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국회에서의 정당 양극화: 제16-18대 국회 본회의 기명투표에 대한 경험적 분석 = Party Polarization in the South Korean National Assembly: An Analysis of Roll-Call Votes in the 16-18th National Assemb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460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trend of party polarization and analyze its political consequences in South Korea. Party polarization refers to the diminishing of the center and surge of extreme political positions among political parti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trend of party polarization and analyze its political consequences in South Korea. Party polarization refers to the diminishing of the center and surge of extreme political positions among political parties. In order to explore the trend of party polarization, we analyze the roll-call votes data in the 16-18th South Korean National Assembly by exploiting the NOMINATE method. The main findings from empirical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arty polarization in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increased substantially during the last decade or so. Second, we find that the emergence of the Uri Party in 2003 is the watershed of party polarization in South Korea. Finally, party polarization in South Korea is ‘asymmetrical’ where the emergence of liberal parties (Uri Party and Democratic Labor Party) significantly expanded the ideological dimension to the liberal-side while the Grand National Party’s move towards the conservative-side is subtle. In the final section, we also discuss the political consequences of party polarization. We argue that despite some of the positive effects of party polarization, party polarization has more negative effects in the South Korean context. We argue that hostile confrontation between ruling party and opposition party, frequent political gridlock, low political productivity, and the increasing political distrust are the consequences of party polarization. We suggest that institutional reforms and the revitalization of consensus politics are crucial to alleviate the negative effects of party polariz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사회에서 ‘정치의 실패’가 반복되는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되는 현상이 정당의 이념양극화이다. 정당의 이념양극화는 중도의 비율은 줄어들고 극단적인 이념성향을 가진 세력의 비율...

      한국사회에서 ‘정치의 실패’가 반복되는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되는 현상이 정당의 이념양극화이다. 정당의 이념양극화는 중도의 비율은 줄어들고 극단적인 이념성향을 가진 세력의 비율과 영향력이 늘어나면서 정당간의 이념적 거리가 증가하고, 그 결과 정당간의 적대적 대립이 증가하고 정치적 교착이 일상화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국회에서의 정당 양극화의 추세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그 정치적 결과를 논의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국회의원과 국민에 대한 여론조사를 통해 정당 양극화를 분석한 다수의 기존 연구들과는 다르게 국회의원들의 기명투표 자료를 활용하는 NOMINATE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제 16대부터 18대 국회에서의 정당 양극화의 추세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경험적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회에서의 의원들의 기명투표 자료를 통해 한국 국회의 정당 양극화의 수준이 지난 십여 년간 뚜렷하게 증가한 추세가 확인되었다. 둘째, 한국 국회의 정당 양극화는 17대 국회에서부터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중요한 분기점은 2003년 열린우리당의 창당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한국의 정당 양극화는 진보계열의 정당인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에 의해 추동된 비대칭적 양극화(asymmetric polarization)였다. 지난 십여 년간 보수정당인 한나라당의 이념적 위치는 대동소이했던 반면 2003년과 2004년에 원내로 진입한 진보계열의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이 한국 국회의 이념적 스펙트럼을 진보 쪽으로 급격하게 확대시켰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더불어 본 논문은 경험적 분석에서 확인된 정당의 이념양극화의 심화 추세가 정치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본 논문은 정당의 이념양극화는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를 동시에 가지지만 한국의 정치현실에서는 정당의 이념양극화가 정당정치는 물론, 국회운영과 국정운영 전반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가 더 두드러지고 심각하다고 주장한다. 정당의 양극화로 인한 부정적 효과로는 적대적인 여야관계, 빈번한 입법 교착, 정치의 생산성 저하, 정치적 불신의 증가 등을 지적한다. 따라서 정당양극화로 인한 정치의 실패를 극복하기 위해 정치권이 정치제도 개혁과 소통과 타협의 정치를 복원시키는데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제안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상훈, "한국의 정치 양극화- 행태, 기원 그리고 구조" 28 (28): 2015

      2 이내영,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원인: 국민들의 양극화인가, 정치엘리트들의 양극화인가?" 한국정당학회 10 (10): 251-287, 2011

      3 박형준, "한국사회 무엇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박형준의 공진국가 구상" 메디치미디어 2014

      4 이성우, "한국 정치의 양극화와 당파적 배열" 5.18연구소 11 (11): 109-138, 2011

      5 이내영, "한국 국회의원 데이터베이스"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3

      6 가상준, "한국 국회는 양극화되고 있는가?" 한국의정연구회 9 (9): 247-272, 2014

      7 유성진, "티파티운동과 미국 정당정치의 변화" 한국정당학회 10 (10): 137-166, 2011

      8 이재묵, "정당 양극화를 통해 바라본 한미 정당 비교" 2013

      9 이재묵, "엘리트 정당 양극화와 유권자 투표 참여 및 정치 관심도: 18대 대선을 중심으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 (20): 145-168, 2014

      10 김형준, "사회 갈등 해결을 위한 국회의 역할과 과제-‘국회 내 정당 양극화’ 해소를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 23 (23): 71-97, 2015

      1 박상훈, "한국의 정치 양극화- 행태, 기원 그리고 구조" 28 (28): 2015

      2 이내영,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원인: 국민들의 양극화인가, 정치엘리트들의 양극화인가?" 한국정당학회 10 (10): 251-287, 2011

      3 박형준, "한국사회 무엇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박형준의 공진국가 구상" 메디치미디어 2014

      4 이성우, "한국 정치의 양극화와 당파적 배열" 5.18연구소 11 (11): 109-138, 2011

      5 이내영, "한국 국회의원 데이터베이스"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3

      6 가상준, "한국 국회는 양극화되고 있는가?" 한국의정연구회 9 (9): 247-272, 2014

      7 유성진, "티파티운동과 미국 정당정치의 변화" 한국정당학회 10 (10): 137-166, 2011

      8 이재묵, "정당 양극화를 통해 바라본 한미 정당 비교" 2013

      9 이재묵, "엘리트 정당 양극화와 유권자 투표 참여 및 정치 관심도: 18대 대선을 중심으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 (20): 145-168, 2014

      10 김형준, "사회 갈등 해결을 위한 국회의 역할과 과제-‘국회 내 정당 양극화’ 해소를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 23 (23): 71-97, 2015

      11 이내영, "변화하는 한국 유권자 4: 2010 지방선거" 동아시아연구원 2011

      12 전진영, "국회 입법교착의 양상과 원인에 대한 분석"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7 (17): 171-196, 2011

      13 박명호, "“국회 선진화법”의 쟁점과 성공조건" 한국의정연구회 9 (9): 5-26, 2014

      14 Bartels, Larry M., "Unequal Democracy: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New Gilded 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15 Jessee, Stephen A., "The two faces of congressional roll-call voting" 20 (20): 836-848, 2014

      16 Jenkins, Jeffrey A., "The Spatial Theory of Voting and the Presidential Election of 1824" 42 (42): 1157-1179, 1998

      17 Fleisher, Richard, "The Shrinking Middle in the US Congress" 34 (34): 429-451, 2004

      18 Levendusky, Matthew S., "The Partisan Sort" Chicago University 2009

      19 Binder, Sarah A., "The Dynamics of Legislative Gridlock, 1947-1996" 93 (93): 519-533, 1999

      20 Abramowitz, Alan I., "The Disappearing Center" Yale University 2010

      21 Poole, Keith T., "Spatial Models of Parliamentary Vot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22 Hetherington, Marc J., "Review Article: Putting Polarization in Perspective" 39 (39): 413-448, 2009

      23 Carson, Jamie L., "Redistricting and Party Polarization in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35 (35): 878-904, 2007

      24 Fiorina, Morris P., "Red and Blue Nation? Characteristics, Causes, and Consequences of America's Polarized Politics" Brookings Institution Press and the Hoover Institution 2006

      25 Poole, Keith T., "Recovering a Basic Space from a Set of Issue Scales" 42 (42): 954-993, 1998

      26 Lee, Nae Young, "Politics of Party Polarization and Democracy in South Korea" 2015

      27 Fiorina, Morris P., "Political Polarization in the American Public" 11 : 563-588, 2008

      28 McCarty, Nolan, "Polarized America: The Dance of Ideology and Unequal Riches" The MIT Press 2006

      29 Fiorina, Morris P., "Polarization in the American Public: Misconceptions and Misreadings" 70 (70): 556-560, 2008

      30 Theriault, Sean M., "Party Polarization in Congr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31 Layman, Geoffrey C., "Party Polarization in American Politics: Characteristics, Causes, and Consequences" 9 : 83-110, 2006

      32 Lupu, Noam, "Party Polarization and Mass Partisanship: A Comparative Perspective" 37 (37): 331-356, 2015

      33 Hix, Simon, "Party Behaviour in the Parliamentary Arena: The Case of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15 (15): 667-694, 2009

      34 Lewis, Jeffrey B., "Measuring Bias and Uncertainty in Ideal Point Estimates via the Parametric Bootstrap" 12 (12): 105-127, 2004

      35 Abramowitz, Alan I., "Is Polarization a Myth?" 70 (70): 542-555, 2008

      36 Garand, James C., "Income Inequality, Party Polarization, and Roll-Call Voting in the U.S. Senate" 72 (72): 1109-1128, 2010

      37 Hunter, James Davison, "Culture Wars: The Struggle to Define America" Harper Collins Publisher 1991

      38 Poole, Keith T., "Congress: A Political-Economic History of Roll Call Voting"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39 Armstrong, David A., "Analyzing Spatial Models of Choice and Judgment with R" Chapman & Hall/CRC Press 2014

      40 Downs, Anthony, "An Economic Theory of Democracy" Harper and Brothers 1957

      41 Poole, Keith T., "A Spatial Model of Legislative Roll-Call Analysis" 29 (29): 357-384, 1985

      42 Jacobson, Gary C., "A Divider, Not a Uniter: George W. Bush and the American People" Pearson Longman 2008

      43 강원택, "2013 파워조직 신뢰영향력 조사의 주요결과" 동아시아연구원 2013

      44 장덕진, "17대 국회 법안표결의 정치경제학-146개 쟁점법안에 대한 NOMINATE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6 (46): 1-23,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7 1.24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