice. By comparing these difference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objective assessment of various meditation techniques. However, some concerns remain about the possible dilution of traditional practice methods that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centuries of practical experien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두 가지 순수위빠사나
      • Ⅲ. 정학의 실천비교
      • Ⅳ. 마치는 말
      • 〈한글요약〉
      • Ⅰ. 들어가는 말
      • Ⅱ. 두 가지 순수위빠사나
      • Ⅲ. 정학의 실천비교
      • Ⅳ. 마치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