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세ㆍ근대국어 주격조사 연구의 쟁점과 과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381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중세․근대국어의 주격조사 및 주어를 표시하는 의존요소를 다룬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 쟁점별로 그 성과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 것이다. 본고에서 다루는 주어표지에는 주격조사 ‘이’와 ‘가’, 존재동사의 활용형 “이셔”, “겨셔”, “겨오셔”, “겨ᄋᆞᆸ셔”, 탈격의 “에셔”, “의게셔”, “ᄭᅴ셔” 등이 포함된다. 선행연구들에는 이들의 기원과 형성과정을 논한 것이 많았고, 이에 따라 본고에서도 주어표지들의 기원과 형성과정이 논의의 중심에 놓여 있다. 공시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으로 이들은 대개 이형태와 그 교체 조건을 다룬 초기의 연구들이다. 한편, 최근에는 인접 언어들이나 동계의 다른 언어들을 참고하거나 인간의 보편적 인지 능력으로부터 언어 변화의 동기를 설명하는 방법론을 활용한 연구가 늘고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중세․근대국어의 주격조사 및 주어를 표시하는 의존요소를 다룬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 쟁점별로 그 성과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 것이다. 본고에서 다루는 ...

      본고는 중세․근대국어의 주격조사 및 주어를 표시하는 의존요소를 다룬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 쟁점별로 그 성과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 것이다. 본고에서 다루는 주어표지에는 주격조사 ‘이’와 ‘가’, 존재동사의 활용형 “이셔”, “겨셔”, “겨오셔”, “겨ᄋᆞᆸ셔”, 탈격의 “에셔”, “의게셔”, “ᄭᅴ셔” 등이 포함된다. 선행연구들에는 이들의 기원과 형성과정을 논한 것이 많았고, 이에 따라 본고에서도 주어표지들의 기원과 형성과정이 논의의 중심에 놓여 있다. 공시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으로 이들은 대개 이형태와 그 교체 조건을 다룬 초기의 연구들이다. 한편, 최근에는 인접 언어들이나 동계의 다른 언어들을 참고하거나 인간의 보편적 인지 능력으로부터 언어 변화의 동기를 설명하는 방법론을 활용한 연구가 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previous literature on nominative case markers of Middle Korean and Modern Korean, and to suggest directions on this matter for the future studies. The markers dealt with are:nominatives I(이) and ka(가), inflection forms of existential verbs isye(이셔), kyesye(겨셔), kyeopsye(겨ᄋᆞᆸ셔) and kyewosye(겨오셔), and ablatives eysye(에셔), uykeysye(의게셔), and skuysye(ᄭᅴ셔). The paper focuses mainly on etymologies of them, including their origins and the historical paths. Some of them are not neglectable despite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i could have been developed from Ancient Korean genitive *i; ka, could have been loaned from Japanese nominative ga; and skuysye might have been formed by blending kyesye, kyeopsye etc. and skuysye.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previous literature on nominative case markers of Middle Korean and Modern Korean, and to suggest directions on this matter for the future studies. The markers dealt with are:nominatives I(이) and ka(가), inflection f...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previous literature on nominative case markers of Middle Korean and Modern Korean, and to suggest directions on this matter for the future studies. The markers dealt with are:nominatives I(이) and ka(가), inflection forms of existential verbs isye(이셔), kyesye(겨셔), kyeopsye(겨ᄋᆞᆸ셔) and kyewosye(겨오셔), and ablatives eysye(에셔), uykeysye(의게셔), and skuysye(ᄭᅴ셔). The paper focuses mainly on etymologies of them, including their origins and the historical paths. Some of them are not neglectable despite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i could have been developed from Ancient Korean genitive *i; ka, could have been loaned from Japanese nominative ga; and skuysye might have been formed by blending kyesye, kyeopsye etc. and skuysy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도입
      • 2. 용어와 개념
      • 3. 중세ㆍ근대국어 주격조사 연구의 쟁점
      • 4. 종합논의
      • 요약
      • 1. 도입
      • 2. 용어와 개념
      • 3. 중세ㆍ근대국어 주격조사 연구의 쟁점
      • 4. 종합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광수, "?大明律直解?에 나타난 主語와 主題表現에 대하여" 한국어학회 20 : 97-127, 2003

      2 이현희, "한일어학논총 (남학 이종철 선생 회갑 기념 논총)" 국학자료원 523-585, 1995

      3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2005

      4 가와사키케이고, "토론:중세․근대국어 주격조사 연구의 쟁점과 과제" 국어사학회 2016

      5 정연규, "주격조사 「이」 「가」와 주제조사 「는」의 통시적 고찰" 언어과학회 7 : 103-111, 1990

      6 박명동, "주격조사 ‘이가’" 한국국어교육학회 53 : 247-254, 1996

      7 고광모, "주격조사 ‘-가’의 발달"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68) : 93-118, 2014

      8 李崇寧, "주격 “가”의 발달과 그 해석" 국어국문학회 19 : 53-57, 1958

      9 최영환, "조사 ‘이/ㅣ’에 대한 연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39 : 115-147, 1990

      10 박진수, "일본어 서사문학 텍스트에 있어서의 시점:전근대의 <초월적․중층적 시점>과 근대의 <중심적 시점>" 동경대학교 2000

      1 성광수, "?大明律直解?에 나타난 主語와 主題表現에 대하여" 한국어학회 20 : 97-127, 2003

      2 이현희, "한일어학논총 (남학 이종철 선생 회갑 기념 논총)" 국학자료원 523-585, 1995

      3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2005

      4 가와사키케이고, "토론:중세․근대국어 주격조사 연구의 쟁점과 과제" 국어사학회 2016

      5 정연규, "주격조사 「이」 「가」와 주제조사 「는」의 통시적 고찰" 언어과학회 7 : 103-111, 1990

      6 박명동, "주격조사 ‘이가’" 한국국어교육학회 53 : 247-254, 1996

      7 고광모, "주격조사 ‘-가’의 발달"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68) : 93-118, 2014

      8 李崇寧, "주격 “가”의 발달과 그 해석" 국어국문학회 19 : 53-57, 1958

      9 최영환, "조사 ‘이/ㅣ’에 대한 연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39 : 115-147, 1990

      10 박진수, "일본어 서사문학 텍스트에 있어서의 시점:전근대의 <초월적․중층적 시점>과 근대의 <중심적 시점>" 동경대학교 2000

      11 배대온, "이두 주격에 대하여:대명률직해를 중심으로" 배달말학회 7 : 75-98, 1982

      12 이현희, "우리말 연구 서른아홉마당" 태학사 629-641, 2005

      13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8

      14 허웅, "우리 옛말본" 샘 문화사 2000

      15 崔鉉培, "안갖음움직씨 “닥다”에 대하여:“닥아”와 “다가”의 변" 한글학회 118 : 29-32, 1956

      16 박진호, "신라의 언어와 문학" 신라사대계편집위원회, 경상북도문화재재단법인연구원 124-155,

      17 박진호, "속격에서 주격으로" 한국사전학회․한국언어유형론학회 81-94, 2016

      18 김민국, "부사격 조사 ‘로서’ 주어에 대한 연구" 한국어학회 60 : 111-142, 2013

      19 崔鉉培, "다시 “닥다, 닥아, 닥이다”에 대하여" 한글학회 127 : 7-27, 1960

      20 洪允杓, "근대국어의 통사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2 : 273-282, 1992

      21 이태영, "근대국어 {-끠셔}, {-겨셔}의 변천과정 재론" 주시경연구소 8 : 88-107, 1991

      22 박진호, "규장각 소장 구결자료 능엄경 2종에 대하여" 구결학회 1 : 73-93, 1996

      23 최문길, "국어격의 사적 고찰" 한국국어교육연구회 57 : 101-124, 1986

      24 李羲斗, "국어 존칭 형태의 변화에 대한 연구" 又石大學校 大學院 1998

      25 이기갑, "국어 방언 문법" 태학사 2003

      26 이호승, "국어 격 범주의 성격과 격 체계의 설정" 한국어문학회 (117) : 39-67, 2012

      27 박종덕, "고대국어 주격조사 형태와 그 음운론적 해석 - 향가를 토대로 중세국어와 연계하여 -" 온지학회 (27) : 359-382, 2011

      28 洪允杓, "近代國語의 格硏究(Ⅰ)" 국어문학회 20 : 233-268, 1979

      29 金一根, "諺簡의 硏究" 건국대출판부 1998

      30 安明哲, "補助助詞 ‘-서’의 意味" 국어학회 14 : 478-506, 1985

      31 黃善燁, "第8回 國際譯學書學會學術會議預稿集" 국제역학서학회 283-291, 2016

      32 徐在克, "童山申泰植博士頌壽紀念論叢" 계명대학교 출판부 139-145, 1969

      33 金一根, "孝宗大王 在瀋陽 諺簡의 問題點:主格助詞<가>의 最初記錄" 건국대학교 5 : 19-27, 1969

      34 李熙昇, "存在詞 ‘있다’에 대하여:그 形態要素로서의 發展에 對한 고찰" 서울대학교 3 : 17-47, 1956

      35 박양규, "國語의 處格에 대한 硏究:統合上의 特徵을 中心으로" 국어연구회,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7 : 1972

      36 李基文, "國語史改設" 태학사 1998

      37 金芳漢, "國語主格接尾辭 ‘이’考" 서울대학교 5 : 67-106, 1957

      38 石原六三, "古代日本語の格助詞と称せられる「イ」と朝鮮語の格助詞「oli」に就いて" 2 : 17-33, 1950

      39 洪允杓, "助詞에 의한 敬語法 表示의 變遷" 국어학회 14 : 75-98, 1985

      40 李承旭, "副動詞의 虛辭化" 진단학회 51 : 183-202, 1981

      41 김현주, "主語 標識 {-께서}의 形成에 대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1 (41): 133-159, 2013

      42 洪允杓, "主格語尾 「-가」에 대하여" 국어학회 3 : 65-91, 1975

      43 이병선, "主格助詞 硏究:古代國語 主格助詞와 「가」의 發達을 中心으로" 국어국문학회 72․73 : 15-45, 1976

      44 李基白, "主格助詞 “이”에 對한 硏究" 한국어문학회 2 : 94-124, 1958

      45 南廣祐, "主格助詞 “가”에 대하여:註釋의 立場에서" 중앙대학교 4 : 11-17, 1957

      46 金炯秀, "主格 “이”의 語原에 對하여" 한국어문학회 17 : 67-83, 1967

      47 유구상, "主格 “-께서” 攷" 한국국어교육학회 14 : 95-114, 1970

      48 鄭光, "主格 ‘가’의 發達에 對하여:근대국어 자료의 해석을 중심으로" 2 : 1968

      49 安秉禧, "中世國語文法論" 學硏社 1990

      50 李崇寧, "中世國語文法" 乙酉文化史 1981

      51 이현희, "‘멀리서’의 통시적 문법"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31 : 25-93, 2006

      52 김현주, "‘-이서’의 기원에 대한 일고찰" 아시아문화연구소 37 : 61-82, 2015

      53 Palancar, Enrique, "The origin of agent markers" Akad. Verl 2002

      54 Bybee, Joan, "The evolution of grammar:tense, aspect and modality in the languages of the worl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55 Givón, Talmy, "Syntax:a functional-typological introduction"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1

      56 Li, Charles N., "Subject and topic" Academic Press 457-489, 1976

      57 Ramstedt, G. J., "Studies in Korean etymology" 1949

      58 Traugott, Elizabeth Closs, "Regularity in semantic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59 Brinton, Laurel J., "Lexicalization and languag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60 허웅, "16세기 우리 옛말본" 샘 문화사 1989

      61 鄭寅承, ""다그다"와"다가"가 큰 사전에 어찌 실렸나?" 한글학회 119 : 33-39, 19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어사연구(학회지 명칭 변경) -> 국어사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4-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어사자료학회 -> 국어사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62 1.345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