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6세기 野祭의 실태와 그 의미  :  『묵재일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ield Shamanic Rituals(野祭) in the 16th century-With a focus on Mukjaeilgi(黙齋日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730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野祭는 장소, 목적, 굿 양상 등의 다양한 특성과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개념이다. 우선 야제는 '집밖'이라는 공간에서 낮에 시작되어 저녁 무렵에 종료되었다. 제의 목적은 망자의 넋을 해원...

      野祭는 장소, 목적, 굿 양상 등의 다양한 특성과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개념이다. 우선 야제는 '집밖'이라는 공간에서 낮에 시작되어 저녁 무렵에 종료되었다. 제의 목적은 망자의 넋을 해원하여 천도 하였으며, 질병이나 죽음의 빌미를 일으키는 寃鬼를 위무하거나 구축하고자 하였다. 경우에 따라 脫喪의 한 절차로도 행해졌다. 굿 양상은 무당이 주재하는 무속의례로 행해졌다. 野祭는 '野祀'와 混用 되었다. 그리고 임진왜란 이전까지 그 용례가 보이지만, 그 이후에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곧 야제는 집 밖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행한 의례를 포괄하는 광의의 용어이지만, 본고에서는 주로 '집 밖에서 망자를 천도하는 굿'을 중심으로 야제의 한 단면을 살펴보았다.
      경상도 성주지역에서 유배생활을 하였던 이문건은 중앙관료 출신으로 높은 유학적 식견을 겸비한 인물이다. 그는 죽은 아들의 넋을 천도하기 위해 자신의 집에서 야제를 거행하였다.
      단골무녀 이외에 좀 더 능력을 갖춘 무당이 초빙되어 야제를 주재하였다. 무녀는 야제를 지내기에 앞서 별도의 공간에서 자신의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였다. 제의 과정은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없지만, 야제를 통해 죽은 자의 넋을 위로하고 유족에게는 가슴에 맺힌 恨을 풀어주는 주었다. 굿이 끝나면 무녀가 몰래 歸家하는 관행이 당시에도 있었다.
      한편 흥미로운 점은 승려가 이문건의 집에서 야제에 필요한 제물과 장식물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巫俗과 佛敎의 밀접한 상호관계성을 살필 수 있는 사례라 하겠다.
      무속과 관련된 문헌자료가 그러하듯이 야제에 대한 내용 또한 매우 엉성하다. 따라서 16세기 야제의 실상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당시에 무속식 천도굿이 야제라는 용어로 거행되었으며, 앙반사대부라 하더라도 이를 거부하지 않았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aje(the Field Shamanic Rituals) is a concept full of variou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in terms of place, objective, and method of the ceremony. It started outdoors, which is "outside home," and ended in the evening. Its objective was to console t...

      Yaje(the Field Shamanic Rituals) is a concept full of variou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in terms of place, objective, and method of the ceremony. It started outdoors, which is "outside home," and ended in the evening. Its objective was to console the spirits of the deceased or prevent any ghost attack following a disease or death. In some cases, it was performed as part of the expiration procedure of the mourning period. Yaje was often mixed in usage with "Yasa." There were examples of Yaje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since when almost no examples had been confirmed. While Yaje is a broad term to include a range of ceremonies performed to achieve various goals outdoors, this study limited its scope to Mangjacheondogut presided over by a female shaman.
      In an exile in Seongju, Gyeongsang Province, Lee Mun-geon once held a high central government position and had a high level of Confucian knowledge. In an effort to console the spirit of his deceased son, he held a Buddhist ceremony at a Buddhist temple and also a Cheondo ceremony at his home by inviting a female shaman.
      In addition to regular female shamans, certain female shamans with a higher level of capacity were invited to hold Yaje. Female shamans would cleanse their bodies and souls in a separate place before holding Yaje. Although it is impossible to confirm the specific ceremony process, it is widely accepted that Yaje was a gut intended to console the spirit of the deceased and to relieve the grief of the living. There was also a custom of the female shaman secretly escaping the venue and heading home after the ceremony.
      What is interesting is that a group of Buddhist monks made the offerings and ornaments for Yaje in the house of Lee Mun-geon, which is a good example to prove the dose interactions between the shamanist custom and Buddhism.
      Like all the literature materials about the shamanist custom, the ones about Yaje are very poor, which means there are limitations with the examination of its state in the 16th century. However, it is known that the shamanist-style Cheondo gut was performed in the name of Yaje and that even the noblemen and illustrious officials did not refuse it, which is attributed to the social idea that placed more importance on an effort to console the spirit of the decea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야제의 개념
      • 3. 야제의 양상과 특징
      • 4. 맺음말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야제의 개념
      • 3. 야제의 양상과 특징
      • 4.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미래, "한국인의 죽음과 사십구재" 민속원 2009

      2 유동식,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 연세대출판부 1975

      3 "태종실록 세종실록 세조실록 연산군일기 중종실록 선조실록"

      4 김명희, "지화(紙花)연구" 한양대 2002

      5 이필영, "조선후기의 무당과 굿"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3) : 1993

      6 최종성, "조선조 유교사회와 무속 국행의례 연구" 서울대 2001

      7 김 탁, "조선전기의 전통신앙-위호와 기신재를 중심으로" 6 : 1990

      8 이복규, "조선전기 사대부가의 점복과 독경" 한국민속학회 10 : 1999

      9 민정희, "조선전기 무속과 정부정책" 연세대 사학연구회 21 : 2000

      10 임학성, "조선시대의 무세제도와 그 실태" 한국역사민속학회 3 : 1993

      1 구미래, "한국인의 죽음과 사십구재" 민속원 2009

      2 유동식,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 연세대출판부 1975

      3 "태종실록 세종실록 세조실록 연산군일기 중종실록 선조실록"

      4 김명희, "지화(紙花)연구" 한양대 2002

      5 이필영, "조선후기의 무당과 굿"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3) : 1993

      6 최종성, "조선조 유교사회와 무속 국행의례 연구" 서울대 2001

      7 김 탁, "조선전기의 전통신앙-위호와 기신재를 중심으로" 6 : 1990

      8 이복규, "조선전기 사대부가의 점복과 독경" 한국민속학회 10 : 1999

      9 민정희, "조선전기 무속과 정부정책" 연세대 사학연구회 21 : 2000

      10 임학성, "조선시대의 무세제도와 그 실태" 한국역사민속학회 3 : 1993

      11 이복규, "조선 사대부가의 무속" 한국민속학회 9 : 1998

      12 이용범, "서울 진오기굿의 종교적 성격과 문화적 위상" 한국학연구소 (27) : 5-31, 2007

      13 조흥윤, "살아남은 가족들과 망자의 작별과 잔치, In 서울진오기굿" 열화당 1993

      14 정긍식, "묵재일기에 나타난 가제사의 실태" 한국법제연구원 16 : 1999

      15 조흥윤, "무와 민족문화" 민족문화사 1990

      16 최진아, "무속의 물질문화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17 국립문화재연구소, "무구, In 경상도편" 민속원 2005

      18 조흥윤, "무-한국무의 역사와 현상" 민족사 1997

      19 "경국대전 경산지 묵재일기" 국사편찬위원회 1998

      20 이필영, "가을떡과 안택-충청지방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1 : 2001

      21 김소은, "16세기 양반사족의 생활상 연구-묵재일기를 중심으로" 숭실대 2001

      22 김경숙, "16세기 사대부 집안의 제사설행과 그 성격" 98 : 2000

      23 장정남, "16․17세기 사대부주택의 공간구성과 활용" 경기대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lklif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6 1.48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