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인수 합병된 C기업의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과 집단응집력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수 합병된 C기업의 구성원 4...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549533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기업교육전공 , 2017. 8
2017
한국어
서울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and group cohesion in merged C corporations
iv, 79장 ; 26 cm
지도교수: 조대연
부록수록
참고문헌: 장 60-7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인수 합병된 C기업의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과 집단응집력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수 합병된 C기업의 구성원 4...
본 연구의 목적은 인수 합병된 C기업의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과 집단응집력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수 합병된 C기업의
구성원 430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316부의 설문지를 유효
자료로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분석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실증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인수 합병된 C기업의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은 집단응집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의 하위요인 중 공유된 비전과 협력, 피드백, 리더십 순으로 집단응집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의 참여적 의사결정과 개인개발은 집단응집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인수 합병된 C기업의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은 집단응집력의 하위변인인 과제응집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의 하위변인 중 공유된 비전과 협력, 리더십 순으로 과제응집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수 합병된 C기업의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은 집단응집력의 하위변인인 사회응집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의 하위 변인 중 피드백, 공유된 비전과 협력 순으로 사회응집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수 합병된 C기업의
조직학습 역량을 향상시키면 집단응집력은 강화된다. 둘째, 인수 합병된 C기업의 조직학습
역량을 향상시키면 집단응집력의 하위변인인 과제응집력이 강화된다. 셋째, 인수 합병된
C기업의 조직학습 역량을 향상시키면 집단응집력의 하위변인인 사회응집력이 강화된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해 본 연구는 인수 합병된 C기업에 몇 가지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and group cohesion in merged C corporation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f 430 employees in C corporations, and fin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and group cohesion in merged C corporation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f 430 employees in C corporations, and finally 316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18.0(Korean version) was used to analyze collected data. Factor analyses, correlation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dd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in merged C corporation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group cohesion. Second,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in merged C corporation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ask cohesion, which is a subvariable of group cohesion. Third,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in merged C corporations had sta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cohesion, which is a subvariable of group cohes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cohesion in merged C corporations can be enhanced by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Second, the task cohesion which is a subvariable of group cohesion in merged C corporations can be enhanced by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Third, the social cohesion which is a subvariable of group cohesion in merged C corporations can be enhanced by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merged C corporation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