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에서의 평생교육담당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감성지능과 다문화 경험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통해 다문화 사회에서 적합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545728
서울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평생교육) 평생교육 , 2014. 8
2014
한국어
374
서울
79 p. ; 26 cm
지도교수: 이희수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에서의 평생교육담당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감성지능과 다문화 경험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통해 다문화 사회에서 적합한...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에서의 평생교육담당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감성지능과 다문화 경험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통해 다문화 사회에서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는 평생교육담당자의 다문화 효능감을 향상시키는 요인을 밝히고, 평생교육영역에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평생교육담당자의 감성지능이 다문화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평생교육담당자의 다문화 경험이 다문화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평생교육담당자의 감성지능과 다문화 경험을 독립 변인으로, 평생교육담당자의 다문화 효능감을 종속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법에서 인정하는 평생교육기관에서 평생교육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모든 종사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 이유는 다문화 사회에서 평생교육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평생교육담당자의 역량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온라인과 설문지 직접 배포를 통해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236부를 회수하였다. 그 중 불성실한 응답지 29부를 제외한 20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담당자의 감성지능은 다문화 효능감에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감성지능의 네 가지 하위 요소 중 ‘타인감성이해’를 제외한 ‘감성 조절’, ‘자기감성이해’, 그리고 ‘감성 활용’ 순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둘째, 형식적 다문화 경험은 유의한 변인으로 추출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비형식 다문화 경험이 많을수록 다문화적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다문화 사회에서 평생교육담당자의 다문화 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는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담당자의 다문화 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인의 감성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그 외에 자기감성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둘째,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평생교육담당자의 다문화적 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평생교육담당자 양성과정에서 학교, 친구, 해외여행 등과 비슷한 개인과 밀접한 비형식적 경험을 확대할 수 있는 역량 개발 프로그램이나 교육 환경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후속 연구를 위해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개인의 내적 요소인 감성지능과 시대적 변화에 따른 다문화 효능감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이 두 변인 간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수도권 내의 평생교육담당자로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 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다. 전체적으로는 수도권 내에 외국인 분포도가 높지만, 결혼 이주 여성, 외국인 노동자 등 다문화 사람들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에서 근무하는 평생교육담당자들을 대상으로 더 폭 넓은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다문화 사회에서 평생학습 환경에 본질적인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문화 배경을 가진 학습자뿐만 아니라 기존의 학습자가 다문화 사회를 올바르게 받아들여야 한다. 이를 위해 평생교육담당자에게 어떠한 역량이 필요한지, 그들의 다문화 효능감이 이러한 환경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활발히 연구해야 할 것을 제언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lifelong education practition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multi-cultural experiences on their multi-cultural efficacy in multi-cultural societ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or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lifelong education practition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multi-cultural experiences on their multi-cultural efficacy in multi-cultural societ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or this study. First, is lifelong education practitioner's emotional intelligence a positive impact on their multi-cultural efficacy? Second, are lifelong education practitioner's multi-cultural experiences a positive impact on their multi-cultural efficacy?
To be solved this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treats lifelong education practition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multi-cultural experiences as two independent variables, lifelong education practitioner's multi-cultural efficacy as dependent variable.
The target population for the study is the lifelong education practitioners who work in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approved by Lifelong education Act. They were asked to answer by on-line and off-line survey, so that they conduct self-report. Among 250 of handed out questionnaires 236 were retrieved, and 29 of 236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due to inappropriate answers.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a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multi-cultural efficacy, lifelong education practitioner's emotional intelligen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ulti-cultural efficacy. The higher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is, the higher their multi-cultural efficacy i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a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xperiences and multi-cultural efficacy, formal multi-cultural experiences didn't impact on their multi-cultural efficacy. But informal multi-cultural experiences did impact on that.
The findings mentioned above give the following key implications to help the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practitioners competency.
First,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efficacy of lifelong education practitioner,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abilities to be control emotion of individuals and to pay attention to the abilities to understand and control emotion.
Second, by providing lifelong education practitioner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experience informal multi-cultural situation, their cultural competence should be able to be increase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