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대농갱이 암,수의 성장 차이 = Difference in the Growth between Male and Female of Ussurien Bullhead, Leiocassis ussuriensis (Pisces, Bagrida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1045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농갱이는 동자개과의 담수어로 고부가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새로운 담수 양식 대상종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현재까지 성장도 등 양식에 대한 기초정보가 밝혀지지 않았으며, 본 연구에...

      대농갱이는 동자개과의 담수어로 고부가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새로운 담수 양식 대상종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현재까지 성장도 등 양식에 대한 기초정보가 밝혀지지 않았으며, 본 연구에서는 인공으로 생산한 자 ? 치어를 사육하면서 암 ? 수의 성장 차이를 비교 ? 조사하였다.
      암수의 정확한 성장 차이를 구명하기 위해 본 실험은 자어 초기 조직검사에 의한 조사와 치어기부터 표지법에 의한 조사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조직학적 판별에 의한 암수간 성장비교 시험 결과 부화 후 50일까지는 수컷과 암컷의 성장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화 80일 후에는 수컷(체장 72.0±6.7㎜, 체중 3.71±6.7g이 암컷(체장 64.3±6.7㎜, 체중 3.71±0.99g)보다 성장이 빠른 것으로 나타나 대농갱이는 부화 후 50일에서 80일 사이에 암 ? 수의 성장차이가 시작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부화 80일 이후 조사는 표지법이 개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후 본 실험에 착수하였으며 표지구는 대조구와 사이에 유으적인 성장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개체간 성장차이는 조직학적 판별 결과와 동일한 경향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성장이 유의적으로 빨랐으며(P<0.05), 시험 종료 후 암컷과 수컷의 크기는 수컷이 평균 체장 17.57㎝, 체중 52.19g으로 암컷의 평균 체장 11.02㎝, 체중 16.26g보다 체장은 약 1.5배, 체중은 약 3배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5). 체중으로 본 성장곡선은 지수성장을 보였으며, 수컷은 Y=0.0024X^(1.738)(R^(2)=0.985), 암컷은 Y=0.0405X^(1.0316)(R^(2)=0.983)의 지수식에 밀접하게 수렵되었고 성장의 차이는 사육기간이 길어질수록 크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ssurien bullhead, Leiocassis ussuriensis, of the family Bagridae has recently been targeted for freshwater culture in Korea.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sexual dimorphism in body size in rearing condition using specimens produced artificially. ...

      The Ussurien bullhead, Leiocassis ussuriensis, of the family Bagridae has recently been targeted for freshwater culture in Korea.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sexual dimorphism in body size in rearing condition using specimens produced artificially.
      Tissue sections of gonads were made between 20 and 80 days after hatching to identify sex of the specimens investigated. A difference in body size between sexes was not observed in fry until they were 50 days old. Male fry 80 days old had attained 81.62f7.21 ㎜ total length, and females 72.84±8.62 ㎜ total length.
      After 80 days the difference in body size was analysed by tagging. Applying the tag by cutting fin tips had no affect on the growth of the fishes (P< 0.05). The growth in body size of males was significantly faster (P< 0.05) than in females, and males attained about 1.5 times more in standard length and about 3 times more in body weight than females at the end of 320 days. The growth curve of body weight was exponential and the body weight was expressed by Y = 0.0024X^(1.738) (R² = 0.985) and Y = 0.0405X^(1.0316)(R² = 0.983) in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observed at monthly interval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6 0.657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