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Issues in Education and Qualification of Vocational Evaluators 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152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직업능력평가사 양성 및 자격제도 현안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직업능력평가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직업능력평가사 양성과 자격제도에 관한 인터넷 자료를 검색하였고, 논문 등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인에게 직업능력평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법적 근거는 비교적 잘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애등급제 개편에 따라 관련 직업능력평가사의 국가자격 인증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한국직업재활학회 자격분과위원회에서 인정하고 있는 자격연수 과정은 지식과 기술 영역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학과목의 명칭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었고, CRCC의 CVEs 매뉴얼을 참조하여 국내 실정에 맞게 활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미국은 직업능력평가사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고찰에서 유사성이 발견되었으나 자격제도의 운영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문헌고찰 결과, 장애인고용공단과 자격제도의 운영에 관한 협력체계가 필요하고, 실습장소 확보, 역할정체성 문제 해결 및 슈퍼비전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능력평가사 양성과 자격제도의 효율적 운영 및 관리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직업능력평가사 양성 및 자격제도 현안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직업능력평가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직업능력평가사 양성과 ...

      이 연구는 직업능력평가사 양성 및 자격제도 현안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직업능력평가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과제를 제안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직업능력평가사 양성과 자격제도에 관한 인터넷 자료를 검색하였고, 논문 등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인에게 직업능력평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법적 근거는 비교적 잘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애등급제 개편에 따라 관련 직업능력평가사의 국가자격 인증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한국직업재활학회 자격분과위원회에서 인정하고 있는 자격연수 과정은 지식과 기술 영역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학과목의 명칭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었고, CRCC의 CVEs 매뉴얼을 참조하여 국내 실정에 맞게 활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미국은 직업능력평가사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고찰에서 유사성이 발견되었으나 자격제도의 운영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문헌고찰 결과, 장애인고용공단과 자격제도의 운영에 관한 협력체계가 필요하고, 실습장소 확보, 역할정체성 문제 해결 및 슈퍼비전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능력평가사 양성과 자격제도의 효율적 운영 및 관리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issues in education and qualification of vocational evaluators and to suggest tasks for effective vocational evaluation services.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article reviews were performed, along with a comprehensive internet search, focusing on education and qualification features of vocational evaluators. The review results were as follows: The legal foundation of providing vocational evaluation services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has been well established, however the conversion of the private vocational evaluation certificate into a nationally recognized certificate was addressed with an emergence of a new disability rating system. The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or workshop), organized by the KSVR and its affiliated associations, was found to have focused on course work titles rather than focusing on knowledge and skill domains, suggesting that the CVEs manual of CRCC needs to be utilized with appropriate revisions. Admitting the overall similarity in role and function of vocational evaluators, manageab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found in carrying out the qualification system. In summarizing the reviews, suggestions were made to include the cooperation with KEPAD in running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the diversification of practicum or internship sites, the establishment of role identity, and the necessity of providing supervisions. The issues in education and qualification of vocational evaluators were discussed, along with an effective management of vocational evaluation certificate.
      번역하기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issues in education and qualification of vocational evaluators and to suggest tasks for effective vocational evaluation services.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article reviews were performed, along with a comprehens...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issues in education and qualification of vocational evaluators and to suggest tasks for effective vocational evaluation services.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article reviews were performed, along with a comprehensive internet search, focusing on education and qualification features of vocational evaluators. The review results were as follows: The legal foundation of providing vocational evaluation services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has been well established, however the conversion of the private vocational evaluation certificate into a nationally recognized certificate was addressed with an emergence of a new disability rating system. The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or workshop), organized by the KSVR and its affiliated associations, was found to have focused on course work titles rather than focusing on knowledge and skill domains, suggesting that the CVEs manual of CRCC needs to be utilized with appropriate revisions. Admitting the overall similarity in role and function of vocational evaluators, manageab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found in carrying out the qualification system. In summarizing the reviews, suggestions were made to include the cooperation with KEPAD in running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the diversification of practicum or internship sites, the establishment of role identity, and the necessity of providing supervisions. The issues in education and qualification of vocational evaluators were discussed, along with an effective management of vocational evaluation certificat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Ⅱ. Legal & Educational Basis in Vocational Evaluation Ⅲ. Issues in Qualification of Vocational Evaluator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s
      • Ⅰ. Introduction Ⅱ. Legal & Educational Basis in Vocational Evaluation Ⅲ. Issues in Qualification of Vocational Evaluator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희찬, "직업평가사 자격 구분과 교부 및 양성 교육과정"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47-68, 2010

      2 이수용, "직업재활실습이 예비직업재활사의 전문성에 미치는 요인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23 (23): 27-46, 2013

      3 조주현, "직업재활과정에서 직업평가사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49 : 225-242, 2007

      4 강윤주, "직업재활 전공학생의 실습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지도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5 (15): 5-23, 2005

      5 정승원, "직업능력평가사의 역할과 자격제도를 위한 과제" 한국직업재활학회 25 (25): 5-39, 2015

      6 김성회, "직업능력평가사 역할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5 (15): 45-69, 2005

      7 최국환, "재활상담사 국가자격제도 시행 및 윤리강령 제정을 위한 실천적 과제" 한국직업재활학회 24 (24): 105-127, 2014

      8 최국환, "재활상담 교수요목 개발 및 운영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재활심리학회 19 (19): 547-567, 2012

      9 최국환, "장애인재활상담사 국가자격제도, 양성교육과 역할에 관한 고찰 및 재활상담의 과제" 한국직업재활학회 29 (29): 119-140, 2019

      10 김성진, "수형 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8 (18): 57-80, 2008

      1 박희찬, "직업평가사 자격 구분과 교부 및 양성 교육과정"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47-68, 2010

      2 이수용, "직업재활실습이 예비직업재활사의 전문성에 미치는 요인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23 (23): 27-46, 2013

      3 조주현, "직업재활과정에서 직업평가사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49 : 225-242, 2007

      4 강윤주, "직업재활 전공학생의 실습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지도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5 (15): 5-23, 2005

      5 정승원, "직업능력평가사의 역할과 자격제도를 위한 과제" 한국직업재활학회 25 (25): 5-39, 2015

      6 김성회, "직업능력평가사 역할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5 (15): 45-69, 2005

      7 최국환, "재활상담사 국가자격제도 시행 및 윤리강령 제정을 위한 실천적 과제" 한국직업재활학회 24 (24): 105-127, 2014

      8 최국환, "재활상담 교수요목 개발 및 운영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재활심리학회 19 (19): 547-567, 2012

      9 최국환, "장애인재활상담사 국가자격제도, 양성교육과 역할에 관한 고찰 및 재활상담의 과제" 한국직업재활학회 29 (29): 119-140, 2019

      10 김성진, "수형 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8 (18): 57-80, 2008

      11 Lloyd, C., "Vocational evaluation in f forensic psychiatric setting" 53 (53): 31-35, 1986

      12 Platt, J. S., "Vocational education in corrections: A piece of a Bigger Pie" 7 (7): 48-55, 1986

      13 Na, W., "The study of educational training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 10 (10): 61-80, 2000

      14 Lee, S., "The role and task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s in mental health fields" Korea Societ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73-100, 2012

      15 Hamilton, M., "The role and function of certified vocational evaluation specialists" 71 (71): 5-19, 2005

      16 Lee, S., "Task for the adoption of the qualification system of vocational evaluators" 7-35, 2011

      17 Ablenews, "Revocation of disability rating system: Preparation for the criteria of vocational disability"

      18 KSVR, "Qualification system of vocational evaluator"

      19 VECAP, "Professional certification"

      20 Kang, W., "Introduction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Na-um House 2009

      21 Rubin, S. E., "Foundations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cess" Pro-ed 2008

      22 Alsaman, M. A., "Effectiveness of training for international counseling graduates" 28 (28): 66-79, 2014

      23 Thomas, K. R., "Consumerism vs. clientism: A reply to Nosek" 11-12, 1993

      24 KASW, "Code of ethics"

      25 KCPA, "Code of ethics"

      26 US Department of Education, "Careers in rehabilitation: Vocational evaluation and work adjustment"

      27 Sharf, R. S., "Applying career development theory to counseling" Wadsworth 1992

      28 Shin, H., "An analysis of knowledge requirement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23 (23): 5-26, 2013

      29 Lee, D., "A study on the manpower development field of vocational evaluation" 1 (1): 28-50, 1997

      30 Tarvydas, V., "A new ethic code as a tool for innovations in ethical practice" 53 (53): 195-196, 2010

      31 Power, P. W., "A guide to vocational assessment" Pro-ed 2013

      32 Cho, S., "A Source book of the 2019 Annual Conference entitled on the occupational outlook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World of Work" The Korea Association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and the Korea Societ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2019

      33 KEPAD, "2018 statistics of the disabled persons" Korea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s (KEDI)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9-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Rehabilitation of Persons Disabilies -> Rehabilitation Research Institute affiliated with RI Korea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1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Mycobiology -> 재활복지
      외국어명 : Mycobiology ->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 1.1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7 1.537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