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가배상책임제도의 비교법적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511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각국에서 국가배상책임제도와 관련하여 쟁점이 되는 사항은 배상책임의 주체가 국가 등 공공단체이냐 아면 불법행위를 한 가해공무원 개인책임이냐 또는 국가 등 공공단체와 불법행위를 한 가해공무원 개인책임이 경합하느냐의 문제이다.
      국가배상책임의 주체는 실정법을 바탕으로 하여 논리적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결정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국가배상책임의 주체는 국가배상법의 공법이냐 사법이냐의 문제, 국가배생책임의 본질 내지는 국가배상책임의 성질이 대위책임이냐 자기책임이냐의 문제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국가배상법상 이러한 국가배상책임의 주체를 정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보다 먼저 국가배상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선진국가의 국가배상제도와 그 실제상의 운용면을 먼저 고찰한 다음에 우리나라의 실정법을 바탕으로 하여 국가배상책임의 주체를 정하도록 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선진국가의 국가배상제도와 우리나라의 국가배상제도의 실제상의 운용면을 고찰하는데 그치고, 국가배상법이 공법이냐 사법이냐의 문제 또는 국가배상책임의 본질 내지는 국가배상책임의 성질에 관한 고찰을 다음 기회로 미루기로 한다.
      번역하기

      각국에서 국가배상책임제도와 관련하여 쟁점이 되는 사항은 배상책임의 주체가 국가 등 공공단체이냐 아면 불법행위를 한 가해공무원 개인책임이냐 또는 국가 등 공공단체와 불법행위를 ...

      각국에서 국가배상책임제도와 관련하여 쟁점이 되는 사항은 배상책임의 주체가 국가 등 공공단체이냐 아면 불법행위를 한 가해공무원 개인책임이냐 또는 국가 등 공공단체와 불법행위를 한 가해공무원 개인책임이 경합하느냐의 문제이다.
      국가배상책임의 주체는 실정법을 바탕으로 하여 논리적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결정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국가배상책임의 주체는 국가배상법의 공법이냐 사법이냐의 문제, 국가배생책임의 본질 내지는 국가배상책임의 성질이 대위책임이냐 자기책임이냐의 문제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국가배상법상 이러한 국가배상책임의 주체를 정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보다 먼저 국가배상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선진국가의 국가배상제도와 그 실제상의 운용면을 먼저 고찰한 다음에 우리나라의 실정법을 바탕으로 하여 국가배상책임의 주체를 정하도록 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선진국가의 국가배상제도와 우리나라의 국가배상제도의 실제상의 운용면을 고찰하는데 그치고, 국가배상법이 공법이냐 사법이냐의 문제 또는 국가배상책임의 본질 내지는 국가배상책임의 성질에 관한 고찰을 다음 기회로 미루기로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rst Article of the twenty-ninth in the Korean Constitutional Law prescribed as follows : If any citizen is injured by unlawful act committed by a public official in the exercise of public office, he/she may claim just reparation against the State or public organization under the conditions as prescribed by Act. In this case, the public official concerned shall not be immune from liabilities. And this State Compensation System have been concretized by enacting and enforcing of the State Compensation Act.
      Concerning this claim to the state compensation, theories and cases are opposed to each other if the State Compensation Act is a public law or a private law and if the state compensation responsibility is a substitute responsibility or a self responsibility of State and if the person responsibility for the state compensation is State or a public officer and if the person responsibility for the state compensation is a public officer together State. Some scholar don’t keep up coherence Concerning this problems. Even, Our Supreme Court have consistently treated the state compensation suit by civil suit. But the treatment method of the state compensation suit is confronted between the scholars whether administrative suit or not civil suit.
      Before handling the problems concerning whether the State Compensation Act is a public law or a civil law, whether the state compensation responsibility is the substitute responsibility or the self responsibility of State, whether the person responsibility for the state compensation is a State or a public officer and whether the treatment method of the state compensation responsibility is a civil suit or a administrative suit, the present writer want to definite the nature of the state compensation responsibility and after that, I will want to settle the points at issue of the State Compensation Act, in basis of the nature of the stater compensation responsibility. This method is keep up a logical coherence in the Sate Compensation Act.
      For grasping the nature of the state compensation responsibility in our nation, I think that is preceded to survey the state compensation system of the main nations that early enforcing the state compensation system than korea. that is preceded to inquiry in what this main nations have grasp the state compensation responsibility.
      Therefore, I want to survey the nature of the state compensation responsibility and the points at issue on the State Compensation Act. after generally survey the state compensation system of the main nations in this thesis.
      번역하기

      The first Article of the twenty-ninth in the Korean Constitutional Law prescribed as follows : If any citizen is injured by unlawful act committed by a public official in the exercise of public office, he/she may claim just reparation against the Stat...

      The first Article of the twenty-ninth in the Korean Constitutional Law prescribed as follows : If any citizen is injured by unlawful act committed by a public official in the exercise of public office, he/she may claim just reparation against the State or public organization under the conditions as prescribed by Act. In this case, the public official concerned shall not be immune from liabilities. And this State Compensation System have been concretized by enacting and enforcing of the State Compensation Act.
      Concerning this claim to the state compensation, theories and cases are opposed to each other if the State Compensation Act is a public law or a private law and if the state compensation responsibility is a substitute responsibility or a self responsibility of State and if the person responsibility for the state compensation is State or a public officer and if the person responsibility for the state compensation is a public officer together State. Some scholar don’t keep up coherence Concerning this problems. Even, Our Supreme Court have consistently treated the state compensation suit by civil suit. But the treatment method of the state compensation suit is confronted between the scholars whether administrative suit or not civil suit.
      Before handling the problems concerning whether the State Compensation Act is a public law or a civil law, whether the state compensation responsibility is the substitute responsibility or the self responsibility of State, whether the person responsibility for the state compensation is a State or a public officer and whether the treatment method of the state compensation responsibility is a civil suit or a administrative suit, the present writer want to definite the nature of the state compensation responsibility and after that, I will want to settle the points at issue of the State Compensation Act, in basis of the nature of the stater compensation responsibility. This method is keep up a logical coherence in the Sate Compensation Act.
      For grasping the nature of the state compensation responsibility in our nation, I think that is preceded to survey the state compensation system of the main nations that early enforcing the state compensation system than korea. that is preceded to inquiry in what this main nations have grasp the state compensation responsibility.
      Therefore, I want to survey the nature of the state compensation responsibility and the points at issue on the State Compensation Act. after generally survey the state compensation system of the main nations in this thesi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주요 국가의 국가배상책임제도의 개관
      • Ⅲ. 우리나라의 국가배상제도의 개관
      • Ⅳ. 결론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주요 국가의 국가배상책임제도의 개관
      • Ⅲ. 우리나라의 국가배상제도의 개관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행정법신론 제7판" 신영사 2003

      2 "행정법(1)" 홍문사 1997

      3 "최신행정법강의(상)" 박영사 2001

      4 "제14판 행정법원론(상)" 박영사 2006

      5 "일반행정법(상)" 삼영사 2002

      6 "영미행정법상의 국가배상책임과 그 한계문제" 고려대학교 법률행정연구소 16 : 1978

      7 "신행정법론(상)" 법문사 1997

      8 "서독의 신국가책임법에 관한 고찰" 1982년12월호

      9 "국가배상제도의 문제점" 법무부 법무부 법무자료 141 : 1991

      10 "강의행정법(1)" 형설출판사 1998

      1 "행정법신론 제7판" 신영사 2003

      2 "행정법(1)" 홍문사 1997

      3 "최신행정법강의(상)" 박영사 2001

      4 "제14판 행정법원론(상)" 박영사 2006

      5 "일반행정법(상)" 삼영사 2002

      6 "영미행정법상의 국가배상책임과 그 한계문제" 고려대학교 법률행정연구소 16 : 1978

      7 "신행정법론(상)" 법문사 1997

      8 "서독의 신국가책임법에 관한 고찰" 1982년12월호

      9 "국가배상제도의 문제점" 법무부 법무부 법무자료 141 : 1991

      10 "강의행정법(1)" 형설출판사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9-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Law Review -> Law Review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Law Review -> Korean Law Review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法學硏究 -> 법학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7 1.02 1.08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