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의 목적은 중세국어에서 근대국어에 이르기까지 ‘X-’의 ‘’가 특수 교체 되는 환경과 그 양상을 정리하며, 근대국어에서는 ‘’ 특수 교체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고찰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138198
이래호 (남부대학교)
2016
Korean
‘’ 특수 교체 ; 중세국어 ; 근대국어 ; 통시적 변화 ; 탈락 ; ‘X-’ ; ‘Xha-’ ; ‘ha-’ ; ‘ha’ special alternation ; middle korean ; modern korean ; diachronic change ; deletion.
911
KCI등재
학술저널
173-203(3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중세국어에서 근대국어에 이르기까지 ‘X-’의 ‘’가 특수 교체 되는 환경과 그 양상을 정리하며, 근대국어에서는 ‘’ 특수 교체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고찰하...
본고의 목적은 중세국어에서 근대국어에 이르기까지 ‘X-’의 ‘’가 특수 교체 되는 환경과 그 양상을 정리하며, 근대국어에서는 ‘’ 특수 교체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에서 대표적 어사 몇 개의 ‘’ 특수 교체 양상과 어미별 ‘’ 특수 교체의 양상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 특수 교체를 보이지 않는 어사들은 [N+다]v, [NP 다]vp의 구성을 가질 수 있는 것들이고, ‘’ 특수 교체는 어근의 고유어, 한자어, 자립성 여부와 관계없이 수의적으로 일어나며, 어미에 따라 ‘’ 특수 교체의 비율이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근대국어에서 ‘’ 특수 교체의 세력이 점차 약화되어 근대국어 후기로 갈수록 ‘’ 특수 교체의 비율이 점차 줄어들지만 몇몇 필사본 자료에서는 ‘’ 특수 교체가 매개모음을 가지지 않는 여타의 어미들로 확대되고 있음을 밝혔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various circumstances of “ha” special alternation of “Xha-” from middle Korean language to modern Korean language are to be evaluated, and the trend is organized to determine how the trend of “ha” special alternation in mode...
In this paper, various circumstances of “ha” special alternation of “Xha-” from middle Korean language to modern Korean language are to be evaluated, and the trend is organized to determine how the trend of “ha” special alternation in modern Korean changes. For this, the trend of “ha” special alternation of some sample words in middle Korean language and modern Korean language and the trend of “ha” special alternation in each endings were organized to check the difference between middle Korean language and modern Korean language.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words without the “ha” special alternation are composed of [N+다]v or [NP 다]vp, that the “ha” alternation is not relevant to native word, Chinese character, or independence of the roots of words, and that the portion of alternation trend may vary due to ending.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trend of “ha” special alternation was weakening in modern Korean language, and that the trend of “ha” special alternation was expanding to other endings without bridging vowels in manuscript materials of modern Korean languag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선영, "후기 중세국어 색채어의 어휘적 특징과 의미" 국어학회 (47) : 235-263, 2006
2 김지숙, "후기 중세국어 ' '의 탈락과 축약에 관하여-' 다'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45) : 91-108, 2004
3 정경재, "한국어 용언 활용 체계의 통시적 변화" 고려대학교 2015
4 안병희,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1990
5 안병희, "중세국어 동사 ‘하-’의 어간교체에 대하여" 건국대학교국어국문학회 한국고유문화연구소 2 : 18-24, 1962
6 구본관, "중세국어 ‘X■- + -이’ 부사 형성" 국어국문학회 (136) : 105-134, 2004
7 안병희, "중기어 부정어 ‘아니’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20 : 72-78, 1959
8 이래호,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아니’ 부정문 연구" 한국중원언어학회 (37) : 253-280, 2015
9 황문환,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3)" 역락 2013
10 황문환,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2)" 역락 2013
1 이선영, "후기 중세국어 색채어의 어휘적 특징과 의미" 국어학회 (47) : 235-263, 2006
2 김지숙, "후기 중세국어 ' '의 탈락과 축약에 관하여-' 다'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45) : 91-108, 2004
3 정경재, "한국어 용언 활용 체계의 통시적 변화" 고려대학교 2015
4 안병희,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1990
5 안병희, "중세국어 동사 ‘하-’의 어간교체에 대하여" 건국대학교국어국문학회 한국고유문화연구소 2 : 18-24, 1962
6 구본관, "중세국어 ‘X■- + -이’ 부사 형성" 국어국문학회 (136) : 105-134, 2004
7 안병희, "중기어 부정어 ‘아니’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20 : 72-78, 1959
8 이래호,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아니’ 부정문 연구" 한국중원언어학회 (37) : 253-280, 2015
9 황문환,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3)" 역락 2013
10 황문환,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2)" 역락 2013
11 황문환,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1)" 역락 2013
12 배주채, "음절말 평폐쇄음화에 대하여"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17 : 181-204, 1992
13 허웅, "우리 옛말본" 샘문화사 1978
14 이광호, "동사어간 ‘하-’의 음운현상"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4 : 99-116, 1985
15 이익섭, "근대한국어 문헌의 표기법 연구" 서울대 국어연구회 114 : 1985
16 홍윤표, "근대국어의 표기법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 : 113-140, 1985
17 이광호, "근대국어문법론" 태학사 2004
18 이광호, "근대국어 표기법에 대한 의미론적 해석"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6 (16): 55-73, 1993
19 이현희,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367-379, 1986
20 이익섭, "국어 표기법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2
21 이진호, "국어 ㅎ- 말음 어간의 음운론" 국어국문학회 133 : 167-195, 2003
22 이승재, "구례지역어의 음운체계" 서울대 국어연구회 45 : 1980
23 정연주, "‘하다’의 기능에 대한 구문 기반 연구" 고려대학교 2015
24 이현희, "‘하다’ 어사의 성격에 대하여:누러하다류와 엇더하다류를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2 : 211-247, 1985
25 윤예진, "‘하-’의 어간교체에 대한 통시적 연구" 서울대학교 2016
26 안주호, "‘그러-’ 계열 접속사의 형성과정과 문법화" 국어학회 45 : 113-141, 2000
27 배영환, "‘ㅎ’-말음 어간의 재구조화" 지식산업사 2011
28 신승용, "‘Xㅎ-’ 기원 /ㅎ/ 말음 어간의 변화 양상" 언어과학회 (70) : 237-250, 2014
29 구본관, "15세기 국어 파생법에 대한 연구" 태학사 1998
30 배영환, "'ㅎ'-말음 어간의 재구조화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5
中世ㆍ近代國語 副詞格助詞 硏究의 爭點과 課題 - ‘-에, -에서, -에게’ 對應 形態에 限하여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1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 |
2014-01-0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국어사연구(학회지 명칭 변경) -> 국어사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5-04-2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국어사자료학회 -> 국어사학회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1 | 0.61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 | 0.62 | 1.345 | 0.38 |
Tradition and Modernity and Korean Political Philosophy
K-MOOC 성균관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센터 Bi hwan Kim, Yutang Jin, Ji young Moon, Sang bok Ha, Baldwin Wong, Kyung rok Kwon, Zhuoyao(Peter) Li, Sung moon Kim, Jun tae KimTradition and Modernity and Korean Political Philosophy
K-MOOC 성균관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센터 Bi hwan Kim, Yutang Jin, Ji young Moon, Sang bok Ha, Baldwin Wong, Kyung rok Kwon, Zhuoyao(Peter) Li, Sung moon Kim, Jun tae Kim한국 현대 시 1
ArirangTV 아리랑국제방송한국 근대문학과 역사적 기억
고려대학교 강은진현대작가론
창원대학교 윤애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