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표해록>으로 본 18세기 제주도 선비 장한철과 섬사람들 = The 18th Century Jeju Scholar Jang Han-cheol and Island People from Perspective of the Travel Record <Pyohaerok>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18th-century Jeju scholar Jang Han-cheol and Jeju Island people from the viewpoint of the travel record 『Pyohaerok』. To that end, Chapter Ⅱ briefly summarizes the drifting diary of the Joseon Dynasty and examined the process ...

      This paper examined 18th-century Jeju scholar Jang Han-cheol and Jeju Island people from the viewpoint of the travel record 『Pyohaerok』. To that end, Chapter Ⅱ briefly summarizes the drifting diary of the Joseon Dynasty and examined the process of writing Jang Han-cheol’s 『Pyohaerok』. 『Pyohaerok』 was primarily written while he stayed in Hosando Island after he drifted ashore, and it was secondarily written right after he returned to Jejudo, making the record very specific.
      Chapter Ⅲ examines Jang Han-cheol and his scholarly life as described in 『Pyohaerok』. His scholarly spirit was manifested when he described his family, and such spirit prevailed all through the record. Jang Han-cheol studied Confucianism, and read a lot of diverse books, making him a learned man, which enabled him to analyze the situations so as to persuade the people as a leader, thus exercising his leadership through the crisis and encouraging the people drifted.
      Further, he valued Confucian rites.
      Chapter Ⅳ examines the Island people from the perspective of Jejudo scholar Jang Han-cheol.
      The record describes the people drifted together as believing in superstition and easily succumbing to distress. After overcoming the crisis, however, Jang Han-cheol understood the brokenhearted island people and affirmatively described them as good-natured. Further, the record illustrated the Cheongsando people who came to the aid of the drifted people and Jejudo people who he came cross while returning home and who helped the distressed people. This offers a glimpse of the Island hometown people’s favorable treatment of the drifted people from the same town in the 18th centu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표해록』을 통해 18세기 제주도 선비 장한철과 섬사람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먼저 Ⅱ장에서는 조선시대 표류일기를 간략하게 정리하고, 장한철 『표해록』 작...

      본 논문에서는 『표해록』을 통해 18세기 제주도 선비 장한철과 섬사람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먼저 Ⅱ장에서는 조선시대 표류일기를 간략하게 정리하고, 장한철 『표해록』 작성 과정을 살펴보았다. 『표해록』 은 표류 체험 중 호산도에 있을 때 1차 작성되었고, 제주도로 돌아온 직후 2차 작성되어, 표류 체험이 구체적으로 기록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표해록』에 나타난 장한철의 삶과 선비적 면모를 살펴보았다. 가족들을 서술할 때 효와 제사를중시하는 선비적 면모가 드러나는데, 이러한 면모는 『표해록』 전체를 관통하였다. 장한철은 유학을 공부하고다양한 책을 읽은 독서인으로서 자신의 지식을 바탕으로 상황을 판단하여 사람들을 설득하였으며, 백성들을이끄는 지도자로서 위기 속에서 사람들을 이끌고 위기가 끝난 후에도 함께 표류한 사람들을 포용하는 모습을보여 주었다. 또 예의를 중시하는 면모도 확인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제주도 선비 장한철의 눈에 비친 섬사람들을 살펴보았다. 함께 표류한 섬사람들은 미신을 믿고, 쉽게 삶을 포기하는 사람들로 그려지기도 하였다. 하지만 함께 위기를 극복한 후 장한철은 섬사람들의 마음을이해하고 그들의 성품이 착하다고 긍정적으로 기술하였다. 또 표류인을 도와준 청산도 사람들, 귀환 과정에서우연히 만나 도움을 준 제주도 사람들을 통해 18세기에 섬사람들이 표류한 동향 사람들을 호의적으로 대하는것을 볼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일수, "「만강홍」에 나타난 장한철 표류담의 계승과 변이(Ⅱ)" 한국어문학회 58 : 1996

      2 윤일수, "「만강홍」에 나타난 장한철 표류담의 계승과 변이(Ⅰ)" 한민족어문학회 28 : 1995

      3 정성일, "한국 표해록의 종류와 특징" 도서문화연구원 (40) : 9-39, 2012

      4 장한철, "표해록" 범우사 1993

      5 최부, "표해록" 한길사 2004

      6 김미선, "최부 『표해록』의 기행문학적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7 김나영, "조선시대 제주인의 표류 발생 배경과 실태" 탐라문화연구원 (57) : 202-240, 2018

      8 조성윤, "조선시대 제주도 신분 구조 연구 시론" 제주도연구회 6 : 1989

      9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조선시대 기행일기2 – 인천·경기"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10 고석규, "조선시기 표류경험의 기록과 활용" 도서문화연구원 (31) : 3-32, 2008

      1 윤일수, "「만강홍」에 나타난 장한철 표류담의 계승과 변이(Ⅱ)" 한국어문학회 58 : 1996

      2 윤일수, "「만강홍」에 나타난 장한철 표류담의 계승과 변이(Ⅰ)" 한민족어문학회 28 : 1995

      3 정성일, "한국 표해록의 종류와 특징" 도서문화연구원 (40) : 9-39, 2012

      4 장한철, "표해록" 범우사 1993

      5 최부, "표해록" 한길사 2004

      6 김미선, "최부 『표해록』의 기행문학적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7 김나영, "조선시대 제주인의 표류 발생 배경과 실태" 탐라문화연구원 (57) : 202-240, 2018

      8 조성윤, "조선시대 제주도 신분 구조 연구 시론" 제주도연구회 6 : 1989

      9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조선시대 기행일기2 – 인천·경기"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10 고석규, "조선시기 표류경험의 기록과 활용" 도서문화연구원 (31) : 3-32, 2008

      11 서인석, "장한철의 「漂海錄」과 隨筆의 敍事的 성격" 한국국어교육연구회 67 : 1989

      12 윤치부, "장한철의 <漂海綠>과 한문단편의 관련양상" 한국고소설학회 2 : 1996

      13 정솔미, "장한철(張漢喆) 『표해록(漂海錄)』의 야담적 전이 양상 - 『기리총화(綺里叢話)』와 『청구야담(靑邱野談)』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소 (67) : 241-279, 2018

      14 장한철, "장한철 표해록" 지식을만드는지식 2018

      15 진선희, "장한철 『표해록』의 다성성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1

      16 제주의 소리, "일본 오키나와 표류 제주인 양우종 ‘표해일기’ 공개"

      17 김미선, "섬 여행을 기록한 조선시대 기행일기" 도서문화연구원 (53) : 33-64, 2019

      18 이병휴, "선비와 그들의 삶" 역사교육학회 52 : 2014

      19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문화연구소, "동아시아 표해록" 역사공간 2018

      20 崔溥, "錦南集"

      21 오관석, "漢文紀行硏究 : 張漢喆의 漂海錄을 中心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1985

      22 정병욱, "漂海錄"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6 : 1961

      23 張漢喆, "漂海錄"

      24 張漢喆, "漂海錄"

      25 김강식, "李志恒 『漂舟錄』 속의 漂流民과 海域 세계" 국제해양문제연구소 (16) : 139-182, 2017

      26 최영화, "朝鮮後期 漂海錄 硏究" 연세대학교 2017

      27 Yao Dayong, "張漢喆≪漂海錄≫的歷史認知價值" 중국학연구소 (42) : 415-435, 2013

      28 김경옥, "18세기 張漢喆의 『漂海錄』을 통해 본 海外體驗" 호남사학회 (48) : 151-173,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6-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Oriental Studies KCI등재
      2013-03-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양학연구소 -> 동양학연구원
      영문명 :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 Academy of Asian Studies, Dankook Universi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3 1.457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