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적 맥락과 학습자 특성을 반영한 한국어교육학 전공 교육 과정 개발 기초 연구 -광주․전남 지역 소재 내 한국어교육 전공 학부 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Korean Language Major Curriculum Reflecting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Social Context: Focused on Undergraduate Programs in Gwangju and Jeonna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oper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s in the Gwangju and Jeonnam provinces before developing the curriculum as part of regional research. In the Gwangju and Jeonnam region, a total of 7 universities offers un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oper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s in the Gwangju and Jeonnam provinces before developing the curriculum as part of regional research. In the Gwangju and Jeonnam region, a total of 7 universities offers undergraduate cours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this region has a characteristic of first-year Korean students being less than three, and the rest being international students. Besides, there are courses for acquiring Korean language teacher certification and improving Korean communication skills. This study interviewed the four current deans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mong the seven universities to understand curriculum management and listen to their views. First, both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ents significantly influenced academic achievement by setting goals and motivation. Moreover, they mentioned that curriculum management requires a new principle that considers learners in the entire process of selecting and arranging subjects, setting educational goals,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s and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for obtaining a Korean language teaching certificate. Courses related to Korean communication should also be designed based on the students’ goals and the department’s values. Also, they suggested that the use of non-subject activities, development of various subject types, and attempts of teaching methods were necessa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정한, "헝가리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6 : 517-540, 2020

      2 김재욱, "한국어교육 전공 학과 교육과정 분석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5 (5): 23-41, 2009

      3 박기표,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 학과의 실태 분석 및 제안" 우리말글학회 56 : 213-253, 2012

      4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한국어 교육학 사전" 하우 2015

      5 김정숙,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 연구" 이중언어학회 (47) : 331-349, 2011

      6 김재욱, "한국 내 대학 한국어교육학과의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6 (6): 47-67, 2010

      7 안경화,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하여" 11 (11): 67-83, 2000

      8 장가혜, "파라과이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교육대학원 2015

      9 최정순, "중국 한국어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과 실천적 대안으로서의 내용 중심수업 활용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연구소 13 (13): 173-195, 2018

      10 왕단, "중국 대학교 韓國語科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韓國語視聽說’ 과목을 중심으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7 : 219-242, 2002

      1 한정한, "헝가리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6 : 517-540, 2020

      2 김재욱, "한국어교육 전공 학과 교육과정 분석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5 (5): 23-41, 2009

      3 박기표,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 학과의 실태 분석 및 제안" 우리말글학회 56 : 213-253, 2012

      4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한국어 교육학 사전" 하우 2015

      5 김정숙,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 연구" 이중언어학회 (47) : 331-349, 2011

      6 김재욱, "한국 내 대학 한국어교육학과의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6 (6): 47-67, 2010

      7 안경화,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하여" 11 (11): 67-83, 2000

      8 장가혜, "파라과이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교육대학원 2015

      9 최정순, "중국 한국어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과 실천적 대안으로서의 내용 중심수업 활용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연구소 13 (13): 173-195, 2018

      10 왕단, "중국 대학교 韓國語科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韓國語視聽說’ 과목을 중심으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7 : 219-242, 2002

      11 김하나, "‘복합 응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 교육과정의 과제와 제언" 한국어교육연구소 12 (12): 5-24, 2017

      12 Brown, H. Douglas, "Teaching by Principles: An Interactive Approach to Language Pedagogy" Longman 1995

      13 Tyler. R. W.,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10-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 교육 -> 한국어교육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1.03 1.37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