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초 국내에서 처음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이래 감염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조치로 사회적 거리두기, 단체모임 금지 등의 방역 조치가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대응은 공적 돌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119007
2022
Korean
코로나19 ; 사회복지실천 ; 주관성 ; 인식유형 ; COVID-19 ; Social Welfare Practices ; Subjectivity ; Recognition Type
KCI등재
학술저널
73-93(2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20년 초 국내에서 처음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이래 감염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조치로 사회적 거리두기, 단체모임 금지 등의 방역 조치가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대응은 공적 돌봄...
2020년 초 국내에서 처음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이래 감염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조치로 사회적 거리두기, 단체모임 금지 등의 방역 조치가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대응은 공적 돌봄에 대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아동, 장애인, 노인들의 서비스 중단 및 제약을 가져왔고, 또 다른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해결과 관련된 사회복지실천 현장 관계자들의 경험에 기반한 주관적 인식을 유형화하여 그 특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실천 현장 관련자들의 FGI와 선행연구 탐색을 통해 Q 모집단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최종 29개의 Q 표본을 선정, 총 45명의 P샘플로 조사한 자료를 QUAN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획일적인 사회복지실천보다 유형별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4가지 인식유형이 발견되었다. 첫째, 지역 이용자 중심의 찾아가는 서비스 실현을 위해 민관협력 네트워크가 중요하다는‘지역사회 네트워크 기반의 사회복지실천 강조형’, 두 번째, 취약계층의 맞춤형 서비스를 강조하는‘불평등 주목형’, 세 번째, 새로운 복지서비스 요구들이 코로나19에 따른 것이 아닌 사회복지 환경 구조의 문제에 따른 것이라는 ‘새로운 변화에 대한 사회복지의 구조적 변화 인식형’, 마지막은, 사회복지의 위축보다 사회복지 영역 확대 및 대처방식의 변화 필요성을 강조하는 ‘사회적 재난에 대한 사회복지실천 인식형’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각 유형의 인식 유형별 차이를 이해하고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대처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해 보았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유진 ; 박순미, "현장의 경험을 통해 살펴본 코로나 위드 시대의 노인돌봄: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하는가?" 사회복지연구소 67 : 89-121, 2020
2 강호권, "한국의 복합재난 대응을 위한 위기관리시스템 운영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대학원 2020
3 박고은 ; 김규혜, "필수노동자의 일터 위험은 재난 시기에 어떻게 확대 (재)생산되는가: 코로나19와 성동구 돌봄노동자 사례를 중심으로"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71) : 83-124, 2021
4 김남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현황과 과제" 373 : 1-13, 2020
5 김보영, "코로나19의 시대, 사회서비스의 정책적 과제와 비전에 대한 탐색"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70) : 43-71, 2021
6 김지우 ; 김나영 ; 남재현, "코로나19와 불평등 -코로나19가 아동의 인적자본투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회 70 (70): 167-195, 2021
7 최송식 ; 권혜민, "코로나19에 대한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대응과 실천과제" 사회복지정책실천회 7 (7): 5-57, 2021
8 성기옥 ; 김수진 ; 문정화, "코로나19로 인한 생활변화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소 18 (18): 99-129, 2021
9 남궁은하, "코로나19로 인한 노인 생활의 변화와 정책 과제" 300 : 71-84, 2021
10 전재일, "코로나19, 지역사회 대응과 민관협력 사례(신림종합사회복지관)" 215 : 48-50, 2020
1 김유진 ; 박순미, "현장의 경험을 통해 살펴본 코로나 위드 시대의 노인돌봄: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하는가?" 사회복지연구소 67 : 89-121, 2020
2 강호권, "한국의 복합재난 대응을 위한 위기관리시스템 운영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대학원 2020
3 박고은 ; 김규혜, "필수노동자의 일터 위험은 재난 시기에 어떻게 확대 (재)생산되는가: 코로나19와 성동구 돌봄노동자 사례를 중심으로"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71) : 83-124, 2021
4 김남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현황과 과제" 373 : 1-13, 2020
5 김보영, "코로나19의 시대, 사회서비스의 정책적 과제와 비전에 대한 탐색"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70) : 43-71, 2021
6 김지우 ; 김나영 ; 남재현, "코로나19와 불평등 -코로나19가 아동의 인적자본투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회 70 (70): 167-195, 2021
7 최송식 ; 권혜민, "코로나19에 대한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대응과 실천과제" 사회복지정책실천회 7 (7): 5-57, 2021
8 성기옥 ; 김수진 ; 문정화, "코로나19로 인한 생활변화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소 18 (18): 99-129, 2021
9 남궁은하, "코로나19로 인한 노인 생활의 변화와 정책 과제" 300 : 71-84, 2021
10 전재일, "코로나19, 지역사회 대응과 민관협력 사례(신림종합사회복지관)" 215 : 48-50, 2020
11 윤홍식,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과 복지국가의 정치경제학: 위기 이후 복지국가의 길‘들’"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68) : 113-142, 2020
12 김지혜 ; 오충원 ; 남이해,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 상황에서 시각장애인의 경험과 서비스 욕구에 대한 질적연구" 사회복지정책실천회 7 (7): 177-210, 2021
13 송지연,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한국 노동시장과 사회복지제도에 대한 대안으로 기본소득 검토"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29 (29): 107-140, 2021
14 김석주 ; 허숙민, "코로나19 재가형 긴급돌봄서비스의 탐색적 연구 : 대구시사회서비스원 긴급돌봄서비스지원단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77) : 255-281, 2021
15 이재훈, "코로나19 위기와 외국의 사회보장 대응" 사회공공연구원 2021
16 서종녀, "코로나19 대응 사회복지시설 현황과 과제" 서울시복지재단 2020
17 박주영 ; 신미아, "코로나19 대유행 시기 독거노인의 성별에 따른 우울감 경험 비교연구" 인문사회 21 12 (12): 2155-2170, 2021
18 김고은 ; 김정인,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에서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발달장애인 대상 서비스 지원 경험"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12 (12): 161-195, 2021
19 김윤정 ; 문순영 ; 이윤화, "코로나19 감염병 재난 속 사회복지사의 경험과 과제" 한국웰니스학회 16 (16): 10-18, 2021
20 신혜리 ; 윤태영 ; 김수경 ; 김영선, "코로나 팬더믹 사태의 고령자 일상생활 변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기술 사용과 노인복지관 참여 제한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5 (75): 207-232, 2020
21 최병근,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사회복지시설의 향후과제" 국회입법조사처 2021
22 김은하, "코로나 이후 사회서비스 현장의 변화와 함의" 853-872, 2020
23 송영신, "코로나 시대’의 독일의 공동체 지키기" 한국자치학회 177 : 67-70, 2020
24 김송이 ; 황선영, "코로나 시기 지역사회 돌봄 체계 구축을 위한 마을돌봄의 역할과 과제 -우리동네키움센터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68 (68): 225-258, 2021
25 조한승, "코로나 백신 불평등과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의 과제" (재) 국가생명윤리정책원 5 (5): 1-28, 2021
26 이재완, "코로나 뉴노멀(New Normal)시대 지역사회복지의 변화와 방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74) : 29-55, 2020
27 정희원, "코로나 19가 노인에게 미친 영향과 건강권에 대한 시사점-의료적 관점"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9 (9): 2020
28 윤민화,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사회복지실천경험:대구지역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실천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15 (15): 41-68, 2021
29 행정명령서, "충청남도 공고안, 1834호"
30 길영란, "초기부적응도식, 스트레스, 회피대처행동, 정서조절, 책임귀인과 결혼만족의 관계"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2
31 박성욱, "주요국의 코로나19 위기 정책 대응 및 시사점" 한국금융연구원 7-27, 2020
32 김홍규, "주관성 연구를 위한 Q-방법론의 이해" 6 (6): 1-11, 1992
33 임선영, "재난은 사람을 구별하지 않는다: 코로나19 재난상황을 사회적 연대 의식으로 향상 시키는 기회로 만들자!" 한국인권학회 3 (3): 151-154, 2020
34 신재은, "위드코로나시대 경기도 사회복지현장의 쟁점과 개선과제" 경기복지재단 2020
35 태화샘솟는집, "온택트 사회복지 COVID-19 사회복지실천 사례" 태화샘솟는 집 2020
36 박영숙, "아동권리보장원 코로나19-대응활동 기록서"
37 김도희, "사회적 거리두기와 잠시 멈춤이 비껴간 공간들" (258) : 47-50, 2020
38 안수란, "사회복지 생활시설의 감염병 대응 현황과 과제" 381 : 1-11, 2020
39 유범상, "불평등에 대한 대응과 사회복지: 코로나19와 재난기본소득을 통해 본 복지정치의 방향" 생명문화연구소 57 : 35-63, 2020
40 김정은, "노인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병-19의 임상적 특성"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1 (21): 1-8, 2020
41 전근배, "국가의 거리: 코로나19와 장애인의 삶, 그 현황과 대책"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68) : 173-207, 2020
42 유태한, "감염병에 대한 돌봄서비스기관의 대응전략 논의 - 대구시 사회서비스원의 대응을중심으로" 565-577, 2020
43 박기영, "‘코로나블루’시대에 필요한 목회적 돌봄"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57 : 48-81, 2020
44 Dominelli, L., "international social work" AGE Publications 449-453, 2012
45 Zakour, M. J., "Recent trends in disaster vulnerability and resiliency research:Theory, design, and methodology" 35-60, 2010
46 김홍규, "Q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47 장은경, "QR코드를 활용한 코로나19 대응 관리스스템" 29 (29): 145-146, 2021
Best Practice에서 나타난 사례관리자의 핵심과업과 성찰:질적 내용분석
아동학대 조사 공공화 정책 이후 지역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업무 경험
방문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초기 성인기 자원봉사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종단연구: 대학 사회봉사 교양교육의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