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朝鮮後期 王陵 石人 彫刻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747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왕릉 석물은 조선시대 조각사를 대표하는 수준 높고 격조 있는 조각이며,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는 의례용 조각품이다. 조선시대 왕릉 석물들은 국가왕실의 조직적 주도 아래 당대의 솜씨 있...

      왕릉 석물은 조선시대 조각사를 대표하는 수준 높고 격조 있는 조각이며,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는 의례용 조각품이다. 조선시대 왕릉 석물들은 국가왕실의 조직적 주도 아래 당대의 솜씨 있는 畵員과 장인들이 제한된 시간 내에 응집하여 역량을 발휘한, 당대 문화의 정수이다. 특히 조선후기는 왕릉 석물 제작에 따른 일체의 작업과정을 기록한 山陵都監義軌가 현전하여 제작연대를 추정할 수 있어 미술사연구의 주요 편년자료가 된다.
      조선후기 왕릉 석물 설치의 문헌상 기준이 된 것은 『國朝續五禮儀』(1744)와 『續大典』(1746)이다. 또한『國朝喪禮補編』(1752)과 『春官通考』(1787) 등에는 문무인석 圖說이 등장하여 문헌상의 규정을 알 수 있고, 의궤에서는 『顯隆園園所都監儀軌』(1789), 健陵山陵都監儀軌』(1800) 등에서 각종 석물의 도설과 규격 등을 제시하고 있다.
      왕릉 석물의 밑그림은 대부석소 소속의 회원이 그린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起畵’ 제작단계에서 석물의 도상과 종류, 형태, 치수 등의 밑그림과 마무리단계에서의 후일에 참고로 삼기 위해 만드는 의궤의 도설을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1789년 『현륭원산릉도감의궤』의 석인 도설은 화원 ‘許?’이 그린 것으로 보이고, 正祖健陵山陵都監(1800)에는 화원 金應洙가, 文祖綏陵山陵都監 (1846)에는 화원 劉運弘이 참여하여 도설을 그런 것으로 보인다. 특히 건릉과 수릉의 석인은 도설과 매우 유사하여 18-19세기에 이르면 석물제작에 있어서 대부석소 소속 화원의 역할이 점점 증대됨을 알 수 있다.
      산릉도감의궤에 의하면 조선후기 왕릉 석물을 조각한 장인은 ‘石手’이고, 그 석수의 우두머리는 ‘邊手’라고 불렀다. 석수 중 가장 많은 작품을 남긴 변수 그룹은 17세기 중반-18세기 초반까지 활약한 李希善, 李景立, 崔天男 그룹이다. 이들이 만든 왕릉 석물은 寧陵(1674), 崇陵(1675), 翼陸(1680), 徽陸(1688) 등인데 이들은 매우 웅장하고 장대한 특정을 지니고 있다. 1701년 인현왕후 明陵을 기점으로 하여 새로운 경향이 나타나 석물의 간소화 경향이 짙어지는데, 이전의 장대하고 단순한 석물을 보다 정교하고 자유스러운 표현이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18세기 중반의 朴弼心, 崔萬成 변수 그룹은 弘陵(1757)과 인원왕후 明陵(1757)의 석인을 만들었다. 이후 18세기 金大輝, 鄭有福 석수 그룹은 왕릉에서는 처음으로 양관조복을 갖춘 문인석이 등장하고, 양당식 갑옷 및 삼지창형투구 등 현실의 복식을 반영한 석인이 등장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one attendants, protecting royal tombs, are major figures decorating tombs and showing The dignity of a royal family, Stone attendants look majestic and strong, and their shapes are rather more abstract than realistic and are very rigid so that they...

      Stone attendants, protecting royal tombs, are major figures decorating tombs and showing The dignity of a royal family, Stone attendants look majestic and strong, and their shapes are rather more abstract than realistic and are very rigid so that they emphasize their main function of protecting and decorating The tomb.
      Stone figures of royal tombs in the Joseon Dynasty have historiographical value because they are inscribed with the exact year of their production, and many different tombs, both royal and aristocratic tombs, remain in Korea, Particularly stone statues of royal tombs of The late Joseon Dynasty have higher an historical value because it is possible to trace the exact year, the procedure of calving, and The artists and their schools from The ceremonial document which are called Sanreungdogam uigue (山陵都監儀軌). I deal with all stone attendants in royal and aristocrat tombs focused o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in my theses.
      The form and style of stone figures of royal tombs in the late Joseon period originated from Hyeonjeongreung (the royal tomb of King Gongmim of the Koryo Dynasty, 1372) and Geonwonreung (The royal tomb of King Taejo of the Joseon Dynasty, 1408) under The influence of tombs of the Song and Ming Dynasties of China. But Jeoson tombs also developed unique compositions and styles such as The folding-screen-style stone. tomb rail stone, and lantern Also stone figures of tills period reveal details of The face and The cloth of the period realistically.
      Sanreungdogam took the responsibility for construction of royal tombs in the Joseon period and they published ceremonial documents called Sanreungdogam uigwe. According to this record, the department of Daebuseokso (大浮石所). Head sculptor, called Byeonsu (邊首),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stone figures and it took four to eight months for the completion of stone figures for one tomb. Many figures remain of the sculptors of Yi Huiseon (李希善), Yi Gyeongnip (李景立), and Choi Cheonnam (崔天男), and the sculptors of Bak Pilsim (朴弼心) and Choi Manseong (崔萬成) who made the stone figures in Hongreung (弘陵, 1757) and Myeongreung (明陵, 1757). These sculptor were famous for beautiful and delicate figures.
      The characteristic of the 17th century is the square-shaped body of figures. They are composed of three body portions which are the head, the upper and d1e lower parts of the body. This period formalized very abstract shapes which have no curves in the shape of the body and rigid and heavy figures. The typical examples of this period are the figures in Sungreung (崇陵, 1675), Ikreung (翼陵, 1680), Hwireung (徽陵, 1688).
      The figures of the later of 18d1 century have a very natural and realistic composition. with beautiful curves to the body,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face. and the delicate engraving of cloth. The representative works of this period are the figures in Hongreung (弘陵, 1757), Myeongreung (明陵, 1757), Yungreung (隆陵, 1787), Geonreung (健陵, 1800).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조선후기 왕릉 석물의 문헌규정과 석물의 배치
      • Ⅲ. 조선후기 왕릉의 ‘石手’와 ‘起畵’
      • Ⅳ. 조선후기 왕릉 석인의 미술사적 특징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조선후기 왕릉 석물의 문헌규정과 석물의 배치
      • Ⅲ. 조선후기 왕릉의 ‘石手’와 ‘起畵’
      • Ⅳ. 조선후기 왕릉 석인의 미술사적 특징
      • Ⅴ. 맺음말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2 1.04 1.59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