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의 효율적 운영방안 - 공간 자산화 사례를 중심으로 - 본 연구는 지역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위해 공간 자산화 과정에서 복합문화커뮤 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48045
서울 :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 문화예술경영전공 문화예술경영 , 2025. 2
2024
한국어
서울
121 ; 26 cm
지도교수: 강윤주
I804:11128-20000086447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의 효율적 운영방안 - 공간 자산화 사례를 중심으로 - 본 연구는 지역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위해 공간 자산화 과정에서 복합문화커뮤 니...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의 효율적 운영방안 - 공간 자산화 사례를 중심으로 - 본 연구는 지역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위해 공간 자산화 과정에서 복합문화커뮤 니티공간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지를 탐구하고자 질적 연구를 진행하 였다.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지역 전통과 문화를 존중하며, 지속 가능한 지역 사회의 이익을 보장하는 공간 자산화의 운영 및 지원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우선, 선행 연구를 통해 공간 자산화의 핵심 개념, 유형, 그리고 전반적인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간 자산화가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에 어 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연구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공간 자산화를 통한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의 배 경과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 운영의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의 운영 효과와 한계는 무엇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지원 방안은 무엇인가? 이 연구에서는 경기도 용인의 느티나무도서관과 서울 마포구의 해빗투게더협동조 합 ‘모두의 놀이터’를 사례로 선정하였다. 두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의 핵심 이해 관계자들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인터뷰는 2023년 10월부터 2 024년 6월까지 연구자가 직접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을 방문하여 대면 방식으로 진 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이를 통해 의미 있 는 진술을 범주화하고 상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공간 자산화의 배경으로는 둥지 내몰림 방지, 연대 공간의 형성, 자아실현 욕구 등의 동인이 도출되었다. 또한, 인간 중심의 공간, 개방적인 공간, 지 역 커뮤니티 활동 중심의 공간이라는 세 가지 주요 특성이 확인되었다. 이는 공간 자산화가 지역 주민들 간의 연대감을 강화하고, 사회적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의 운영의 특성으로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수용, 다목 적 공간의 조성, 그리고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한 노력이 핵심 특성으로 도출되었 다. 이러한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은 주민들에게 풍부한 문화적 경험과 참여 기회를 제공하며,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의 운영의 효과와 한계에 대한 분석 결과,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과 자발적 운영이 필수적임이 드러났 다. 그러나 재정적 어려움과 공간적 제약이 지속적인 운영의 한계로 지적되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기부문화의 활성화, 정부의 재정적 지원 및 정책적 지원의 필 요성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는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의 효과적인 운영 을 위한 정책적 제언으로, 주거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법적 장치의 강화, 공동체 연대를 촉진하는 프로그램의 확대, 주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 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발굴 및 지원, 그리고 기부문화 활성화 및 정부 지원의 필 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공간 자산화를 통한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 의 지속 가능성과 공공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며, 궁극적 으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공간 자산화, 복합문화커뮤니티공간, 지역 커뮤니티, 커뮤니티 활성화, 효율적 운영 방안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