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전자독서확대기를 이용한 저시력 학생의 시력 약점 보상방법에 관한 연구 = Improving problems for low vision students by using electronic magnifying reading device resea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33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rimary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low vision and to show how the electronic magnifier can assist each student in making up for their visual weakness.
      By using color reverse feature in electronic magnifying reading device, it is possible to output more background color absolvent darker color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from the students with low vision attending a school for the blind, it improves short vision life span phenomenon which many student suffer from. In addition, it increases readability by improving the contrast rate between background color and color of the letters.
      The function of color mode helps students to adopt the color of letter with their eyes which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reading. Making a mark on the specified information is marker function which it is importantly used for students who are having hard time concentrating an object due to vision distortion or trembl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s using electronic magnifier is to analyze character of each student with low vision and to use by selecting appropriate setting.
      번역하기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rimary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low vision and to show how the electronic magnifier can assist each student in making up for their visual weakness. By using color reverse feature in electronic magnif...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rimary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low vision and to show how the electronic magnifier can assist each student in making up for their visual weakness.
      By using color reverse feature in electronic magnifying reading device, it is possible to output more background color absolvent darker color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from the students with low vision attending a school for the blind, it improves short vision life span phenomenon which many student suffer from. In addition, it increases readability by improving the contrast rate between background color and color of the letters.
      The function of color mode helps students to adopt the color of letter with their eyes which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reading. Making a mark on the specified information is marker function which it is importantly used for students who are having hard time concentrating an object due to vision distortion or trembl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s using electronic magnifier is to analyze character of each student with low vision and to use by selecting appropriate sett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저시력 학생들이 갖는 주요 시력 특성에 대해 정리하고, 전자독서확대기의 사용이 저시력 학생 개개인의 시각적 약점을 어떻게 보완하는지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맹학교의 저시력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결과, 전자독서확대기 색상 반전 기능의 사용은 바탕색을 빛의 흡수도가 높은 어두운 색으로 출력해줌으로써 저시력 학생들이 많이 갖는 수명(羞明)현상의 감소 효과와 바탕 색상과 글자 색상의 대비 증가를 통해 글자 인식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주었다. 색상 변경 기능은 저시력 학생이 자신의 눈 특성에 맞는 글자 색상을 선택함으로써 읽기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화면상의 특정 정보에 표시를 해 주는 마커 기능은 시야의 왜곡, 떨림 등으로 인해 집중이 어려운 학생에게 중요한 기능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전자독서확대기를 사용함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저시력 학생들 개개인의 시력 특성을 분석하고 적합한 설정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저시력 학생들이 갖는 주요 시력 특성에 대해 정리하고, 전자독서확대기의 사용이 저시력 학생 개개인의 시각적 약점을 어떻게 보완하는지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맹학교...

      본 연구는 저시력 학생들이 갖는 주요 시력 특성에 대해 정리하고, 전자독서확대기의 사용이 저시력 학생 개개인의 시각적 약점을 어떻게 보완하는지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맹학교의 저시력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결과, 전자독서확대기 색상 반전 기능의 사용은 바탕색을 빛의 흡수도가 높은 어두운 색으로 출력해줌으로써 저시력 학생들이 많이 갖는 수명(羞明)현상의 감소 효과와 바탕 색상과 글자 색상의 대비 증가를 통해 글자 인식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주었다. 색상 변경 기능은 저시력 학생이 자신의 눈 특성에 맞는 글자 색상을 선택함으로써 읽기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화면상의 특정 정보에 표시를 해 주는 마커 기능은 시야의 왜곡, 떨림 등으로 인해 집중이 어려운 학생에게 중요한 기능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전자독서확대기를 사용함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저시력 학생들 개개인의 시력 특성을 분석하고 적합한 설정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부산맹학교, "저시력학생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현장 적합성 및 발전방안 탐색" 2008

      2 김승국, "저시력인의 재활대책" 53-72, 1994

      3 한국실명예방재단, "저시력의 이해 : 한국실명예방재단" 최신의학사 2007

      4 (사)전국저시력인연합회, "저시력(5)"

      5 김지택, "저시력 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대한안과학회 48 (48): 1269-1275, 2007

      6 이해균, "약시학생의 확대독서매체에 따른 읽기효율성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학과 1995

      7 이진학, "안과학" 일조각 2008

      8 정수화, "시각장애 학교 저시력 학생의 장애 상태와 학습환경에 관한 연구" 15 : 121-163, 1999

      9 원종대, "시각장애 특수학교 학생들의 시기능에 관한 실태 분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10 김동연, "시각손상아의 지도" 도서출판 동아 문화사 1991

      1 부산맹학교, "저시력학생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현장 적합성 및 발전방안 탐색" 2008

      2 김승국, "저시력인의 재활대책" 53-72, 1994

      3 한국실명예방재단, "저시력의 이해 : 한국실명예방재단" 최신의학사 2007

      4 (사)전국저시력인연합회, "저시력(5)"

      5 김지택, "저시력 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대한안과학회 48 (48): 1269-1275, 2007

      6 이해균, "약시학생의 확대독서매체에 따른 읽기효율성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학과 1995

      7 이진학, "안과학" 일조각 2008

      8 정수화, "시각장애 학교 저시력 학생의 장애 상태와 학습환경에 관한 연구" 15 : 121-163, 1999

      9 원종대, "시각장애 특수학교 학생들의 시기능에 관한 실태 분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10 김동연, "시각손상아의 지도" 도서출판 동아 문화사 1991

      11 이해균, "생리·병리학적 접근에 기초한 저시력 학생의 읽기 특성" 16 : 1-22, 2000

      12 조맹섭, "디지털 컬러의 기본 원리" 도서출판 국제 2006

      13 Barraga,N.C., "Increased Visual Behavior in Low Vision Children"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1964

      14 배수정, "CCTV를 활용한 문자지도가 저시력학생의 읽기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Visually Impaired ->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시각장애연구회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64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